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속 도시이야기

공간과 건축의 궤적 - 창원 성산구 대원동 '꿈에그린' 재건축 터의 역사 - 4

by 운무허정도 2018. 12. 17.

1. 시작하는 글

2. 주거의 변화(대원2구역에 아파트가 들어서기까지) - 3

 

앞에서 본 것처럼 창원신도시의 계획과정에서 제시되었던 원칙들은 어디 내어놔도 손색이 없을 만큼 훌륭한 내용들이다.

이러한 최초의 의도는 건설과정에서 제대로 반영되지 못했고 건설 후 관리과정에서 더 손상되었다. 정치적 경제적 상황에 따라 백년대계가 되어야할 도시정책이 갈지()자 걸음을 걸은 탓이다.

대원2구역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민간대자본 투입이 용이치 못해 단지를 소규모로 나눈 것이 대원2구역의 가장 큰 문제였다.

소규모로 분절된 부지로서는 도시계획에서 내세웠던 아파트 단지 계획의 여섯 가지 원칙을 수용할 수 없었던 것이다.

 

<계획 당시 창원 신도시 조감도>

 

창원공단 조성 2년이 경과한 1976년 말에는 공단에 58개 업체가 입주하였고 그중 18개 업체가 가동에 들어가 6천여 명이 근무하고 있었으며 기타 건설관련자 등 인구 유입이 확대일로에 있었다.

이런 여건을 배경으로 주거지 개발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시점은 1977년 말경이었다. 택지개발을 착수 시기별로 나누어보면 197717개 지구, 197811개 지구, 19791개 지구, 19871개 지구 등이며 91년까지 39개 지구가 완료되었다.

대원2구역이 속한 두대지역은 이중 가장 먼저 시행되었으며 면적은 56.73였다. 두대지역의 택지조성은 773월에 시작해 819월에 완공하였으며 주용도는 단독주택 및 아파트 단지였다.

공단지역에서 이주해온 이주민과 공단에 입주한 기업체 직원들을 위한 주거용지였다.

개발방식은 전면매수에 의한 공영개발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저렴한 가격의 안정적인 택지공급에 역점을 두었다. 철거 원주민과 이주민에게는 보상금을 지급하고 택지는 조성원가로 공급하였다.

택지조성이 가장 빨랐던 두대지역의 대원2구역 아파트들은 대부분 80년대 초중반에 지어졌다. 시범주택으로 77년 지어진 세플러 사원아파트도 있지만(법적 사용승인은 8493) 나머지 모든 아파트의 건축시기가 80년대 초중반이다. 택지조성이 가장 앞섰듯이 건축공사 시기도 빨랐다.

아파트가 주거문화로 정착되기 시작한 시기는 1970년대부터지만 오늘날 우리나라 도시들을 뒤덮고 있는 아파트의 홍수는 1980년대 말에 시작되었다.

1987년 대통령 선거에서 노태우 후보가 내놓은 주택 2백만 호 건설공약 때문이었다. 대원2구역 아파트 건설이 대부분 끝난 뒤였다.

2백만 호라는 애당초 무리한 주택건설정책은 노태우 정권 내내 시행되었고 창원지역에도 영향이 크게 미쳤다.

비민주적인 권력의 행태가 언제나 그렇듯이 중앙정부가 결정한 정책은 일선 행정기관으로 하달되었고 그에 따라 경남도청 및 각 시군의 담당국과에서는 매일 주택건설 독려에 혼신을 다했다.

자연히 도에서 한 해 지어야할 주택의 량이 할당되었고 그렇게 할당된 양은 각 시군으로 재할당되어 시군 주택건설 목표치가 되었다.

주택 2백만 호 건설로 열린 아파트 시대는 민간건설업체에 의한 브랜드아파트를 등장시켰고 이에 따라 각 건설사의 아파트들이 내용에서 약간씩 차별화되었다.

대량공급이 시작되면서 아파트들은 점점 높아지기 시작했지만 건설에 효율적인 획일화된 블록배치가 대부분이었다.

주택 2백만 호 건설로 인해 아파트건설이 규모와 내용에서 많이 달라졌지만 대원2지역의 아파트가 80년대 초중반에 건설되었기 때문에 직접 관련은 크게 없다.

  새롭게 사람들 앞에 나타난 아파트라는 주거양식이 미래에 어떤 가치를 가질 것인지 짐작하기가 쉽지 않았던 시절이었다.

지금이야 아파트가 우리 주택양식의 주류로 자리 잡았지만 당시만 해도 전문가마다 의견이 달랐다.

아파트가 미래 한국사회의 주류 주거양식이 될 수밖에 없다는 주장도 있었고, 아파트는 단지 전환기의 주거수단일 뿐 장기적으로는 단독주택의 대체수단이 될 수 없다는 주장도 있었던 시기였다.

그런 점에서 대원2구역의 아파트들은 창원신도시 주거양식의 선도적 역할을 해냈다고 볼 수도 있다.

윤장섭은 아파트를 주택이 증가하면서 도시가 평면적으로 교외로 확장됨에 다라서 도시주변의 농경지가 침해될 뿐 아니라 도시의 급속한 확장에 다른 교통문제, ·하수도, 전기, 기타 각종 공공시설들의 해결안 등의 불합리한 점을 막기 위해서 주택을 고밀화 시킨 것 이라고 정의했다.

이 견해에 따른다면 신도시 창원이 주거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원2구역 일대를 시작으로 대량의 아파트를 공급한 정책은 시간과 공간적 측면에서 적절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