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속 도시이야기

기억을 찾아가다 - 11

by 운무허정도 2017. 12. 25.

11. 정전 후의 체험들 - 수학여행

 

전쟁이 막바지로 갈 때쯤 해선 민간자동차도 많이 다니는 것을 실감할 수 있었다.

주로 화물차가 많이 보였는데, 마산 부산 간에만 다니던 버스 숫자도 상당히 불어난 걸 느낄 수 있었다.

대부분 군에서 불하된 차들을 개조한 것이었다고 했다. 화물차는 약간만 고쳐서 다니는 것으로 보였고, 버스는 엔진만 쓰고 껍데기는 드럼통 등을 두드려 맞춘 것이었다고 들었다.

<전쟁 직후 미군이 버린 드럼통을 펴서 만든 한국 최초의 버스>

 

어떤 차든 그때 우리들 사이에선 차타본 경험이 큰 자랑거리가 될 정도로 자동차에 대한 호기심이 많았다.

봉암동에서 양덕동으로 조금 나오면 양덕교(수출자유지역후문앞)로 오르는 고개가 지금보다 높게 있었는데, 당시 화물차의 엔진 힘으로는 그 정도의 고개에서도 힘들어 했다.

우리는 언제부터인가 거기에서 차에 기어 올라타고 가다가 오동동다리 고개에서 뛰어내려 학교로 가는 행태에 재미를 붙였었다.

차타는 재미에 허기졌던 아이들처럼, 때로는 차위에서 조수에게 꿀밤을 맞아 가면서도 그 행위에 재미가 들어 있었다.

그런 우리들에게 삼 일내내 차를 타고 여행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 것은 그야말로 하늘이 내린 호기였다할 만큼 뜻밖이기도 했다.

행선지는 경주, 차는 트럭이었다. 과정은 전술한 졸저 상식의 서식처를 활용하겠다.

 

행비는 아주 쌌지만 그것도 부담할 수 있는 상당수는 못 갔다. 차는 한반에 한대씩 배정되었다.

60명 중에 40명 안팎이 참가한 것으로 기억되었는데, 체격이 작은 애들이었지만 3톤 트럭에 40명이 앉으니 너무 비좁아서 앞사람의 엉덩이에 뒷사람의 다리를 꽉 붙이고도 제일 뒤의 두어 줄은 앉지 못하여 선생님들이 더 붙어 앉으라고 고함을 치던 모습이 생각난다.

그런데 그 다음의 과정들은 더 뚜렷한 영상으로 남아 있다.

차가 출발한지 10분도 안되어 뒤에 앉은 우리들이 신기함에 놀라 웃어댔던 일이다. 그렇게 좁던 자리가 등 뒤에 4~50cm 남을 정도로 넓어진 것이었다.

굵은 자갈들이 어지럽게 깔린 길을 털털거리며 달리니 짐칸이 키질을 하여 짐들(우리들)을 모두 앞쪽으로 쓸어버린 것이었다.

당시는 마산시내도 중심 간선도로 한두 곳만 엉성하게 포장이 되어있을 정도였으니 경주까지는 물론 이런 험한 도로의 연속이었다.

지금 생각하면 시속 30~40km를 넘지 못했을 속도였으련만 그땐 날아가는 기분이었다.

큰 돌에 바퀴가 튀어 뒤에 앉은 우리들은 한참동안 공중에 떴다가(기분에) 쿵하고 바닥에 엉덩방아를 찧는 일이 거의 연속되다시피 했지만, 그것을 괴로워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엉덩이에 멍도 들고 멀미난 친구들도 있었으련만 그런 것을 보았거나 느낀 기억은 지금 남아있지 않다. 대부분 처음 경험하는 쾌감에 웬만한 고통은 묻힐 만 했으리라는 생각을 나이 들어서도 한번 씩 해보았다.

그도 그럴 것이 열차로 진영 정도만 갔다 와도 다음날 친구들로부터 큰 부러움의 눈길을 받던 시대였기 때문이다.

<시커먼 연기를 뿜으며 칙칙푹푹 내달렸던 옛날 기차>

 

창밖으로 팔을 내미니 팔꿈치가 부러지는 것 같더라 느니, 전봇대가 뚝 부러지는 것 같더라 느니, 말도 안되는 뻥을 쳐도 신기함과 부러움으로 넋을 놓던 친구들의 모습에 더욱 신이 나서 점점 더 부풀려 떠들어 대던 시절이었다.

저기 가는 저 아가씨 유우에엔 사아모님.”

전우의 시체를 넘고 넘어 앞으로 앞으로.”

어디서 배웠는지 시속을 풍자하는 노래나 유행가 등을 한 사람이 선창하면 대부분이 따라 불렀다.

레코드나 라디오를 구경하기 어려운 시절이었는데도 어떻게들 익혔던지 목이 터져라 잘들도 불렀다.

맞은편에서 오는 차가 흙먼지를 퍼부어도 노래는 잠시도 멈추지 않았다. 그런 와중에서도 주먹밥을 먹는 친구들도 더러 있었다.

……입엔 흙먼지가 덮여 간혹 모래가 씹혀도 뱉어내는 일은 있을 수 없었다.

밥을 입으로 가져가는데 차가 튀어 오르면 밥 뭉치가 뺨이나 턱을 쳐 발리기도 해 서로 보며 웃기도 했는데, 그럴 때도 먼지 묻은 밥 알갱이지만 말끔히 뜯어 먹었다. ……

 

고적 관람시의 느낌은 기억나는 게 없고, 첨성대와 다보탑 앞에서 찍은 명함크기의 학급 단체사진이 있었는데 그것도 보관 못 한 내 처신이 아쉽다.

그리고 올 때의 기억이 거의 남아있지 않은 것은 피로 때문이었을 거란 생각이 든다.<<<

박호철 / 창원미래연구소 이사장

 

 

 

'역사속 도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억을 찾아가다 - 13  (0) 2018.01.15
기억을 찾아가다 - 12  (0) 2018.01.08
기억을 찾아가다 - 10  (0) 2017.12.18
기억을 찾아가다 - 9  (0) 2017.12.11
기억을 찾아가다 - 8  (0) 2017.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