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속 도시이야기

마산 창원 역사 읽기 (43-마지막 회) - 매립의 도시, 마산

by 허정도 2015. 3. 16.

5. 삶과 문화로 보는 마산·창원의 역사

5-8 매립의 도시, 마산

 

19세기 말, 동성리(현 동성동)에 김경덕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개항된 해인 189910월, 마산포 조창에 들어있던 창원감리서에 ‘서성리에서 오산리(현 오동동)에 걸친 간석지 50파(把, 1파는 양팔을 벌린 길이)를 매립하여 선창의 혼잡을 덜고 지역을 발전시키겠다’는 내용의 청원서를 제출하여 정부로부터 매립허가를 받은 사람이다.

당시의 상황으로 항만건설과 매립사업을 생각한 것은 놀라운 일이다. 일본상인 히로시 세이죠(弘淸三)에게 15,000량의 공사비를 차용하여 매립공사에 착공했으나 안타깝게도 사망하여 그의 꿈은 사라지고 말았다.

1906년 히로시는 김경덕의 매립인허장을 저당 잡을 때 작성한 전집표에 ‘차용금을 갚지 못하면 매립권은 채권자에게 귀속된다’는 것을 근거로 권리의 승계를 요구했고 창원감리서 주사 김병철은 이를 허가했다.

그러나 이 보고를 받은 의정부 참정대신은 가볍게 처리할 문제가 아니니 빨리 취소하라고 엄명했고 창원감리 이기(李琦)가 히로시에게 즉각 사정을 통보했지만 히로시는 이에 응하지 않았다.

오히려 경성통감부를 통해 매립 사업을 하게 해 달라는 청원서를 제출했고 내각총리대신 이완용은 창원감리에게 사건의 재조사를 명했다.

이에 대해 창원감리는 ‘만약에 마산포 해안을 타인이 매립하게되면 마산포는 입이 틀어 막힌 목구멍이나 문이 잠겨버린 집과 같이 되어 마산포 수천호 주민은 결국 생업을 잃고 흩어져 비참하게 될 것이라’ 는 내용으로 보고했다.

그리고 기왕 매립을 하려면 마산포 주민들의 힘으로 해야 된다고 덧붙였는데, 이때 마산포의 자본가 15명이 4만원을 모아 공동으로 매립을 청원하였다.

그러나 이 공동매립 청원은 신청한지 1년이 넘도록 정부로부터 아무 해답을 못얻었으며 시간이 흘러 1910년 한일합방이 되었다.

결국 김경덕도 히로시도 마산포 해안을 매립하지는 못했다.

 

<매립 전의 월포 해수욕장>

 

-사라진 마산포 선창-

하사마 후사다로(迫間房太郞)라는 일본인이 있었다.

하사마는 부산 제일의 땅부자로 유명한 동래별장의 주인이며 부산 경제를 좌우한 자다.  경남 도내 소작지의 3.5%를 소유하고 소작농을 자그마치 2,000여호나 거느린 대지주였다.

러시아와 일본이 마산 율구미를 두고 각축을 벌인 마산포 사건 때 조선인 지주들을 꾀어 토지를 매수, 러시아의 마산 진출을 막은 공로로 일본정부로부터 서훈을 받기도 한 자다.

합방 후 부산·경남 일대를 호령하던 이 하사마가 오래 전 김경덕이 꿈꾸었던 마산포 남성동 해변을 매립하게 되었다. 김경덕이 매축권을 얻은지 12년만의 일이다.

대지 8,000평 도로 3,600여평 합11,600여 평의 대규모로 1911년 착공, 19147월 준공하였다.

전주(錢主)는 하사마(迫間)였지만 이 사업을 마산에서 직접 시행한 이는 합방 전 김경덕의 매립권을 얻기 위해 날뛰던 히로시 세이죠(弘淸三)였다.

매립이 끝나자 이중 극히 일부를 제외한 모든 토지가 하사마의 소유가 되었으며 19362월 그의 아들로 추정되는 하사마 히데오(迫間秀雄)에게 상속되어 해방 때까지 전부를 소유하고 있었다.

매립 후부터 마산의 중심상권이 되었던 이 지역은 일제강점기 내내 마산포 상권의 요충지였다. 그리고 이 매립지 전체를 일제시대 내내 하사마에게 모든 상인들이 대지와 혹은 건물을 임대하여 영업하였다.

이 매립으로 마산포 중심상권이 크게 변했다.

일찍이 두개의 굴강과 네개의 선창을 중심으로 발전한 마산 어시장은 전국적 규모로까지 성장하였다.

그러나 하사마의 토지가 모든 해안을 차지하게 되어 굴강과 선창은 없어지고 마산포는 젖줄인 바다와의 연결이 끊어지게 되어 그 중심상권이 새로 조성된 매립지 쪽으로 옮겨진 것이다.

<마산포 가로망(점선으로 표기된 길 주변이 변화한 곳이었다)>

 

마산만 최초의 매립은 1905년 현 중앙동 해안이 일본 군부에 의해 철로정차장 건설을 구실로 시행된 것이며 두 번째는 19097월 진해에 있던 육군중포병대대가 월영동(현 월영동 아파트 단지)쪽으로 이전되면서 이 일대 일부를 군용지 확보를 이유로 매립한 것이다.

그러나 민간인에 의한 매립은 하사마의 것이처음이었다.

일본군부에서 시행한 앞의 두 매립은 그 특수성 때문에 매립의 규모와 위치 등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할 수 없다. 단지 해안선의 변화를 알 수 있는 여러자료와 철도 및 육군중포병대대 이전에 관한 기록을 보고 추정할 뿐이다.

남성동 매립 후 해안에는 석축안벽(石築岸壁)과 석축돌제(石築突堤) 등 항만시설이 조성되었고 선박의 접안·정박시설과 물량장이 갖추어졌으며 통영, 거제 등지를 비롯한 남해안 일대를 운항하는 연안 여객선 부두로 사용되었다.

 

-직선으로 변해버린 천혜의 해안-

1920년 조선회사령이 폐지되었다.

그 동안 뜻을 이루지 못했던 마산의 일본자본가들이 회사를 설립하기 시작했고 한국인도 일부 창업하면서 1920대 마산 도시는 변화를 맞는다.

마산은 한국과 일본을 손쉽게 연결할 수 있는 입지조건과 철도로 내륙까지도 손쉽게 연결되므로 타 지역에 비해 공업도시로서의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그러나 마산만과 무학산이라는 배산임수의 자연조건 때문에 대규모 산업시설을 수용할 수 있는 가용부지가 부족했다.

마산과 부산 혹은 본국에 있던 일본 자본가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부지조성방법으로 폭 70m에서 200여m의 간석지가 있는 마산 해안의 매축에 눈을 돌렸고 이들에 의해 시행된 마산의 매립은 해방 때까지 지속되었다.

마산이 끼고 있던 해안의 간석지가 일본자본가의 입장에서 볼 때는 손쉽게 큰 돈을 쥘 수 있었던 투자의 한 방편이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마산 도시의 역사는 매립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매립과 함께 도시가 바뀌고 매립과 함께 교통과 산업도 변화했다.

그러나 일제에 의한 마산매립은 마산부나 조선총독부가 전체적인 도시의 균형발전을 위해 일관되게 계획, 시행되었던 것이 아니라 오직 매립 주체인 개인과 기업의 경제적 필요에 의해 시행되었던 것이다.

 

<매립 전의 마산만>

 

1920년대 말부터 시작된 마산매립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1927년 : 남성동 어시장 너른 마당 일대 252평이 마산부에 의해 매립되었다.

2) 1928년 : 신마산에오래 동안 살아온 일본인 목재상 메가다 헤이자브로(目加田平三郞)가 우리나라 철도건설에 참여한 후 이름이 알려진 서울의 토건업자아라이(荒井初太郞)에게 의뢰하여 본정(本町,현월남동) 앞 해면을 매립했다. 현재의 경남은행 신마산지점 남쪽 건너편 일대와 옛 진일기계, 유원산업주변 10,500여 평의 넓은 면적이었다. 해안선은 석축안벽으로 시공되었고 유원산업 앞에는소규모의 선착장이 마련되었다.

3) 1929년 : 오동교에서 해안을 끼고 남쪽으로 2,100여평이 매립되었다. 이곳은 당시 야마다(山田)장유(현 몽고간장)의 사주 야마다 노부스케(山田信助)에 의한 것이었다.

4) 1935년 : 남성동 건어물시장 일대 1,000여 평이 마산부에 의해 매립되었다.

5) 1935년 : 신포동 삼익아파트, 대우백화점, 대한통운 일대에 대지 48,000여평, 도로17,000여평, 총65,000여평의 대규모 매립이 있었다. 이 사업에 참가한 일본인은 모두 여섯 명으로 그 중 두 명은 부산, 한 명은 일본에 거주하고 있었으며 이 일을 추진하기 위해 마산매축주식회사라는 새로운 토목회사까지 설립하였으며 자산동 임야를 매입하여 그곳의 흙을 파 매립토로 사용하기도 했다.

당시 마산의 도시형태는 몽고정 부근에서 해안은 깊고 환주산은 돌출해 나와 가용대지가 잘록해서 마산포와 신마산 두 도시를 지형적으로 단절시키고 있었다. 그런데 이 매립으로 노선(路線)만으로 연결되던 두 도시가 하나로 바뀌었다.

일제강점기 마산 최대의 매립이었다. 이 곳은 원래 북에서 남으로 2㎞이상이나 되는 아름다운 백사장 때문에 전국으로 널리 알려져 있던 월포해수욕장 부근으로 알려져 있다.

6) 1931년 ~ 1942 : 창포동과 월남동 일대 13,700여 평이 7차례에 걸쳐 매립되었다. 좁게는 4~500평, 넓게는 3~4,000평 규모로 진행된 이 매립은 여러 명의 일본인들에 의해 시행되었는데 주로 자신들의 공장이나 조선소 부지를 확보하기 위한 것들이었다.

7) 1942년 : 마산 수협 자리와 동양공업, 신기사 등이 있던 11,800여 평이 부산의 토건업체 다케모토 구미(竹本組)에 의해 매립되었다. 일제기 마산포의 매립공사는 이것이 마지막이었다.

8) 1944. 12 : 마산의 명승지 월포해수욕장이 매립된 이후 고노에가하마(近衛濱) 해수욕장이란 이름으로 이용되던 해운동 일대(전 마산화력발전소자리)의 해변 12,200여 평이 일본인 나까무라 시게오(中村繁夫)에 의해 매립되었다. 그러나 완공된 지 8개월 만에 일제가 패망하여 해방 당시 공터로 버려져 있었고 시기를 잘못 선택해 크게 실패한 나까무라는 후에 마산에서 그이름이 회자되기도 했다.

9) 이 외에 1935년부터 1945년까지 제2부두, 제1부두, 중앙부두 등을 건설하면서 총 4차례 42,000여평이 매립되었다.

 

해방 당시, 아름답기로 소문났던 천혜의 마산 해안은 인위적으로 조성된 직선형 호안으로 바뀌어 있었다.

해방된 지 40년, 창포동에서 월영동까지의 서항과 오동동에서 서성동에 이르는 구항 일대의 매립공사가 1985년 착공 후 1993년 준공될 때까지 일제에 의해 조성된 이 해안은 수십년 동안 존속하였다.<<<

허정도 / 건축사, 창원대 건축학부 겸임교수

-----------------------------------------------------------------------------

이 글로써 43회 연재한 <마산·창원 역사 읽기>는 전부 끝났습니다.

애당초 계획대로라면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의 해방 이후부터 현재까지를 시작해야 합니다만 아직 준비가 다 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다음 주부터는 다시 마산 도시의 근대기 이야기를 다룬 책, 목발 김형윤 선생님의 『마산야화 소개하겠습니다.

김형윤 선생님은 마산지역의 원로 언론인이셨고, 소개드릴 책 『마산야화』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마산의 지난 세월을 알게 해준 고마운 유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