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도시이야기

바다가 살아야 마산이 산다

by 허정도 2010. 3. 29.

바다가 있지만 바다를 활용하지 않는 유일한 도시.
도시지역에만 약 4킬로미터의 해안이 있지만 수변공간다운 장소를 한 뼘도 가지지 못한 도시.
그래서 해안도시라 차마 말하기 부끄러운 도시, 해안도시라 말할 수 없는 도시.
지도에서만 바다와 면했을뿐 시민들의 삶과 동떨어져 바다 제 혼자 있는 도시.
바로 마산 아닌가요.



해방 전에 이미 대부분의 해안이 매립되었지만 어느 곳에도 공공용지는 없었습니다.
해방 후 시행된 여러 번의 매립공사에서도 일본인들과 똑 같이 공공용지를 만들지 않았습니다.
매립 때마다 제각기 자기 잇속 채우기 바빴습니다.

가장 최근의 매립은 80년대 이후 시행된 구항과 서항 매립이었습니다.
시기나 규모나 위치로 볼 때 마산도시를 획기적으로 바꿀 절호의 기회였습니다. 하지만 기회가 곧 위기라 했던가요? 오히려 도시수준이 이 때문에 더 떨어지고 말았습니다.
슬럼화 된 구항일부와 판상아파트가 버티고 선 서항의 난개발을 보면 잘 알것입니다.

3·15아트센터는 해안에 지어야 한다고, 그래야 건물이 산다고, 그렇게도 주장했으나 막무가내 고집하여 결국 양덕동 북향 고립지에 세웠습니다.
신포동 매립지에는 아파트 짓기보다 공공용지로 사용하라고 법과 제도까지 동원해서 나서보았지만 초지일관이었습니다.

결국 해변에서 장어구이라도 먹을 수 있는 곳은 아스팔트 위뿐, 불법영업을 안할래야 안할 수 없게 만들어진 곳이 이 도시의 해안입니다.

도시 곳곳에 내걸린 구호처럼 이 도시가 정녕 ‘드림베이’ ‘꿈의 항만도시’라면,
정말 그 말이 맞다면,,,,
적어도 가족 손잡고 연인과 어깨 맞대고 삼십 분 쯤은 맑은 해풍마시며 걸을 수 있는 해변산책로 정도는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김병종이 아바나의 말레콘 방파제를 두고,
쿠바의 아이들은 말레콘 너머 바다에서 수영을 하며 자라고,
말레콘에서 사랑의 언어를 속삭이며 청년기를 보내고,
손자 손녀의 손을 잡고 말레콘에서 노년을 맞을 것이다.
싯다르타의 뱃사공 바스데바가 자신은 강에서 모든 것을 배웠다고 한 것처럼...
정도는 아니라도 말입니다.

수변공간의 확보와 개발 은 도시디자인에서 널리 이용되는 기법입니다.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그 가치는 점점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마산은 바다 없이 존재할 수 없습니다.
서익진 교수의 말처럼 ‘미항(美港)’으로 디자인해서 ‘수향(水鄕)’을 구현해야 합니다.
그래야 마산이 삽니다.

데크도 좋고, 매립도 좋고, 기존 토지를 이용해도 좋습니다.
해안에서 넉넉하게 걷기도 하고, 뛰기도 하고, 자전거 탈수도 있는 그런 수변공간이 있어야 합니다.
바닷가 넓은 공원에서 공연도 보고 놀이도 하고 계절에 맞는 횟감도 즐기는, 그런 생산적 해안이 있어야 합니다.

해안공원을 도심 속 그린웨이와 연결되어, 나무가 늘어선 길이 창동 남성동 어시장을 지나 해안까지 이르는 상상을 해보았습니까?

도심지역과 맞닿아 있는 마산만은 친수공간의 중요조건인 '활용도에 의한 생산성'에서 매우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존 구도심 상권에서 어시장을 지나 해안으로 이어지는 동선의 흐름은 이 도시의 수변개발의 당위성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임항선 철로가 그린웨이가 되어 바다와 연결된다면 그야말로 금상첨화입니다.
멈추고 있던 마산 앞바다의 생명력이 되살아나 시민들과 일상 속에서 만나는 최고의 장소가 될 것입니다.

그렇게만 되면 어시장은 물론 마산구도심의 상권에까지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요코하마의 야마시다 공원처럼 ‘마산’하면 맑은 바닷물에 면한 해안공원,,,
키 큰 나무가 있고 고운 잔디와 사이사이 벤치가 놓인 아름다운 해안공원이 있어야 합니다.

해안도시의 시민이라는 만족감과 행복감은 그래야 느낄 수 있는 것 아닌가요?

어렵,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면 안 됩니다.
지금까지 한 번도 시도해 보지 않았으니 얼마나 어려운지 조차도 모르지 않습니까?
비전만 있다면 무슨 상상인들 하지 못하며, 무슨 꿈인들 이루지 못하겠습니까?

세 도시통합으로 큰 판을 다시 짜야될 시점이라 마산해안에도 좋은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폐허였던 기타큐슈 모지항의 재생을 생각하면 우리라고 결코 못할 일이 아닙니다.
"문제는 창의적 도전과 사회적 합의입니다" <<<

                                                        <모지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