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속 도시이야기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95) - 강점기 정리

by 허정도 2014. 1. 6.

지난 회 까지는 1945년까지 생성·변화해온 마산 도시의 변천과정을 총 194회에 걸쳐 소개했습니다. 오늘부터는 1945년까지 변해온 마산도시의 특성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도시의 구성요소로 ① 시민(citizen), ② 활동(activity), ③ 토지(land), ④ 시설(facility)의 네 가지를 듭니다만 이를 둘로 묶으면 인간적 요소(①시민, ②활동)과 물리적 요소(③토지, ④시설)로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글에서는 인간적 요소인「시민」과「활동」분야는 아쉽지만 논외로 하고「시민」의「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수용해 주고 뒷받침해 주는 물리적 요소, 즉「토지」와「시설」중 일부를 살펴보되 정확하게 확인되고 분석 가능한 것들, 즉

① 시가지 확산 : 도시영역을 형성하는 물리적 시설(도시의 공간 범위)

② 도로망 패턴 : 교통망(중심가로의 양태)

③ 토지 이용 : 공간의 성격(용도지역) 에 한하겠습니다.

이 세 가지는 도시의 내부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도시공간의 속성․패턴․변이에 대한 특성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금부터의 글은 「마산의 도시내부공간구조의 기본적인 패턴은 무엇이며 그것이 어떠한 과정을 거치면서 변화했고 그 결과의 성인(成因)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시가지 확산-

시가지 확산은 확산규모와 확산양상 두 부분으로 나누겠습니다. 금회는 확산규모에 대한 내용입니다.

도시의 성장은 다음의 두 가지 측면으로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

① 도시내부에서 양적․질적으로 발생하는 토지이용강도의 분포변화와

② 증가하는 인구와 경제활동을 수용할 수 있도록 토지를 확보하기 위한 구역확장이 그것입니다.

이 글에서 「시가지 확산」이란 ②의 경우, 즉 시역(市域)의 변화를 말합니다.

시가지의 확산은 보통 이전확산과 팽창확산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마산의 경우는 새로운 도시가 신설(공간 확산이란 의미에서는 이전확산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음)된 후 기존도시와 신설도시가 각각의 팽창과정을 거치며 공간이 확산․연결되었기 때문에 두 가지 양상을 모두 거쳤다고 볼 수 있습니다.

도시의 입지형태는 도시가 자리 잡는데 토대가 되고 도시구조나 형태구성에도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합니다.

이러한 입지형태는 도시가 자리 잡는데 가능한 지역과 불가능한 지역으로 나눌 수 있으며 최대의 시가화가 될 수 있는 영역은 위에서 말한 가능지와 불가능지의 경계선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입지형태라는 것은 도시가 입지할 수 있는 형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급사면(急斜面)의 형태와 지면(地面)과 지면이 아닌 면(예를 들어 하천의 수면이나 해면 등)의 형태적 관계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이상구, 조선후기 도시입지형태의 연구, 1993, p.41,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따라서 입지형태는 시가지를 최대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범위를 결정하는 것이며 아울러 시가지를 둘러싸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도시의 입지형태를 결정하는 요소로는 산과 바다 혹은 하천 등인데 산과 바다는 도시의 외곽형태를 결정하며 하천도 도시형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서 도시의 기본적인 골격을 이룹니다(박제용, 도시형성과정과 도시형태에 관한 연구, 1999, p.79, 한양대학교 박사논문).

마산은 백두대간의 종단점인 지리산에서 분기되어 남해안을 따라 동쪽으로 뻗고 있는 낙남정맥의 남쪽 산록(山麓)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서쪽으로 무학산(763m)이 대곡산(516m)과 연결되고 무학산에서 돌출한 환주산이 원마산과 맞닿아 있으며 북서쪽으로 팔용산(328m)이 에워싸고 있고 동쪽으로는 진해만의 내만(內灣)인 마산만에 길게 접하고 있습니다.

이런 자연적 조건 때문에 마산은 서쪽으로 무학산록과 동쪽으로 마산만 사이의 세장형(細長型)으로 좁고 긴 해안평지에 도시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장축(長軸)은 해안을 따라 평지로 형성되었으며 단축(短軸)은 사면(斜面)으로서 여러 개의 하천이 서쪽 무학산에서 동쪽인 마산만으로 흐르고 있습니다.

거슬러 올라가 보면 이러한 자연조건에 의해 정주 초기의 교통망도 결정되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최초에 조계지로 결정된 지역은 이와 같이 북쪽 원마산 방향만 제외하고 동․서․남쪽 모두 공간의 확장이 용이하지 않았던 자연적 한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마산의 도시변천에 대한 이해는 이러한 조건 위에서 바라보아야 합니다.

<시가지 확산 규모>

시가지는 일정규모 이상의 인구가 밀집하여 있는 토지이거나 도시적 토지이용이 연담(連擔)하여 있는 토지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겁니다.

시가지화(市街地化)는 위의 두 정의에 해당하지 않는 인접 토지가 두 정의의 영역에 포함되는 과정을 말하며, 도시변화과정의 고찰에서는 시가지화의 패턴과 시기 등은 중요한 연구 목표가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도시의 시가지화 시기를 일정하게 구분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토지이용 자료나 인구밀도, 인구규모의 지리적 분포에 관한 통계자료가 없으면 밝혀내기가 어렵습니다.

이에 대해 홍경희 선생 육군측지부대에서 쓰고 있는 지도제작법을 인용하여 다수의 건물이 연속 되던가 근접되어 있을 때 그것을 하나하나 기호화하여 상당부분이 중첩되는 장소를 시가(市街)라고 규정하였습니다(홍경희, 남한의 도시의 형성 / 경북대학교 논문집 No.9, 1969, 경북대학교).

그러나 조사대상이 넓어지면 시가지내에 농지 등 비도시적 용도가 섞여 있거나 부분적으로 건물이 세워져 있고 여타의 많은 대지가 공지로 남아 있는 경우는 지도상에 건물이 중첩되어 나타나지 않으므로 시가지로 간주할 수 없게 되는 폐단이 생깁니다.

이런 점을 감안하여 손태민 선생은 지도상에서 건물이 중첩되어 나타나지 않더라도 그 지구 내에 세가로망(細街路網)이 형성되어 있으면 그것을 시가지에 포함시켰습니다(부산의 도시성장과정과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p.27, 1987, 부산대학교 박사논문).

이 글에서도 조사대상이 넓을 뿐만 아니라 토지와 건물의 용도조차 명확히 알 수 없기 때문에 후자를 적용하겠습니다.

개항 이후부터 해방 때까지 변화한 마산의 시가지 면적을 정리한 것이 다음 표입니다.

본 표에 제시한 계수는 각 시기의 토지이용도에 나타난 시가지 범역을 근거로 한 것입니다. 실제와 상이하겠지만 시가지확산의 정도를 가늠한다는 수준에서 이 표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시기의 변화가 있었지만 시가지 면적의 변화가 조금도 없다고 한 것은 구체적인 범역변화의 물증을 찾기 어려워 이렇게 기재한 것인데 실제와 동일하지는 않습니다.

 

 시기구분

 1899년

1910년 

1920년 

1930년 

1945년 

 지역구분

마산 

 전체

원마산 

신마산 

전체 

원마산 

신마산 

전체 

원마산 

신마산 

중앙마산 

전체 

전체 

 시가지면적(A)

0.19 

 0.19

0.19 

 0.64

0.83 

 0.42

 0.64

 1.06

 0.90

 0.64

 0.11

1.65 

 4.37

 확장면적(B)

 

 

0.64 

0.64 

 0.23

 0

 0.23

 0.48

 0

0.11 

 0.59

 2.72

 시기별확장비율(B/A×100)

 

 

100 

 

437 

221 

 100

 128

214 

100 

 

156 

 265

 누계확장비율(B/0.19×100)

 

 

100 

 

 437

 221

 100

558 

 474

 100

 

 868

 2,300

<시가지 규모 변화 양상 / 단위 ; 면적 ㎢, 비율 %>

 

위의 표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 다음 그림입니다.

이 결과에 따르면 1899년 개항 당시 원마산의 시가지 면적은 0.19㎢이었는데 이 규모가 1910경까지 그대로 존속하다가 1920년에는 0.42㎢, 1930년에는 0.90㎢로 확장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신마산은 개항 직후 조성되기 시작하여 1910년에 0.64㎢ 규모로 급성장하였다가 1920년까지는 더 이상 다른 변화가 없었으며 이런 상태는 1930년까지 지속됩니다.

하지만 1920년대에 건설이 시작된 중앙마산지역에 0.11㎢규모의 면적이 시가화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변화과정을 거쳐 1945년에는 신마산과 원마산이 하나의 도시로 연결되면서 전체 시가지가 4.37㎢ 규모로 확장되었습니다.

각 시기 별로 구분하여 확장규모를 살펴보면 1899년부터 1910년까지 0.64㎢가 늘어나고 그 후 10년간 0.23㎢가 늘어나 총 1.06㎢가 되었다가 1920년대는 0.59㎢가 늘어나 1.65㎢가 되었고, 그러다가 1930년부터 1945년까지의 15년 동안에는 무려 2.72㎢가 늘어남으로써 전체 시가지 면적이 4.37㎢로 대폭 넓어졌습니다.

전체적으로 볼 때 1910년대에 비해 그 전후시기인 개항기와 1920년대에 시가지가 많이 확산되었다가 1930년대 이후에 확산의 규모와 속도가 급속히 상승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전체 변화과정의 결과를 보면 1899년 개항 당시 원마산의 시가지 면적 0.19㎢에 비해 1945년 마산의 시가지 면적이 4.37㎢로서 이는 무려 23배가 늘어난 규모입니다. 엄청난 변화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