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는 도시이야기

통합창원시가 배워야 할 창조적 도시디자인 사례(7) - 슈투트가르트

by urbandesign 2010. 8. 13.

통합창원시가 배워야 할 창조적 도시디자인 사례

(1) 8년동안 만든 도시계획-도쿄 도심재개발 
(2) 도시정비계획 수립후 협의만 10년, 독일 에슐링겐
(3) "빌바오 효과"... 15년전 예견된 성공사례
(4) 민관협력으로 성공한 토리노의 도심 재개발 정책
(5) 도시의 색채는 작은 안내서에서 부터... '오다와라의 경관색채계획'
(6) 프랑스 신도시 '라데팡스', 알고보면 그 시작은 1958년 부터
(7) 40여년 동안 바람길 만들어 대기오염 극복한 슈투트가르트, 또 앞으로의 도전
(8) 작은계획(하천정비)을 시작으로 큰 그림(도시계획)을 완성하다. '물의 도시 오사카'
(9) '미나토 미라이 21'은 20세기 중반에 세워진 계획?
(10) 23년동안 10개의 다리를 10가지 각기 다른 테마로 만드는 도시, 들어보셨나요?
(11) 25년만에 완성된 하펜시티(함부르크) 프로젝트

최근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매우 뜨겁습니다.
도시들이 이제서야 도시개발과 산업화에 대한 후유증을 깨닫고, 자연환경이 지속될 수 있는 방향으로 도시계획을 조정, 시행하고 있습니다.

그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슈투트가르트가 있습니다.

도심내에 대규모 녹지를 조성하고 분지의 지리적 특성과 공업도시라는 태생적 특성을 도심내 녹지조성으로 극복하고자 한 것입니다.

바람길을 열어주는 도시계획이 그 주요내용입니다.
도시외곽에서 부터 도심내부로 바람이 잘 통과할 수 있도록 9개의 공원을 U자형으로 조성하여 지속적으로 그 변화를 관찰하고, 건물의 외부상한선을 엄격하게 규제하는 일련의 과정입니다.

이 시작은 문제점의 발견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슈투트가르트는 3면이 높은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이며 평균풍속이 0.8m/s~3.1m/s로 타지역에 비해 바람의 흐름이 느렸습니다.
그 때문에 대기오염이 심각했으며, 스모그의 피해도 많았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바람의 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도시에서 바람이 다니는 길을 파악하여 그 곳에 녹지를 조성, 바람길에 따라 녹지축을 형성하고자 한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 우리나라의 도시기본계획에 해당하는 F-Plan과 지구단위계획에 해당하는 B-Plan을 통한 규제방안이 제도적으로 뒷받침되었습니다.

대표적인 내용으로는 바람길의 연결을 위해 9개의 공원으로 이어진 바람길을 조성한 '그뤼네 U프로젝트', 주거지역인 '아젬발트 지역정비' 그리고 도심지인 '중앙역사 지역 재건축'등이 있습니다.



1. 그뤼네 U 프로젝트
바람길을 연결하는 녹지축의 모양이 알파벳 'U'자 모양을 닮았다는 뜻입니다.
총 8km의 길이 정도로 생태다리, 숲길, 재단 등의 다양한 길입니다. 이 길을 통해 각각 떨어진 녹지를 연결하며, 도시의 정체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허파기능을 함으로써 도시기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도록 한 것입니다.

2. 아젬벨트 지역 정비
1968~1972년, 약 3,000명이 거주할 수 있는 20층 건물 3동을 건립하는 계획으로, 처음에는 녹지를 피하고 단독주택을 건설하는 내용이었으나, 녹지를 보호하고 바람길을 고려하여 고층으로 변경하였습니다.
고층건물임에도 불구하고 찬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건축한 고층건물의 모범사례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3. 중앙역 지역 정비
이 프로젝트는 1988년부터 슈투트가르트시가 주정부와 (주)독일철도와 함께 논의해 온 슈투트가르트 21프로젝트의 일환으로서, 중앙역의 기능을 개조하고, 철도교통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며, 화물역사를 신축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슈투트가르트시는 SLAS 프로그램을 자체 운영하여, 2년마다 시 차원에서 항공기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항공사진을 통해 어디에 어떤 건물이 들어서고, 녹지율이 어떻게 변하는지 등 도시를 지속적으로 관리, 기록을 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법적으로 안정적인 녹지지역, 공사 및 건축금지지역, 공공녹지, 정원용 부지 등으로 분류하여 숲을 지키기 위한 강력한 규제를 시행중이며, 시행중인 규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슈투트가르트에서 바람길 활용계획에 따라 수림지가 전체 도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3.9%에 이릅니다. 이러한 결과를 얻기 위한 프로젝트의 추진은 사실상 1968년부터였습니다.

 1968~1972년 : (녹지보전과 바람길 보전하면서) 주택건설 : 아젬발트 지역
 1976년, 1979년 : 독일연방 건설법 개성(바람길조성과 활용에 관한 법적 근거 마련)
 1988년 : 중앙역 지역 재건축 결정(슈투트가르트 시와 [주]독일철도 공동시행)
                * 슈투트가르트 21프로젝트의 일환
 1997년 : 슈투트가르트 중앙역 재개발 설계안 공모(126개 접수)
                * 도르프 건축설계사무소의 안으로 최종선정
 2020년까지 : 모든 기차역의 지하화(바람길을 완벽하게 형성)
 2040년까지 : 지속적인 토지이용계획
                 * Sutainable Brownfields Development Stuttgart(NBS) 프로젝트 

2020년까지 기차역까지도 바람길 활용계획에 따라 지하화 한다는 계획, 그리고 2040년까지 지속적으로 토지이용계획에 따른 NBS 프로젝트로 녹지율 20% 이상 향상을 목적으로 매진하고 있습니다.

슈투트가르트가 다른 도시와 차이를 보이는 점은 숲이 끝나는 지점과 도시의 시작지역(주택지역)을 녹지로 연결한 점입니다.
고질적인 대기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외곽으로 부터 바람이 자연스럽게 도시로 들어와 순환할 수 있도록 한것입니다.

자연에 대한 인간의 간섭을 최소화하면서도 도시의 형성에 있어 알맞은 균형을 이루어 가는 도시계획.
이러한 노력으로 슈투트가르트의 수림지 ('암랭크', '그린비웬' 호수)는 자연보호구역으로 유럽의 조류보호구역으로도 지정되어 있기도 합니다.
 
'도시계획이 지향해야 하는 것은 인간과 자연의 균형이 아닌가
'
하는 생각을 하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