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도시이야기

창원도시철도, 바로 알고 바로 하자 - 4

by 허정도 2013. 8. 1.

이번에는 창원도시철도의 차량시스템에 대한 내용입니다.

지난 5월 15일 있었던 타당성평가에서는 주로 '노면전차'와 '바이모달BRT'만 비교했다고 그 자리에 참석했던 분에게 들었습니다.

그 공청회의 발표를 맡은 교통전문가는 “일반버스BRT는 노면전차와 비교가 안 되는 불편하고 뒤떨어진 시스템”이라고 말했답니다.

차량시스템은 가장 중요한 결정 대상입니다. 특히 차량시스템은 투입비용을 결정하기 때문에 신중에 신중을 기해야 하고,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깊고 넓게 따져봐야 합니다.

특정한 시스템을 별 설명 없이 한마디로 “불편하고 뒤떨어진 시스템”이라 치부하면 곤란합니다. 도시철도에 들어가는 돈이 모두 시민 혈세이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는 “불편하고 뒤떨어진 시스템”이라고 치부한 버스BRT에 대해 생각해보겠습니다.

천천히 따져 보고 난 뒤 좋지 않다고 판단된다면 그 때 가서 채택하지 않으면 됩니다.

지금 단계에서는 모든 시스템의 광범위한 정보가 공유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타당성평가서에서도 일반버스BRT는 「비용이 저렴하고 저공해 친환경 시스템」이 장점이라고 표시해 놓았습니다.

하지만 단점을 나열하면서 「1량이라 승차인원이 적고, 소규모 교통수요에 적합하고, 교통약자 이용이 불편하며, 기존 버스와 동일해 차별이 곤란할 뿐 아니라, 도시 미관에도 도움이 안 된다」고 다섯가지를 지적했습니다.

이 다섯가지 단점과 앞에서 말한 "불편하고 뒤떨어진 시스템"이라는 주장에 대해 제 생각을 말해 보겠습니다.

먼저, 버스BRT를 설명한 내용을 보면 버스BRT에서 의미하는 버스가 현재 우리가 이용하는 시내버스와 유사하다고 말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저는 그 저의가 궁금합니다.

소위 전문가라는 분들이 버스BRT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는 세계의 도시들 중 우리 시내버스와 유사한 차를 사용하는 곳이 없다는 것 쯤은 상식적으로 알 텐데, 왜 굳이 이런 비유를 하는지, 그 까닭이 무엇인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BRT에서 말하는 버스는 지금 우리가 타는 버스가 아니라, 2-3량이 연결된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대형 버스를 말합니다.

한번 보시죠. 미국 오크랜드의 BRT 입니다.

 

타당성 평가서의 다섯 가지 단점에 대해 제 의견을 말해 보겠습니다.

1) 1량이라 60명밖에 못타니 승차인원이 적다라는 말은 무지하거나 고의성이 있다고 밖에 할 수 없는 주장입니다. 세종시 BRT는 2량, 꾸리찌바는 3량 2중굴절이며, 세계 각 도시에서 이용하는 버스BRT는 대부분 2-3량입니다. 위 사진에서 본 오크랜드 BRT도 3량입니다. 1량 BRT는 찾기 힘듭니다.

최근에는 최고 정원 270명 BRT버스까지 운행되고 있습니다. 정원 270명이면 타당성평가서가 제시한 노면전차 5량 246명 승차인원보다 많은 인원입니다.

2) 소규모 교통수요에 적합하다는 말에도 동의 할 수 없습니다.

인구가 창원시보다 훨씬 많은 브라질 꾸리찌바, 콜롬비아 보고타, 미국 LA, 중국 창저우, 호주 시드니에서도 이용하고 있으며 창원시와 규모가 비슷한 호주의 브리즈번도 버스BRT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사례는 수 없이 많습니다.

3) 교통약자 이용에 불편하다는 말은 더더욱 이해하기 힘듭니다. 너무 심한 주장을 하니 BRT버스를 타보기나 했는지 묻고 싶은 대목입니다.

사실 BRT는 차량만 다를 뿐 시스템은 노면전차나 바이모달과 대동소이합니다.

만약 BRT버스가 교통약자에게 불편한 점이 있다면 그것은 노면전차도 마찬가지입니다. 제가 타본 BRT버스는 교통약자에게 아무런 불편이 없었습니다.

4) 기존버스와 비슷해 차별이 곤란하다는 주장과 5) 그래서 도시미관에 도움 안 된다는 주장은 위의 사진에서 알 수 있듯이 답할 가치조차 없다 싶어 그냥 넘어가겠습니다.

다음 사진이 최초로 BRT를 도입한 꾸리찌바의 한 노선을 운행하는 BRT 버스입니다.

 

유수한 도시들이 BRT를 도입하는 이유는 엄청난 재정적자를 유발하는 기존의 지하철과 경전철을 대체·보완하기 위해서입니다.

타당성평가서에도 BRT가 km당 58억인 반면 노면전차는 226억이 든다고 해, 네 배 차이가 있다고 적혀 있습니다.

참고로 경전철과 비교해 보면, 국제기준으로 BRT가 1km당 100만 달러에서 1,000만 달러인데 비해 경전철은 2,000만 달러에서 2억 달러가 소요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 기준으로 보면 앞의 58억이 500만 달러에 가까우니 틀린 산정은 아닌 것 같습니다.

우리 도시에는 어떤 시스템이 적절한지, 신중하게 깊이 고민하되 실사구시의 자세로 답을 찾아보자는 것이 제 의견입니다.

충분히 검토한 후, 노면전차냐? 바이모달이야? BRT냐? 그 건 그 때 결정하면 되는 일입니다.

제발 성급히 결정해 김해처럼 후회하는 일 없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