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속 도시이야기

기억을 찾아가다 - 4

by 운무허정도 2017. 11. 6.

4. 한국전쟁기의 봉암동 - 미군들

 

미군들에 대한 이야기의 상당 부분은 필자의 졸저 상식의 서식처에서 빌어 오고자한다.

 

피난처에서 돌아온 날부터 나는 참 신기한 것들을 많이 보았다.

귀를 막아야 할 정도의 굉음을 내며 땅 흔들림을 발로 느낄 정도로 요란스레 굴러가는 탱크와, 탱크 위에 달린 대포보다 훨씬 큰 포를 끌고 가는 차, 엄청나게 크면서도 쇠뭉치로 만든 것 같이 견고해 보이고, 그러면서 간혹 꽝하고 큰 방귀를 뀌는 것 같은 소리를 내며 달리는(그래서 우리들은 그것을 방귀쟁이 차라 불렀다) 큰 군용차 등이 모두 신기하게 보였다.

그리고 더 신기한 것은 그 위에 앉은 모든 군인들이 희고 검은 괴상하게 생긴 사람들이란 사실이었다. 우리 집은 마진국도변에 있었기 때문에 그런 광경들을 많이 볼 수 있었다.

진해항에 싣고 온 군인과 장비들을 수송하는 일이 내 기억엔 한 달 이상 지속되었던 것 같다. 낮엔 마루와 방을 덮은 흙먼지 때문에 지겨워했고, 밤엔 귀가 멍하고 어깨가 털썩거려 몇 번씩이나 깨다가 다시 잠들곤 했다.

 

<6.25때 미군이 탔던 GMC 군용트럭>

 

열 살 나이에도 전쟁의 심각함이나 우리들의 앞날에 대한 염려 같은 건 염두에 없었던 것 같다. 그저 처음 보는 피부색들과 생김새들이 신기했고, 굉장하고 다양한 무기들과 장비들에 경이의 눈길을 주었던 기억들만 남아 있다.

이웃 양덕동에 제법 큰 규모의 미군부대가 들어섬으로써(양덕시장 일대) 우리들이 미군들을 보고 대하는 일이 잦아졌고, 그래서 동네사람들의 일상사에도 적잖은 변화가 생겼다.

우리 또래들이나 서너 살 위아래까지도 미군차가 지나가면 손을 내미는 일이 다반사가 되었다. 간혹 던져주는 껌이나 비스켓 등에 맛을 들였기 때문이다.

좀 큰 형들은 세차를 하는와시와시꾼이나 구두를 닦는슈샨보이로 나서기도 했다.세차는 주로 어린천이나 양덕천에서 했고 구두닦이는 부대 근처에서 했다.

 

지금 사보이 호텔 조금 아래쪽이나 양덕오거리 정도가 되겠는데, 사오 명씩 조를 이루어 대기하고 있다가 미군 차가 오면 와시와시하면서 다가가고 운전수가 얕은 곳에 차를 세우면 물세차를 해주고 돈이나 물품을 받았다.

대체로는 나온 순서를 지켜 일거리를 받았는데 간혹 어거지를 쓰는 패들이 있어 미군 앞에서 볼썽사나운 싸움을 벌이기도 했다.

부대 주둔 얼마 후부터 위안부들이 부대 근처로 접근하면서 다방이나 술집들이 많이 생겼는데, 구두닦이들은 이 업소들에 다니면서 일을 한다고들 했다.

또 큰 형들 중엔 미군 보급품 수송차들이 어두울 때 지나가면, 속도가 느려지는 길이 험한 곳에서 뛰어 올라 물품을 훔치는(‘도꾸다이라고 불렀다) 위험한 짓까지도 하는 사람이 생겨났다.

그런 한편, 일반 시민들이 피해를 입는 일도 참 많이 일어났다.

 

길가에 서 있는 방구쟁이차 앞자리엔 흑백 병사 둘이 탔고, 뒤 칸엔 대여섯 명이 있었는데 조수석에 앉은 혹인 병사가 창턱에 걸친 군용화 옆구리에 뭘 대고는 찍 긋자 불이 붙었다.

아무 것에나 마찰만 시키면 불이 나는 대가 굵은 성냥을 그때 처음 봤다. 그는 그걸로 담뱃불을 붙인 뒤 바로 옆 초가지붕 위로 휙 던졌다. 대가 굵어서 그런지 성냥불은 꺼지지 않고 지붕에 떨어져 초가을 날씨에 잘 말라있는 초가를 삽시간에 살라버렸다.

집주인 김 씨 아저씨네 식구들은 아직 돌아오지 않았는지 보이지 않았고 이웃사람 서너 명이 뛰어 나왔으나 손쓸 엄두도 못 내었다. 물 한두 통 끼얹다가 그만두고 집과 미군들을 번갈아보며 멍청히 서 있을 뿐이었다.

그런데 미군들은 뭐가 그렇게 재미있는지 저희들끼리 손뼉까지 쳐가며 깔깔대고 웃더니 껌과 과자가 든 깡통 몇 개를 던져 놓고는 꽝하는 큰 방귀소리를 한번 낸 뒤 떠나가 버렸다. 가면서도 그들은 연방 호쾌한 웃음소리를 남겼다.

 

함지 이고 가는 부녀자 옆에 다가가 자동차로 폭발음을 내어, 놀란 부녀자들이 함지를 팽개친 채 논으로 빠지는 것을 보고 깔깔대는 광경 정도는 다반사였다.

수레 옆을 지나면서 굉음을 내어 놀란 소가 폭주하는 바람에 수레가 도랑에 빠지거나 농부와 소가 다치는 일도 종종 일어났다.

 

전쟁 전에 집에서 합포초등학교까지 2남짓 가는 동안 자동차 10대 이상 보는 일도 드물었는데 그즈음해서는 차 소리 그칠 새가 거의 없었다.

수레에 올라앉아 고삐를 느직하게 잡고 소 가는대로 맡겨놓던 풍경은 거의 사라졌다.

당시엔 진해나 상남에서 다니는 버스는 없었고 상남에서 오동동까지 정기적으로 다니던 열 서너 명까지 합승할 수 있는 포장마차가 있었는데, 언제부터인지 안 다닌 것도 이런 도로 사정 때문이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박호철 / 창원미래연구소 이사장

 

 

 

 

 

 

'역사속 도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억을 찾아가다 - 6  (0) 2017.11.20
기억을 찾아가다 - 5  (0) 2017.11.13
기억을 찾아가다 - 3  (0) 2017.10.30
기억을 찾아가다 - 2  (0) 2017.10.23
기억을 찾아가다 - 1  (4) 2017.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