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는 도시이야기

걸작 - 중국 사천성 도강언(都江堰) - 2

by 운무허정도 2018. 8. 13.

5갈래로 나누어진 민강(岷江)

 

도강언의 시설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어취(魚嘴)와 비사언(飛沙堰), 보병구(寶甁口)가 그것이다.

이 세 시설은 따로 있으나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결과적으로 하나의 유기체적 결합을 이루고 있다.

어취(魚嘴)란 말그대로 물고기의 주둥이를 뜻하는데, 아래 사진처럼 민강을 두 줄기로 가르는 분수제(分水堤)의 역할을 한다.

<도강언 3대 시설 중의 하나인 어취 / 이곳까지 흘러온 민강은 어취에서 내강과 외강으로 갈라진다. 왼쪽이 외강, 오른쪽이 내강이다. 예전에 이 어취는 죽롱으로 만들었으나 지금은 외부가 콘크리트로 바뀌었다>

 

그림에서 보듯이 물고기 주둥이처럼 툭 틔어 나와 있는데 이 제방에 의해 민강이 본류로 흐르는 외강(外江)과 인공수로인 내강(內江)으로 나누어진다.

어취는 죽롱법(竹籠法)이라는 공법으로 시공되었다. 아래 사진처럼 대나무를 이용하여 죽롱을 만들고 그 속에 하천에 있는 돌을 넣은 다음, 이것들을 쌓아 물을 막는 방식이다.

<죽롱 / 대나무를 쪼개어 만든 끈으로 엮어진 죽롱 안에 하천변의 둥근 자갈들이 채워져 있다. 죽롱 한 개의 크기는 길이 10m, 직경 0.57m 정도이다. 채워진 자갈들의 형태가 알과 비슷하게 생겼다하여 난석(卵石)으로 불린다.>

 

 

 죽롱법과 함께 거친 강물을 막는 물막이공법으로, 마사법(榪槎法)이 고안되었다.

등변의 삼각시렁과 나무기둥을 엮어 세우고 죽롱으로 눌러 고정시켰으며 물이 흘러오는 방향에는 대발과 풀로 만든 자리를 세워 붙인 후 그 위에 점토를 두껍게 발랐다. 아래 그림처럼.

<마사법에 의한 물막이 둑의 형태 / 삼각 시렁들을 토대로 대발, 나무, 점토 등을 재료로 하여 조성된 물막이 둑의 모습이 잘 관찰된다>

<마사법에 의한 물막이 둑의 형태 / 삼각 시렁들을 토대로 대발, 나무, 점토 등을 재료로 하여 조성된 물막이 둑의 모습이 잘 관찰된다>

<이빙이 마사법으로 물을 막았다가 최초로 방수(放水)한 장면을 청명절 축제 때 재현하기 위해 도강언 경내 한쪽에서 일꾼들이 삼각시렁을 손보고 있다.>

<매년 청명절에 행하는 방수축제 / 도강언을 완성한 뒤 내강으로 물을 처음 흘러 보냈던 방수(放水)를 기념하기 위해 이 지역 사람들은 매년 청명절에 방수의식을 거행한다. 물을 막았던 나무 둑을 터뜨리고 있는 장면이다. 물위에 떠 있는 돼지에서 우리는 이 의식의 종교성을 볼 수 있다>

 한편 비사언은 내강으로 들어온 수량과 토사를 조절하는 제방이다. 곧 내강 쪽으로 흘러온 물이 넘칠 경우 이 제방을 통해 다시 민강 본류로 흘러가도록 하는 자동 수량조절 장치인 동시에 상류로부터 내려온 흙과 모래를 내보내는 토사배출구이기도 하다.

보병구(아래 사진)는 인공수구인데, 북쪽 옥루산(玉壘山) 하부 사면의 암층을 인공으로 절단하여 만든 취수구이다.

<보병구와 이퇴 / 왼쪽의 산자락을 가로질러 물이 흐르는 곳이 보병구이다. 보병구 우측 언덕 위의 건물이 복룡관이며 그 아래쪽에 이퇴가 있다. 오른쪽이 비사언이다>

 

당시 옥루산의 형세가 민강이 동으로 흐르는 것을 막고 있었기 때문에 동부지역의 넓은 들을 관개하려면 반드시 이곳을 뚫어야만 했다.

이빙은 암반에 고열을 가한 후 그 위에 냉수를 끼얹는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암층이 갈라지게 했다. 그 후 다시 망치와 끌로 암층을 깨고, 쇠가래를 이용하여 긁어내었다.

지질의 풍화작용 원리를 기계적으로 적용하여 누구도 상상치 못했던 일을 해냈다. 이 작업은 도강언 공사의 절정이었다.

보병구(寶甁口)는 대략 폭 20m, 높이 40m, 길이 80m의 규모인데 형태가 꽃병의 목 부분과 같아 붙인 말이다.

이곳에서 동쪽으로 방향을 바꾼 물은 인공 수로를 따라 빠른 속도로 도강언시를 향해 흘러 들어가고 있었다.

보병구와 비사언 사이에는 이른바 이퇴(離堆)라는 유수시설이 개착되어 있었다.

이곳은 물이 보병구로 들어가기 전 잠시 동안 머물게 고안된 것이다. 말하자면 이퇴는 퇴적물을 쌓이게 한 다음 그것이 비사언으로 넘어가도록 만든 인공유수지라고 할 수 있다.

 놀라웠던 것은 이퇴의 형상이었다.

유수에 부딪히도록 개착된 벽이 물의 방향과 직각이 아니라 凹凸형태의 곡면이 되도록 하여 유수에너지를 최소화시키고 있었다.

이와 같이 취수와 배수, 토사배출 등 도강언에 적용된 일련의 수리기술에는 강물의 곡류현상과 침식, 운반, 퇴적의 원리가 고스란히 적용되었다.

앞서 말한 어취에서 내강과 외강으로 나누어진 강물은 네 갈래 여덟 갈래 식으로 총 5백여 갈래의 인공 강으로 변했다.

물은 성도 대평원을 옥토로 관개하였으며 내륙수운용으로도 사용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