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속 도시이야기

경남지역 주거변천사 - 1 / 조선시대 이전

by 운무허정도 2018. 4. 16.

오늘부터는 <경남지역 주거변천사>를  포스팅하겠습니다.

6~7년 전에 경남도사』에 싣기 위해 간략히 쓴 글인데 출판될 기미가 보이지 않아 블로그에 올립니다. 어차피 공유하기 위한 글이니 이해하리라 생각합니다.

 

반도 동남부에 위치한 경남은 서북쪽은 소백산맥, 동남쪽은 바다에 면합니. 기후는 전반적으로 대륙성기후라고 볼 수 있지만 바다와 가까운 지역은 해양의 영향도 많이 받습니. 기온은 동남 해안에서 서북 내륙으로 가면서 낮아지며 연 평균 강수량도 이와 비슷합니.

경남 주거문화의 형성과 발전은 이와 같은 자연적 특성의 산물이며 그 궤적은 경남지역의 역사 및 문화 발전과 같이 해왔습니.

글은 시기에 따라 다섯 항목으로 나누었습니다.

1) 고대부터 조선시대까지

2) 개항기부터 일제시기까지

3) 해방이후부터 제4공화국(1970년대)까지

4) 새마을운동의 농촌주택개량사업

5) 1980년대 이후

--------------------------------------------------------------------------------------------

 

1) 고대부터 조선시대까지 - 1

주거의 원초적 목적은 생존과 번식이었다. 이를 위해 초기 한반도에 정착한 인류는 큰 나무그늘이나 바위그늘, 동굴 등 자연적인 은신처를 찾아 거처로 사용하였다.

지금까지 발굴된 최초의 집자리 유적은 공주 석장리 등의 구석기유적에서 나타나는데, 지표면에 천막처럼 지었기 때문에 평지 천막형 주거라고 한다. 하지만 이 유적들은 일상적인 생활 근거지로서의 주거라기보다는 임시 순환 거처에 가까웠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신석기시대 집자리 유적은 기원전 5,000~6,000년경의 것으로 확인된 강원도 양양의 오산리 집터이다. 형식상 구석기시대 집자리와 유사하지만 보다 정연한 평면과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도구의 발달과 함께 건축술이 발전했음을 보여준다.

양양 오산리의 집자리를 제외한 신석기 집자리의 대부분은 움집 형태이다. 수직으로 50~100깊이로 땅을 파고 그 위에 지붕을 덮는 구조였다. 평면 형태는 원형 또는 원형에 가까운 말각 방형이 많았으며, 신석기 후기에는 간혹 장방형도 사용되었다.

움집은 형태와 구조상 추위를 견디기 유리했고, 집 높이가 낮아 풍압 등 외력의 영향도 적게 받을 수 있었다.

당시 움집의 규모는 지름 6m 정도의 면적 30내외가 많았으며, 대략 대여섯 명의 가족이 함께 생활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내부에 기둥과 보를 엮어 기본 뼈대를 세우고, 거기에 지붕을 형성하는 서까래 모양의 부재를 경사지게 땅에 박아 만든 제법 튼튼한 구조였다. 견고한 구조체가 필요했다는 것은 이동생활에서 정착생활로 점차 변화하고 있었음을 말해준다.

 

농경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신석기 후기(B.C 2,000~1,000년경)에는 작은 마을을 이루어 살기 시작했다. 주거 공간 내에 성별 또는 용도에 따른 공간분화가 있었으며 경험과 기술의 축적과 도구의 발달로 다양한 형태의 움집이 나타났다.

이 시기에 나타난 경남의 유적은 합천 봉계리(1987~88)와 거창 임불리 유적(1988)이다.

한반도의 청동기 문화는 기원전 1,000년경부터 시작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청동기 문화에서 가장 중요한 사실은 원시적 농경에서 벗어나 본격적인 농경과 정착생활을 시작했다는 것이다.

농경의 시작은 주거문화에도 혁명적 변화를 가져왔다. 농사가 잘 되는 토지를 찾아 거처를 마련했고, 파종부터 수확 때까지 기다리는 정착생활이 유도되었다. 생산 증대를 위한 협업의 이점 때문에 취락의 규모가 점차 커지면서 마을단위의 영역계획이 이루어졌고, 장기간의 정착 생활을 위해 내구적인 주거시설이 필요하게 되었다.

지금까지 발견된 주거 유적만으로 당시의 마을계획을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경남지역인 울산 검단리 유적에서 발견된 환호(環濠)를 통해 마을 단위의 주거계획이 이루어졌음을 짐작할 수 있다.

청동기시대에도 움집의 형태가 지속되었으나 규모나 평면·구조 등에서 신석기시대와 큰 차이를 보여준다.

청동기시대 움집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초기에는 평면적이 40㎡ 이상으로 확대되지만 후기에는 오히려 20㎡ 내외로 소형화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주거형태가 세대공동주거에서 사적공간이 보장되는 개별주거형태로 변화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움의 깊이는 30정도로 얕아지고 수직 벽체가 생기며 지붕 서까래가 지면에서 떨어지는 등 지상주거로 발전하는 과도기 모습을 보여 주는데 이를 반움집이라 한다.

이런 변화는 집을 짓는 도구의 발전, 즉 청동기로 만든 도끼··대패의 발명과도 관계가 깊다.

이처럼 수직의 기둥과 수평의 보가 직각으로 연결되는 구조형식은 벽과 지붕이 따로 구분되는 집의 외형을 낳게 하였다. 벽과 지붕이 구분되는 집의 출현은 원시건축의 발전에서 가장 큰 성과였다.

경남지역의 청동기 주거지는 진양 대평리 유적(1976, 1980), 울주 양동 유적(1984), 거창 대야리 유적(1986, 1988)과 무릉리 유적(1986, 1988), 울주 검단리 유적 등에서 발굴되었다.

특히 진주 대평리는 대규모의 밭과 주거지, 환호, 야외노지(爐址), 토기 가마, 구덩이, 무덤 등이 발굴되어 선사시대의 도시라고 불러도 좋을 만큼 번창했던 곳이었다.

<진주 청동기문화 박물관 경내에 복원된 청동기시대 주거지 / 아래는 위치>

초기철기시대에 들어서도 대부분의 주거형태는 움집 또는 반움집에 머물러 있었으나 일부 지배층의 가옥들은 지상주거로 발전했다. 지상주거는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이에 대응할만한 견고한 구조체를 만들 수 없었다면 불가능했다.

초기철기시대에는 철기를 이용한 건축도구의 발달로 목재 가공 능력이 획기적으로 발전했으며, 비록 지배계층의 주거로 추정되는 소수의 사례이지만 지상주거가 출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