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속 도시이야기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쳔사 (4) - 고려시대

by 허정도 2010. 5. 3.


<경상도 합포에 석두창이 서다
>




고려시대는 조운제가 ‘국가지중최중자야(國家之中最重者也)’라고 표현될 정도로 중요한 제도였습니다.
조운제의 성립시기에 대해서는 몇 가지 견해가 있습니다만,
고려 제6대 성종(982-997년)기에 전국 여러 포구에 조운기지를 설치하였다가 이후 정종(1035년-1046년)대에 이르러서 이를 개경 남부 12조창으로 개편하였다고 보는 견해가 많습니다.

12조창은 위의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서해의,
하양창(충청도 아산), 영풍창(충청도 부성), 진성창(전라도 임파), 안흥창(전라도 보안),  부용창(전라도 영광), 해릉창(전라도 나주), 장흥창(전라도 영암).
내륙의,
흥원창(강원도 원주), 덕흥창(충청도 충주).
남해의,
해룡창(전라도 순천), 통양창(경상도 사천), 석두창(경상도 합포, 마산)이었습니다.
12조창 모두 개경 남쪽입니다. 
그 후 문종(1046년-1083년) 때 서해도 장연현에 안란창이 하나 더 설치되어 고려시대 조창제의 골격이 완비되었습니다.
고려의 조운제는 이 13조창으로 유지, 발전되었습니다.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모두 바다나 강을 끼고 있는 곳이라 조운선이 다닐 수 있었던 곳입니다.

각 조창에는 설치 규정에 따라 6척의 조선(漕船) 외에 1,000석 정도를 실을 수 있는 초마선 1척이 배치되어 세공미의 수송을 담당하였습니다.
2월에 조운하여 가까운 곳은 4월을 기한으로, 먼 곳은 5월을 기한으로 수도 개경에 있는 경창에 수송하였습니다.


이 사진은 전남 나주시청 현관 로비에 전시된 나주선(羅州船)의 1/20 모형입니다.
이 배는 고려시대 나주 조창 해릉창에서 영산강을 통해 세공을 실어 나르던 초마선입니다.
2004년 나주역 뒤쪽 영산강 바닥에 도출된 선재를 주민이 발견하면서 세상에 알려졌습니다.
이를 나주시가 전문기관에 추정복원 설계 용역을 의뢰, 컴퓨터 3차원 분석 및 전문가들의 고증과 자문을 통해서 추정복원도를 작성한 후 8억 원을 들여 현재 복원 중에 있습니다.
선체는 길이 29.9m, 너비 9.9m, 높이 3.16m의 크기에 95톤에 이르며, 승선인원은 96명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마산 합포 석두창에도 이런 배가 오갔겠지요.

합포 석두창에는 지금의 창원 김해 함안 칠원 웅천 의령 일대의 세공미가 보관 되었습니다.
석두창까지 수취물을 운송하는 방법은,
지역에 따라 낙동강 수운이나 연근해 항로를 이용했거나, 혹은 22역도() 중의 하나로 김해 덕산역을 중심역으로 했던 금주도(金州道)를 이용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고려시대 조창은 단순한 창고가 아니라 그 자체가 하나의 촌락으로서 작은 행정기구를 이루었으며 주민들은 조창민으로서 조운에 관계되는 일을 하였습니다.
합포의 석두창도 마찬가지였을 것입니다.

사천 선진리에 있었던 통양창의 예로 추정한다면,
석두창에도 창(倉)을 관리하기 위한 토성이 있었을 수 있으며, 창(倉)을 중심으로 판관과 향리 그리고 조창민이 거주하면서 선박 관리 등 조운 업무에 임했을 것입니다. 
또한
이로 인해 사람들의 왕래도 잦았을 것이니 자연히 석두창을 중심으로 시가지가 형성되고 교통망도 집중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런가하면 합포현은 조창 때문에 중앙정부와 직접 소통도 가능했을 것입니다.

이와 같은 조건과 배경으로 합포(마산)는 중부 경남의 유통을 중심지로 발전해갔으며, 이러한 합포의 물적 토대는 장차 이곳이 여몽연합군의 일본정벌기지로 선택되는 이유가 되기도 합니다.

이런저런 정황들을 생각할 때,
고려시대 석두창이 이 도시의 중심지였다는 추정은 쉽게 가능합니다.
그래서 더욱 궁금합니다.
초마선이 오갔던 석두창은 과연 지금의 마산 어디쯤이었을까요?<<<


2010/04/08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 여는 글
2010/04/12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 1
2010/04/19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 2
2010/04/26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