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속 도시이야기

경남지역 주거변천사 12 - 1980년대 이후

by 운무허정도 2018. 7. 2.

5) 1980년대 이후 - 2

 

오늘날 우리나라 도시들을 뒤덮고 있는 아파트 홍수의 시작은 1988년에 시작한 주택 2백만 호 건설이다. 이 사업은 전년도에 있었던 대통령 선거에서 노태우 후보가 내놓은 공약이었다.

2백만 호라는 애당초 무리한 주택건설정책은 노태우 정권 내내 시행되었다.

비민주적인 권력의 행태가 언제나 그렇듯이 중앙정부가 결정한 정책은 일선 행정기관으로 하달되었고 그에 따라 경남도청 및 각 시군의 담당국과에서는 매일 주택건설 독려에 혼신을 다했다.

자연히 각 광역단체에 한 해 지어야할 주택의 량이 할당되었고 그렇게 할당된 양은 각 시군으로 재할당되어 시군 주택건설 목표치가 되었다.

목표달성을 위해 전국적으로 고밀도아파트가 대규모로 지어졌으며 여러 가지 폐해를 남겼다. 그 중 지금까지 남아 있는 상처가 바로 시골 논밭 한가운데 서있는 속칭 나 홀로 아파트이다.

 

<논밭 가운데 서있는 속칭 '나홀로 아파트'>

 

2백만 호 건설은 진주지역에도 많은 변화를 남겼다.

대표적인 사례가 평거지구 택지개발사업이다. 진주시사에 기록된 평거지구 택지개발사업 목표의 첫머리에는 정부의 200만 호 주택건설에 필요한 택지를 공급 충족시키고로 시작하고 있다.

한편, 이 시기에 소자본을 갖춘 주택건설업자들도 도시 주거지에 연립주택을 지어 분양했다.

이들 연립주택들은 주거생활의 편리성과 함께 외부공간과 쉽게 접할 수 있는 저층의 장점도 있었으나 대부분 소규모 단지로 이루어져 아파트만큼 인기를 얻지는 못했다.

부유층들은 보다 질 높은 주거환경을 원했기 때문에 소위 빌라(Villa)’라는 이름의 고급 연립주택도 많이 보급되었다.

비슷한 시기에 농촌주거도 많은 변화를 보였다.

1987년 이후 행정력이 영향을 미치지 않고 농민의 경제력 축적에 의해 자유 의지로 지어진 밀양·양산·울산지역의 농가주택을 연구한 자료(박경옥·유목희, 주민 자유의사에 의해 최근 신축된 농가주택의 건축적 특성 및 생활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이 농가주택들은 평균 145평의 비교적 넓은 대지에 앉아 있었다.

 

<평슬라브 지붕에 붉은 벽돌로 마감한 농촌주택>

 

대부분 남향으로 배치된 단층 평슬라브 지붕에 외벽을 붉은 벽돌로 마감한 주택들이었다. 평지붕에는 이전 주택에서 볼 수 없었던 옥상이라는 공간이 있어서 건조대·장독대·농기구 보관 장소로 이용하였다.

모든 가구에 냉장고를 들였으며 80% 이상이 세탁기를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모든 가구가 입식부엌이었고 그중 55% 이상의 가구가 식탁에서 입식생활을 했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취사열원은 전 가구 LPG가스를 이용하였고 난방열원은 기름보일러가 정착되어 취사와 난방 열원이 분리되어 있었다.

하지만 실내 화장실은 세정의 기능과 함께 물을 쓰는 다용도실의 개념이 혼합된 정도였고 화장실은 외부에 배치시키는 경우가 많았다.

1990년대부터는 소규모 공동주택으로 볼 수 있는 다세대주택 및 다가구주택이 많이 지어졌으며 사무실에 간단한 주거시설을 갖춘 오피스텔도 나타났다.

최근에는 주거용 건물과 상업용 건물의 혼합 형태인 주상복합건물이 공급되었다. 경남에서는 창원의 시티세븐이 대표적인 사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