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속 도시이야기

고지도로 보는 창원 13. - 창원부 조선지도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7. 6. 26.

▮ 고지도로 보는 창원13. - 창원부 朝鮮地圖

 

창원부 조선지도(奎16030)/ 필사본(방안식)

 

- 지도 개요 : 본 지도는 전라도를 제외한 함경도, 평안도, 강원도, 황해도, 충청도, 경상도의 고을 순서대로 1책에서 7책으로 묶여있는 지도책이다.

목차 부분에 ‘備邊司’라는 도장이 찍혀있어, 비변사에서 보관하며 사용하던 지도였음을 알 수 있다. 지도의 제작시기는 1750년에서 1768년 사이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모든 지도는 4.2cm의 方案 위에 그려져 있다. 이 방안은 縮尺의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전국 모든 고을이 동일한 축척 아래 그려져 있는 보기 드문 지도책이다.

동일한 정보는 동일한 기호로 표시하는 범례도 고을의 읍치와 감영·병영·수영, 종6품의 察訪이 파견된 찰방역, 군사시설인 鎭堡와 烽燧, 稅穀의 저장과 운반을 위한 倉庫 등의 7개 부분에서 모든 지도에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반 고을의 邑治는 붉은색의 큰 동그라미로 표시하였으며, 성곽이 있는 경우는 검은색 테두리의 원을 하나 더 그려 넣었다. 각 고을의 監營은 붉은색의 정사각형으로 표시하였으며, 성곽이 있는 경우에는 성곽 모양을 표시하였다.

兵營과 水營은 파란색 사각형으로 표시하였으며, 성곽이 있는 경우에는 파란색 테두리의 사각형을 하나 더 그려 넣었다.

종6품의 察訪이 파견된 찰방역의 경우는 붉은색의 작은 동그라미로 표시하여, 고을의 읍치와 구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군사시설인 鎭堡는 푸른 색 마름모(다이아몬드) 모양으로 통일하였으며, 倉庫는 건물 모양으로, 烽燧는 불이 펴져 있는 봉수 모양으로 표시하였다.

 

 

 

읍치를 중심으로 16개 면(運)이 표기되어 있다. 북1,2,3운, 서1,2,3운, 동1운, 동2운 2개, 동3운, 신풍(면), 도하1,3운, 남1,2,3운으로 나뉘어져 16개면이 나타나 있다.

(조선후기에 面 명칭의 다른 표기로 運, 坊, 社 등을 사용하였다.)

중심이 되는 읍성은 읍치를 나타내는 붉은 색 동그라미로 표기되어 있으며, 북측에 주산에 해당되는 檐山이 자리하고 있다.

 

자연지리 조건을 살펴보면

북측방향으로 칠원계에 면하여 茂積山이 있으며, 아래로 철마봉과 백월산이 있다. 북면으로 넘어가는 고개길로 堀峴이 있다.

서측 방향으로 구병영성의 진산에 해당되는 청룡산이 있으려 아래로 두척산과 성황봉대가 연이어 있으며, 서2,3운에 걸쳐 匡山, 生蕫山이 이어져 있다. 생동산을 마주한 해안변에 船頭山이 있으며, 이곳에서 남측방향 진해계와 칠원계에 면하여 고개길 大峙가 있다.

동측 방향으로 진산인 첨산에 이어져 염산, 봉림산, 전단산, 불모산이 남측방향으로 이어져 있다.

섬은 합포에 猪馬島(현재 저도)로 표기되었다.

주요 건조물로 읍성 아래 盤倉, 남측 합포에 면한 곳에 海倉, 漕倉이 건물그림으로 표기되어 있다. 역원으로 자여역은 찰방이 파견된 역을 나타내는 붉은 원이 그려져 있으며, 이 외에 안민역, 근주역이 있다.

이 외에 구병영, 회원서원이 서1,2운 지역에 표기되어 있다.

주요 도로망은 남측으로 웅천으로 향하는 안민령 방향 길고, 자여역을 지나 김해부로 향하는 길, 굴현을 지나 청룡산을 넘어가는 칠원으로 향하는 길, 남서방향으로 진해로 향하는 4방향 길이 표기되어 있다..

주요 나루터로는 북측으로 낙동강 변에는 분2운 지역에 孫哥津이 있다.

봉수는 남측방향 해안변에 떨어져 잇는 내포에 여음포와 두척산 아래 성황산포 2개가 나타나 있다.

 

지도에 포함된 내용을 자연지리와 인문지리로 구분하여 정리하면 다음 표와 같다.

 

구분

소분류

명 칭

행정

면.리

북1,2,3운, 서1,2,3운, 동 1,2,2,3운, 남1,2,3운, 도하1,3운, 신풍(면)

16

자연지리

산천, 고개

무적산, 철마봉, 백월산, 첨산, 염산, 청룡산, 두척산, 광산, 생동산, 선두산, 봉림산, 전단산, 불모산

대치, 굴현, 안민령

16

島嶼, 나루터

저마도, 손가진

2

인문지리

읍성

읍치

1

교육

회원서원

1

사찰

-

-

역원, 烽燧

자여, 안민역, 근주역,

여음봉, 성황산봉

5

기타

盤倉, 海倉, 漕倉, 古兵營

4

 

전체 지도의 구성이 매우 간결하다.

먼저 수계를 나타내는 형식으로 물길과 해안은 청색으로, 산세는 산형으로 방향성만 묘사하고 청색을 채색하여 산세의 흐름을 나타내었으며, 외방에 면하는 주요 간선도로는 적색으로 표기하였다.

몇가지 범레, 읍치는 큰 붉은원, 찰방파견 역원은 작은 붉은 호를 사용하였으며, 각종 창고는 집그림으로 묘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