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도시이야기

안상수 시장은 철거민의 눈물 닦아주시라

by 운무허정도 2018. 3. 1.

 

연휴가 끝난 다음 날, 나는 한 언론사의 취재에 동행해 재개발로 철거 중인 마산 회원동 일대를 다녔다. 내가 태어난 곳이고 서른까지 산 곳이었다. 지금도 매일 두 번씩 지나는 곳이기도 하다.

그날 나는 몰상식과 몰염치의 밑바닥을 보았다. 그것은 또한 우리 모두의 민얼굴이기도 했다. 내내 참담했고 암울했다. 그리고 부끄러웠다.

 

시개발로 버림받는 가난한 사람들의 한과 눈물은 어제오늘 이야기가 아니다. 지금은 성남시가 된 광주대단지 철거민의 실상(1971)이 가장 먼저 터진 사건이었다.

압권은 조세희의 연작소설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1976)’이었다. 영희의 다섯 가족 삶을 송두리째 무너뜨린 개발독재의 실상을 적나라하게 드러낸 소설이었다. ‘난쏘공이라 부르며 숨어서 읽었던 불온서적(?)이기도 했다.

9년 전에 일어난 용산철거민진압은 잔인한 사건이었다. 개발에 눈먼 권력의 폭력에 무고한 생명들이 죽고 다쳤다.

다시 세월이 흘렀고 국민소득도 높아졌다. 하지만 상황은 조금도 변하지 않았고 한 발짝도 앞으로 나가지 못했다. 난쏘공 영희의 다섯 가족은 아직 도처에 그대로 있다. 아니, 오히려 좀 더 교묘해진 수법으로 가난한 사람들을 내치고 있다.

정부가 공공임대주택건설에 주거복지의 방점을 찍긴 했지만 가난한 이들이 체감하기에는 길이 너무 멀다.

 

거가 시작된 회원동 재개발구역은 아수라장이었다. 이미 떠난 사람들이 많았지만 아직 남아있는 이들도 많았다. 남은 이들은 조여 오는 철거장비의 굉음을 들으며 절망의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보상금이 6~7천만 원으로 정해진 가구가 대부분이었고 심지어 3천만 원이 채 안 되는 집도 있었다.

재개발 후 들어 설 아파트의 분양가는 대략 3억쯤이다. 이들이 새 아파트에 입주하려면 2억 넘는 돈이 필요하다. 그 외에 다른 방법은 없다. 돈 없으면 재 입주할 수 없다는 것, 그것이 현실이고 법이다.

골목 한 쪽에서 말쑥한 차림의 청년과 한 아주머니가 마주서서 승강이를 하고 있었다. 보상금을 받아가지 않으면 강제철거 당합니다. 그게 법입니다. 더 이상 기다릴 수는 없습니다.” 하소연하는 여인을 향한 청년의 목소리가 당당했다.

방송사 카메라를 본 주민 몇 사람이 다가왔다. 칠십이 넘어 보이는 한 여성이 울먹이며 입을 열었다. 우리는 그 돈으로 어디로 가야됩니까? 갈 수 있는 곳이 어디 있기나 합니까?”  말이 좋아 이주지 사실상 법의 이름으로 가난한 이들을 쫓아내고 있었다.

법치국가, 민주국가, 국민소득 3만 불을 말하는 나라에서 오늘현재 벌어지고 있는 일이다.

쫓겨나는 이들이 투표해서 뽑은 공직자 누구 한사람도 이들의 아우성에 귀기우리지 않는다. 진즉 해결할 수도 있었던 일이지만 처음부터 관심을 갖지 않았다. 그들의 관심은 오직 개발 후 조감도뿐이었다.

 

<조감도>

 

을 파멸시키는 야만적인 재개발은 이제 끝내야 한다. 건설 패들이 벌이는 폭력적인 개발이 계속되어서는 안 된다. 도시는 우리 삶의 그릇이다. 돈만 탐하는 건설시장에 도시를 맡겨두어서는 안 된다. 공공이 나서야 한다.

안상수 시장께 바란다.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철거민의 눈물진 목소리를 듣고 문제해결에 나서시라. 그리고 두 번 다시 이런 야만적인 재개발이 없도록 하시라. 그것이 시민이 뽑은 시장의 진정한 소명이다.<<<

 

<이 글은 지난 2월 26일 경남도민일보에 게재되었던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