본문 바로가기
역사속 도시이야기

공간과 건축의 궤적 - 창원 성산구 대원동 '꿈에그린' 재건축 터의 역사 - 1

by 운무허정도 2018. 11. 26.

 

<이번 포스팅은 창원 의창구 대원동에 재건축 중인 '꿈에그린' 아파트 부지(아래 그림의 붉은 밑줄친 부지)에 존재했던 현대사원아파트를 비롯한 여러 아파트들에 대한 내용이다. '마을흔적'을 남기기 위해 정리했던 글이다.

 

 

목차

1. 시작하는 글

2. 주거의 변화(대원2구역에 아파트가 들어서기까지)

3. 공간의 변화와 대원2구역 아파트

4. 외관의 변화와 대원2구역 아파트

5. 마치는 글

 

 

1. 시작하는 글

19721017일 유신헌법 체제로 시작된 제4공화국은 공업입국을 위한 기계공업의 요람지로서 1970년대 중반부터 창원공업단지(이하 창원공단)를 개발하였다.

창원공단은 국제적인 규모의 기계류 공장을 집단화함으로써 기술집약적 발전을 도모하는 한편, 관련 기계류 공장의 전문화와 계열화로 투자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기계공업단지이다. 

당시 마산시에서 동북쪽으로 14km 떨어진 창원지역을 기계공업단지로 결정한 요인은 다음과 같다.

포항·울산·구미·부산·마산 등 다핵적 공업벨트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남해고속도로 및 경전선과 진해선의 철도분기점이면서 마산항을 끼고 있어 물류이동이 유리하다.

표고 500800m의 구릉에 둘러싸인 1,500만평의 광활한 평지형 분지를 확보할 수 있다.

지반이 견고하여 중량물 공장 건설에 유리하다.

낙동강으로부터 송수가 가능하여 공업용수와 생활용수 확보가 유리하다.

기후가 온화하고 강우량 등 천연조건이 기계공업에 적합하다.

수림이 울창한 작은 구릉이 점재하고 있어서 경관이 아름답다.

 

이상과 같은 입지조건을 배경으로 시작된 창원공단에 건 제4공화국의 기대와 계획은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된다.

국가의 기계공업을 이끌어갈 대규모 종합기계공업단지를 조성한다.

시험연구소 및 기술교육기관을 통해 우수한 기술자와 기능공을 양성하는 산업교육기지로 발전시킨다.

창원대로를 경계로 남서쪽에 공업단지를 건설하고 이와 조화시켜 창원대로 북동쪽에 새로운 산업도시(이하 창원신도시)를 건설한다.

 

이러한 기대 속에 세워진 창원신도시 건설의 기본방향은 건전한 도시기반의 구축, 쾌적한 환경 조성, 도시기능의 정비, 사회복지 및 후생의 증진, 교육문화 및 인력개발, 도시미관의 정비, 도시의 개발, 도시계획의 추진 등이었다. 이를 토대로 작성된 기본구상도가 아래 그림이다.

<1973년 대통령비서실 문서 속의 창원기계공업기지 기본구상도 / 출처 ; 대통령기록관>

 

추진 일정은 1975년을 기준연도로 하고 77년을 계획연도, 86년을 목표연도로 잡았다. 경기도 반월, 전남 여수와 함께 무에서 유를 만든 신도시로 우리나라 도시발달사의 획기적인 사례였다.

신도시의 개발계획은 3단계로 나누어 시행하기로 했다. 그 중 주거시설은 제1단계(7779)18,190호의 주택과 공공시설, 2단계(8082)61,520호의 주택과 공공시설, 3단계(8386)94,076호의 주택과 공공시설을 건설하도록 계획하였다.

이러한 계획에 의해 도시 곳곳에 택지를 개발하였는데 대원2구역이 자리한 두대지역이 최초로 개발된 주거단지였다 

창원공단과 신도시 건설조성 과정에는 토지수용과 이주민대책이라는 과정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적절한 보상체계를 갖추지 못했던 당시의 상황에서 지역주민의 피해가 컸다.

불가피한 진통이었다고 말하기도 하지만 창원공단과 신도시는 이들 원주민의 피해 위에 건설되었다는 사실이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총규모 1,470만평에 달하는 전래의 전답·대지·임야·주택·생활시설·도로 등을 모조리 갈아엎은 뒤 공단과 신도시를 조성했기 때문에 토지매수와 지장물 철거, 그리고 대대적인 거주민 이동이 이루어 졌다.

외동·내동·남산동 일대 15개 마을이 걸쳐있던 주민은 용호동에, 적현단지 주민은 외동에, 삼동·완암·귀곡·안민단지 주민은 두대동에 각각 이주단지를 조성하여 택지를 분배하였다.

원주민들에게는 조상의 뼈가 묻혀있는 곳이자 생활을 기탁해온 보금자리를 자신의 의사와 상관없이 떠나야했기 때문에 시대가 요청한 이향(移鄕)은 이주민들에게 가슴 아픈 일이 아닐 수 없었으며 그 과정에서 발생한 폐해는 심각하였다.

 

<19789, 실향민들과 공무원 사이에 벌어진 몸싸움 / 2001년 창원의 옛모습 사진전>

 

택지를 분양 받았다고 누구나 집을 가질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건축비가 없어 집을 짓지 못하고 땅을 되파는 사람도 적지 않았고, 집을 짓다가도 돈이 모자라 다시 낯선 곳으로 떠나는 제2의 이주민도 많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