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찾아간 도시이야기

군산, '근대문화도시'를 꿈꾸다.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1. 11. 30.
지난주 녹색창원 21사람들, 그리고 진해 중앙동 '근대역사가로 만들기' 추진위원들과 군산을 다녀왔습니다. 진해구 중앙동의 으뜸마을 살리기 사업으로 진행된 '근대 프로젝트'를 벤치마킹하기 위해서 였읍니다.


사실 '근대'라는 용어는 역사적으로 볼 때 일제 강점기를 통해 '강제된 근대'라는 개념이 강하여 '식민지'라는 개념과 동시에 진행되어 껄그럽게 여겨온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역사가 어디 호호낙락한 좋은 역사만 역사인가요?아픈 고난의 역사도 우리가 되셔기며 잊지 말아야할, 극복해야 할 대상이기에 외면한다는 것은 오히려 진실을 외면하려는 태도와 같다고 할 수 있겠지요!
암튼 군산은 우리 진해와 같은 시기에 개항을 맞게되었고, 도시의 구조도 비슷하여 참고로 할 것이 많았읍니다.


군산은 '근대문화도시'라는 도시정책을 통해 도시 미래의 명운을 '근대'라는 역사적 자산을 최대한 활용하려는 노력이 돗보였읍니다.

1. 근대문화 및 산업유산을 도시재생의 콘텐트로 잡아서 출발하였읍니다.
- 가장 먼저 시작한 것이 군산에 남아있는 근대건축물들의 실측을 통한 자료정리를 하였다고 합니다. 170여점의 적산가옥을 비롯한 공공건축물들의 실측조사 및 분포도 조사를 통해 향후 도시재생의 자산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기초조사를 하였다고 합니다.

2. 다음으로 한 작업이 이러한 자산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고 합니다.
- 우선 근대건축물들의 매입작업이 우선되었다고 합니다. 우선 공공의 성격을 가지는 관공서 건물에서 부터 창고에 이르기까지 하나, 둘씩 매입하여 단순히 전시용이 아니라 이러한 노후건축물들의 수선을 통해 역사관, 자료관, 체험관으로 활용하기 위한 사전작업을 하였다고 합니다.

3. 다음으로 이러한 건축물을 활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공모를 통해 설계안을 공모하고, 순서에 입각해 사업을 진행중에 있었읍니다.
- 가장 먼저 진행된 작업이 근대역사박물관을 건립하여, 앞에서 수집된 자료들을 전시하고 경험하고, 학습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었다는 것입니다.


- 박물관의 기능뿐만 아니라 군산학을 위한 연구소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군산에 관계되는 모든 논문과 학술저서를 모으는 규장각의 기능도 같이 겸하고 있다고 합니다.

4. 다음으로 진행되는 사업이 앞서 매입한 근대 공공건축물들의 활용방안을 모색하여, 근대역사관, 체험관, 휴게 및 정보제공기능을 하는 편의시설로 대수선하는 중이었읍니다.
- 사실 새로 짓는 것보다 공사비나, 노력이 훨씬 많아듬에도 불구하고, 원형을 유지하기 위해 재래식 공법으로 수선공사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읍니다. 이것은 앞서 실측을 통한 자료정리가 되었기에 가능한 일이겠지요.

 


5. 다음 사업으로 점차 범위를 넓혀서 적산가옥이 즐비한 중앙동 지역일대를 근대가로경관지구로 설정하여 일부 공공시설물을 짓고, 기존의 주택들은 대수선 및 보수를 통해서 정비하는 방식으로 진행중에 있었읍니다.
- 단일 건물을 짓는것 보다, 사람이 살고있는 집을 동의를 구해서 수리를 한다는 것이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만, 근대유산시설계 직원들과 박정희 시의원님과 같은 열혈 리더들이 앞서서 주민들을 설득하고 동의를 구해서 현재 공사에 진행중에 있었읍니다.


6. 이와 같이 근대라는 역사문화적인 컨텐츠를 가지고 도시의 미래를 향한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활용한다는 것은 타 도시에서 억만금을 주어도 따라 할 수 없는, 아픈 역사를 가졌던 도시만을 선택할 수 있는 콘탠츠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특히 마산과 진해지역은 이와 유사한 노후지역이 많읍니다. 참조할 점이 엄청 많으리라 생각합니다.

개발과 보존이라는 동전의 양면성과 같은 현대사회상에서 도시의 미래상을 그 도시만이 가지고 있는 역사성, 근대성에서 찾는다는 것은 결국 인문학이 우리의 미래를, 우리의 도시를 먹여살릴 콘텐츠의 보고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