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산305

김형윤의 <마산야화> - 88. 법원과 검찰, 89. 제1차 공산당 사건 88. 법원과 검찰 현재 장군동 4가(통정 4정목)에 자리잡 고 있는 부산지방법원 마산지원(지청)과 부산 지방검찰청 마산지청(검사분국)은 당초에는 구마산 시장입구 근처였던 속칭 ‘아래학교’(여자보통학교-현 白洸燒酎工場) 언덕에 소재하고 있었던 것인데 1910년(명치43년)에 현위치에 신축 이전했다. 초대 상석판사(上席判事)는 대우가차(大友歌次), 상석검사(上席檢事)는 복산장병위(福山長兵衛)였으며 조선인 초대 판사는 고某 씨로 이분이 두 자제는 신마산 소재 일인의 심상소학교에 입학하였다. 89. 제1차 공산당 사건 소위 101명 조선공산당 사건이 신의주에서 변호사를 하던 심유정이란 친일파를 습격한 것이 발단이 되어 경찰은 이들 청년들의 가택을 수사한 결과 사건은 발로(發露)되고 말았다. 무산자신문(無産者新.. 2016. 4. 25.
김형윤의 <마산야화> - 86. 고춧가루 강도, 87. 제2의 헤스마 86. 고춧가루 강도 확실히 1924년 봄이다. 그때만 해도 구마산(元町, 현 남성동) 우편소에서 직접 집배는 물론 적행낭수송(赤行囊輸送)하던 때다. 오전 7시면 먼동이 트이고 모든 물체를 확연히 볼 수 있는 때다. 7시 몇 분에 구마산의 발차시간에 우편직원(全모라 했다)이 행낭과 우편물을 둘러메고 가는데 당시 상업학교 정문 근처에서 별안간 괴이한 청년이 나타나 아무 말 없이 호주머니에서 무엇인가를 꺼내어 뿌리는 찰나 직원은 쓰러졌다. 세상이 어둡기만 했으면 다행인데 눈이 따가운데다 눈물과 콧물 그리고 재채기까지 병발(倂發)하여 상당한 시간 동안 땅바닥에 쓰러져서 고통을 겪는 중 역으로 가는 승객들에게 구조되었는데 소중한 적행낭(赤行囊)만 없어지고 말았다. 행낭에는 대소액환 송금증이 들어 있었다는 신고를.. 2016. 4. 18.
김형윤의 <마산야화> - 83. 엽총 정사 83. 엽총 정사(情死) 1923년(대정12) 초봄 무학산 봉우리에 아지랑이가 서리고 시냇가 버들가지엔 강아지가 겨우 필락 말락하는 약력 3월 중순경, 시내 장군교 교반(橋畔)으로 나이 60이 넘은 일본 노인 한 사람이 다비(일본 버선) 발로 헐레벌떡 달리다 역시 일본인 순사에게 검문을 당하고 있는데, 다리에서 서녘 윗길 30미터 되는 노상에서 총소리가 터져나왔다. 도망치던 노인은 일본 사족(士族)이요, 법정에서 입회 검사와 싸움 잘하는 변호사 장자빈(莊子斌) 노인이었다. 장자(莊子) 변호사집 건너편에 서기로 있는 관원(管原)이 살고 있었다. 이 자는 대구 검사국에서 사기 사건인가 공갈죄로 형을 받아 이 자와 동서(同棲)생활을 하던 조선인 여자가 이 자의 대리 복역을 하고 있었다. 진범은 그 자인 것을 .. 2016. 4. 4.
김형윤의 <마산야화> - 82. 총각회 사건 82. 총각회 사건 시내 중성동에 자리 잡은 목조는 1921년 경에 진동읍내 김상범이란 청년지주가 장만한 주택건물이다. 50여년이 지난 오늘에도 수리 한 번 한 일이 없이 그대로의 모습이다. 오직 변한 것이 있다면 집 주인 뿐이다. 주택으로 병원으로 여관으로 변하였다가 현재에 이르렀다. 외면으로는 평탄하게 지낸 듯 하지마는 처음 주인 김 씨 때 벌써 큰 문제가 생겼으니, 그것은 다름 아닌 전국에서 처음으로 생긴 소위 총각회 사건이다. 내용인 즉 예나 지금이나 한국의 중산계급이면 으레 소실을 두는 것이 공공연한 통례이니 여기에 김 씨가 빠질 수 없다. 시내 모 사립여학교를 중퇴한 묘령에다 미모인 조(曺)섭이란 처녀가 있었다. 여학교를 중퇴하였다 하면 그 가정 형편은 짐작할 수 있는 일이나 18,9세의 묘령.. 2016. 3. 28.
김형윤의 <마산야화> - 80, 어속령의 참화, 81. 두 청년의 순정 80. 어속령(魚束嶺)의 참화 마산 시내에 자동차를 운영한 곳은 대정 2년(1913) 마산역전 상반여관(常盤旅館)인 것 같다. 마산에 소위 신작로가 생기고, 함안, 진주로 통하는 길은 1908년(지금 신마산 쪽에서 시청 앞 도로는 1914년 경인 듯)이다. 이의 증거로 마산 창신학교 앞 회원교에 융희 2년 건립이란 표석이 있었으니 이를 미루어 보아 1908년인바 해방 후에 반가지(半可知)의 애국자들의 손으로 삭제되고 단기연호로 박혀버린 것이다. 각설 상반여관이 소유한 차량은 그때는 ‘포드’ 포장차(布裝車) 7인승이며 이것으로 매일 혹은 격일제로 진주까지 내왕하던 한산한 시절이었다. 1917년 가을경이다. 지방신문인 남선일보사 주최로 미기(美妓) 투표의 승자인 배학희 양은 애인의 본댁으로 가는 도중 군북을.. 2016. 3. 21.
마산 해양신도시 운명 결정할 안상수 시장님께 마산 해양신도시 운명 결정할 안상수 시장님께 오래 동안 지역을 떠나있었던 분이라 2년 전 취임 때는 걱정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취임 후 보여준 모습은 예상과 달랐습니다. 특히 도시철도문제의 간명한 해결과 주남저수지 보전에 대한 입장은 매우 신선하였습니다. 이 글은 그런 기대감으로 씁니다. 인공 섬 해양신도시가 처음 계획된 것은 어언 15여 년 전입니다. 당시 황철곤 마산시장은 저 섬에다 고층아파트를 지을 계획으로 시민들 동의를 구했습니다. 그러나 도시 사정을 잘 아는 다수시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결국 계획을 바꾸었습니다. 매립은 하되 아파트는 짓지 않겠노라 약속했던 겁니다. 이 약속은 통합 이후에도 이어졌습니다. 박완수 시장도 아파트와 상가가 아니라 공익을 위한 용지로 개발하겠다고 여러 차례 약속했습니다... 2016. 3. 18.
김형윤의 <마산야화> - 78. 일경부의 피습, 79. 일기루의 화재 78. 일경부(日警部)의 피습 1905년(광무 9) 2월 모임 마산포 주재(일본 영사관 소속) 경부 경익태랑(境益太郞, 병합 후 마산초대서장)은 낙동강 하류 연안에 수렵갔던 귀로(歸路), 일몰로 해서 창원군 내서면 근주(近珠, 일명 살구징이) 한인객사에 투숙했다가 밤중에 괴한 십수명이 기습하여 그가 소지한 엽총, 탄환, 행이(行李) 등을 탈취한 후 흉기로 난자하여 경(境)은 빈사 상태에 빠졌다. 일본 영사 삼포(三浦)는 일헌(日憲)과 일경(日警), 한경(韓警)에 급히 연락하여 즉각 인군(隣郡)에 비상망을 펴고 범인 체포에 활동하였으나 수색 8개월이 되도록 단서를 잡지 못하고 고민하던 중 간단한 실마리로 함안읍에서 수괴 정원길을, 일미(一味) 등 8명은 창녕읍에서 타진, 마산경무청(현재 부림동 시장에 있었.. 2016. 3. 14.
김형윤의 <마산야화> - 72. 법창야화 72. 법창야화 율산(栗山)검사의 저울질 마산 검사국 검사로서 인격자도 있었지마는 풍각장이 형(型)의 검사도 몇 사람 있었다. 그 중 대표적 인물로 율산(栗山) 검사를 들 수 있다. 이 사람은 동경제국대학 즉 적문(赤門) 출신의 법학사로 전임처가 어딘지는 기억이 안 되지만 성품이 상당히 이질적으로 광적이었다. 그가 재임 시에 연출한 기상천외의 연극 몇 토막을 소개해 본다. 매월 21일은 관공리(官公吏)의 봉급날이라 평소의 인색하기 한이 없는 율산은 검사의 본때를 보일 양으로, 당시 소도 효(小島 孝)라는 경찰서장을 요정 망월루로 불러놓고 제법 호기 있게 ‘산재(散財)’를 하다 취흥이 무르익자 면도칼 같은 10원권에 코를 풀어 내던지면 서장은 코 묻은 돈을 닦아 율산에게 무릎을 꿇은 채 바쳐 올린다. 이에.. 2016. 2. 8.
김형윤의 <마산야화> - 71. 변심 여자의 참수사건 71. 변심(變心) 여자의 참수(斬首) 사건 서(序) 통칭 ‘살로매’란 이름이 세계에 세 가지로 알려져 있다. 첫째 예수가 십자가에서 숨지는 광경을 멀리서 바라본 여인 ‘막달라 마리아’와 둘째 작은 ‘야곱’, 요셉의 어머니 ‘마리아’와 그리고 ‘살로매(마가 15장 40절)’로 되어 있다. 독일의 음악가 ‘리히알트 스트라우스’의 악극 살로매의 내용을 약술하면 헬롬 대왕의 생신 축하에 춤을 춘 살로매에게 감격한 헬롬 대왕은 살로매가 원하는 것은 무언이든지 들어 주겠다고 하니 살로매는 자기의 불타는 사랑을 거절한 요카난(세례 ‘요한’을 말함)의 목을 베어 달라고 했다. 헬롬 대왕은 즉시 요카난의 목을 베어 쟁반에 담아 가지고 왔다. 살로매는 피투성이의 요카난의 목에 키스함으로써 실연의 복수는 하였지만 이 꼴을.. 2016. 2. 1.
김형윤의 <마산야화> - 70. 영미연초의 출현 70. 영미연초(英美煙草)의 출현 1907, 8년 경에 일본서 창설된 영미연초(英美煙草)와 동아연초주식회사는 한국으로 진출. 마산에서 맨 처음으로 선전 판매한 담배는 오본입(五本入) 병정표와 십본입(十本入) 새표, 파이레트(통칭 칼표)와 자전거표. 그 다음으로는 담배가 나올 때마다 이상한 차림을 한 선전 부원들은 나팔과 북을 치며 가두 행진을 하면서 담배를 공짜로 마구 던지기도 했다. 그때만 해도 기다란 연죽(煙竹)에 엽초(葉草)를 즐기는 때라 생활의 여유있는 사람들은 옥(玉)이나 호박 빨뿌리에다가 금박 장식을 한 은삼조동(銀三鳥銅) 담배통을 즐겼으며, 담배는 한때 이름났던 원산초(元山草)가 아니면 충청도산 엽초에다 소주와 꿀물을 뿜어가지고 이것이 습도나 건조의 중간쯤 해서 곱게 접어 그 위에 무게 있는.. 2016. 1. 25.
김형윤의 <마산야화> - 68. 회상되는 각계 건물 68. 회상되는 각계 건물 도시계획에 따라 허물어지고 없어진 시내에 점재(點在)하던 이름난 건축물을 살펴본다. ● 동척(東拓)지점(와가 / 瓦家 - 목조단층) - 오동동 삼각상점에서 동으로 신작로가 남으로써 건물과 정원의 2/3 이상이 철훼(撤毁)되는 동시에 지점도 폐쇄되고 그 자리가 중화요정 봉래관(蓬萊館)이 되었다. ● 명태창고 - 이 건물은 1920년 여름 남한을 휩쓸던 호열자(虎列刺) 때 환자 수용소로 일시 이용한 때도 있었으나 역시 도로 확장에 따라 반 이상이 철훼(撤毁)되고 지금은 잔영만이 있을 뿐이다. ● 박간(迫間) 창고 - 이곳은 창고와 광장이 있어서 그때는 환등(幻燈)과 활동사진을 공개하였고, 창고는 농구상(農具商), 보덕상회(報德商會)와 서야도기(西野陶器) 창고로 사용되었다가 지금은 .. 2016. 1. 11.
김형윤의 <마산야화> - 64. 오보와 똥소동 65. 목장 64. 오보(午報)와 똥소동 지금 마산은 장군천변에 있는 소방서와 남성동 경찰파출소의 두 곳에 오보(싸이렌-오전 4시 통금 해제, 정오 12시, 오후 11시반과 12시에 취오吹嗚) 장치가 되어 있지만 12,3년 전에는 완월 심고(新敎-천주교) 성당의 신부 시계에 의해서 오종(午鐘)을 치는데 그 때만 해도 지금 성지교(聖旨校) 이하는 일인주택 1동과 조금 내려와서 오반전(五反田) 양조장(푸른집 / 도립의료원으로 증축하고 있는 전 크리스탈 호텔-옮긴이) 그리고 산전(山田)장유공장(현 몽고장유) 외에는 허허벌판이며, 구마산 입구 주차장 가는 첫 골목에는 장승 한 쌍과 세칭 아래학교(현 성호초교 전신) 뿐이었던 때다. 성당 종소리가 현 구마산 천주교회 근처까지 은은히 들려오므로 동민들은 정오 12시를 알게 된다.. 2015. 12. 28.
김형윤의 <마산야화> - 62. 금융계의 공황 63. 각 관공서의 한동 62. 금융계의 공황(恐慌) 1927년(소화2년) 전국 금융가를 휩쓸던 모라토리엄(moratorium : 지불유예 또는 지불정지)은 금융가 뿐 아니라 국민생활에 일대 공황을 가지고 왔다. 때는 동녕 4월 22일자로부터 대만은행을 제외한 전 일본 영토를 포함한 은행과 금융기관(조선의 금융조합도 동일)에 예치한 금액을 향후 3주일간, 즉 5월 12일가지 5백운 이상은 지불 유예하기로 긴급 칙령 96조로서 공포했던 것이다. 당시 마산 식은(殖銀)지점과 조선은행 출장소 문전에 게시한 공포문은 다음과 같다. 사법(私法)상 금전 채무의 지불 및 수형(手形) 등 권리보존 행위의 기한 연장을 하는 건이 바로 ‘모라토리엄’이라 해 놓고는 1. 국·부·현(國·府·縣) 그 외의 공공단체의 채무지불. 2. 급료 및 임금의 지.. 2015. 12. 21.
김형윤의 <마산야화> - 59. 마산의 전기약사 59. 마산의 전기약사(電氣略史) ※ 『마산야화』 원문의 ‘한일와사전기주식회사’는 ‘일한와사전기주식회사’를 오기한 것입니다. 따라서 여기서는 원문을 고쳐 ‘일한와사’로 적습니다. 1898년(광무 2) 1월 18일 한성전기주식회사가 미국인 골부란에 의하여 수도 한성에 창설되고 1904년 7월 18일 이를 한미전기주식회사로 개칭, 1908년 7월 30일 일본인 삽택영일(澁澤榮一)에 의하여 일한와전주식회사가 창설되더니 다음해 1909년 6월 24일에 한미전기를 일한와전이 매수하고 이어 명칭을 일한와사전기주식회사(日韓瓦斯電氣株式會社)로 변경하였다. 마산에 전기회사의 지점이 설치된 것은 와전(瓦電)의 지점 개설이 그 효시인데 금일까지의 경과를 간추려 보면 대략 다음과 같다. 1911년(명치 44) 3월 16일 일.. 2015. 11. 30.
통조림공장에 동원된 마산 학생들, 이들이 누구인지 궁금합니다 아래 두 사진은 해방 1년 전인 1944년 12월 마산의 한 통조림 공장에 동원되었던 남녀학생들 사진입니다. 일제기 강제로 끌려나간 근로보국대는 전국에 무려 762만 명이었으며 그중에서 학생들은 초등학교 고등과(현 중학교)부터가 대상이었습니다. 사진 속 학생들이 궁금합니다. 사진 속의 학생들, 당연히 마산에 소재했던 어느 학교 학생들이겠죠? 사진을 촬영했던 1944년 당시 마산의 초등학교 이상 교육기관은 많지 않았습니다. 남학교로 마산공립중학교(현 마산고), 마산공립상업학교(현 용마고, 전 마산상고)가 있었고 여학교로는 마산공립고등여학교(현 마산여고)가 있었습니다. 그 외에 기술학교 및 야학교 등이 있었습니다. 일찍 개교했던 창신학교는 1939년 일제에 의해 이미 폐교된 뒤였습니다. 그렇다면 사진 속의 .. 2015. 11. 25.
김형윤의 <마산야화> - 58. 역대 마산부윤 58. 역대 마산부윤(歷代 馬山府尹) 마산포는 요새지로서 일로(日露) 양국의 각축지로 각광을 나타낸 유명한 곳이다. 일본은 재빠르게 선수를 뻗쳐 신마산 현 월영국민학교로부터 서편에 걸쳐 99개년 즉 1세기의 조차조약(租借條約)을 체결함으로써 그들의 거류민을 보호한다는 구실로 영사(초대 三浦, 현 중화소학교), 헌병분견대, 경찰, 세관 등 중요기관을 설치하고 학교조합을 만들어 소학교를 설립하였다. 이 때에 한인들은 신마산을 조계(租界) 혹은 거러지(거류지)로 천칭하였다. 1899년(원문에는 1905년) 5월 1일에 소위 개항이라고 저희들 멋대로 개장하였던 것이다. 영사제(領事制)는 1907년 경에 이사로 하여 현 창원군청에 이사청을 구미식(歐美式)으로 건축하고 초대 이사에 삼증구미길(三增久米吉)이 취임하였.. 2015. 11. 23.
김형윤의 <마산야화> - 56, 의료기관 56. 의료기관 마산에 최초로 병원을 설치한 것은 1908, 9년 경 구마산 박석고개(남성동) 전 동인(同仁)병원 왼편에 일본인 판전(坂田)이란 사람이다. 원장은 그 때로 상당히 연로하였다. 다음으로 구마산 시장 입구 현재 산업경제신문 지국 아래층 자리에 홍생(弘生)병원이 개업되었다. 1909년 경에 현재 마산상공회의소 건너편 협신중화공사(協信重貨公司) 사무소에서 농업협동조합까지 광역(廣域)에 걸쳐 종합병원-마산병원이 개원되었는데 원장에 구주제대(九州帝大) 출신 덕영오일(德永吾一)이며 산과(産科), 안과, 외과, 내과, 소아과 등 그 당시에도 병원 구실을 하였다. 지금은 없어졌으나 전 제길윤(諸吉允) 내과의원 이전에 일인 대강(大岡)병원 그리고 대강(大岡)이 사망 후 수상(水上)이라는 사람이 경영하였다... 2015. 11. 9.
김형윤의 <마산야화> - 55, 두 의사의 순직 55. 두 의사의 순직 1943년 일본인 태평양 서전(序戰)에서 까불던 것과는 달리 아이러니컬한 패전 기색이 결정적으로 흘러가던 3월 18일-. 이날 오후 마산 중앙동에 있는 도립병원 격리병사에 누더기를 걸친 50 가까운 조선인 남자 진객(珍客)을 칼 찬 순사가 호송해 왔다. 남자는 행로에 쓰러져 있는 성명, 주소 미상인 거지요, 순사는 정복을 입은 마산서에 외근하는 판본친차(坂本親次, 36)라는 청년이다. 보고를 받은 삼구미일랑(森久彌一郞) 원장은 이 거지를 곧 장질부사 환자로 진단하고 즉각 격리 병사에 수용하면서 원장 자신은 주치의가 되고 무산애자(茂山愛子) 양(19)을 주임 간호원으로 임명했다. 수용되었던 행려병자는 날이 갈수록 회복이 빨라 만 27일 만인 4월 12일 퇴원했다. 그러나 주치의 삼구.. 2015. 11. 2.
김형윤의 <마산야화> - 52. 돝섬의 전설 52. 돝섬의 전설 돝섬은 마산 앞바다에 떠 있는 조그마한 섬, 일명 월영도(月影島)라 부르기도 한다.(행정구역 상 월영동에 속해 있기 때문) 1910년경에는 인가가 불과 7,8호였으나 지금은 20여 호. 아동 10여 명의 초등학교 분교장이 있고, 주민은 대개 영세 어민으로 섬의 동남 비탈에 보리와 채소를 가꾸기도 한다. 멸치 어장막이 있어 신·구마산 어판장과의 사이에 배의 왕래가 잦고 여름 한 때는 낚시꾼들과 피서객들이 득실댄다. 섬의 형상은 서쪽에서 바라보면 오리(鴨)가 먹이를 구하는 것 같기도 하고 인도산 코브라가 염소(羊)를 삼킨 것과 흡사하다. 일본인들은 이 섬이 일본의 비파(琵琶)와 같다 하여 그 어음(語音)에 비겨 미화(美和)라 했으며 마산만의 공원지로 지정하고 매번 벚꽃 묘목을 심었으나 바.. 2015. 10. 19.
김형윤의 <마산야화> - 50. 금은 세공업 일람, 51. 장날과 골목 50. 금은(金銀) 세공업 일람 마산의 금은(金銀) 세공업소는 아득한 옛날은 알 수 없으나 지금으로부터 40여 년 전까지는 다음과 같다 개원상회(開元商會) = 김상노 정진환 김인규 영광당(永光堂) = 박태룡 단 박태룡을 제외한 4명은 타계하였음. 현재 시내에는 13개소가 있다. 51. 장날과 골목 마산포의 장날은 경남에서 유명했다. 장터를 두고 바다 건너 거제를 비롯하여 고성, 삼진, 함안 칠원, 의령, 창녕, 김해, 진해, 창원 등 원근의 백성들을 탄토(呑吐)하는 곳으로 굴지의 터전이지만 장날 또한 모여 든 백성들이 폭주하여 은진(殷賑)의 극을 이루었다. 장날이 되면 고정된 점포에서 물건들이 거래되는 것이 아니라 거개가 난전(노점)에서 동업자가 끼리끼리 모여 앉아 고객들을 부른다. 이들 상인들은 보부상.. 2015. 10. 12.
김형윤의 <마산야화> - 49. 공동우물 순역 49. 공동 우물 순역(巡歷) 마산은 옛날부터 산수가 좋아 술맛을 가로되 제호미(醍醐味, 우유를 정제하여 만든 고급음료)라는 정평이 있다. 이것은 오로지 양조장 경영주의 인격이라 할 수 있으며, 술을 빚는 杜氏(두씨 상용일어)의 심오한 기술이기도 하지만 근본을 따져보면 이 지방의 물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마산 전체를 감싸돌고 있는 두척산(일인이 명명한 무학산)의 청정한 지하수가 혹서(酷暑)에 한랭하고 심동(深冬)에 미온(微溫)하여 과연 이곳의 모든 서민(棲民)의 생활 주변이 이웃과 돈목(敦睦)하여 상호부조하는 정신이 구현되어 있다. 이 때문인지는 모르나 그 고을의 식수가 나쁘면 인심도 거칠다는 것은 즉 물이 나쁘면 모든 양조장, 간장, 된장 특히 술이 나쁘게 되는 것이며 술이 나쁘면 음주자의 주벽.. 2015. 10. 5.
김형윤의 <마산야화> - 46. 보천교, 47. 김차랑 문고 46. 보천교(普天敎) 중성동 내에 소재(번지 미상)한 2층 목조건물은 전대미문의 총각회 사건으로 한때 전국적 화재가 되었지만 총각회 변고로 집 주인은 어디로인가 가버려 얼굴을 볼 수 없었다. 몇 달 동안 비어있던 이 집에는 회색 도복에 행근을 찬 상투쟁이들이 날이 갈수록 삼삼오오로 몰려들기 시작하자 대체 이들 3,40명 되는 사람들이 어디서 무엇을 하는 사람들인가 하여 이런 차림의 사람들을 처음 보는 동네 어른 아니 할 것 없이 의아그럽고 기이하게도 여겨 구경꾼들이 뜰 안으로 붐비었다. 말하자면 장꾼보다 풍각쟁이가 많았다. 지식층은 대개 알고 있었지만 이것은 보천교 일명 태을교(太乙敎)라는 유사 종교의 교도들이다. 이 교의 요술에 걸려들면 깍가쟁이(삭발) 신사로 자처하던 자도 양모자발구식(養毛仔髮舊式).. 2015. 9. 21.
김형윤의 <마산야화> - 44. 마산의 풍물첩, 45. 국어상용의 가 44. 마산의 풍물첩(風物帖) 풍신제 정월 대보름이 논 깜박하는 사이에 지나가고 정월 그믐날 밤이 오면 내일은 영등제(靈登祭)-속언에 바람 올리는 날이라 하여 각 가정의 규수들은 깨끗한 그릇을 가지고 인근 공동샘에서 정화수와 사람 발에 밟히지 않은 황토를 치마폭에 싸가지고 와서 주방 선반, 붉은 베조각 앞에 촛불을 켜고 정화수와 황토를 얹어놓고 별도로 술과 음식을 베풀어 그 해 풍년을 비는 것을 말해서 풍신제라고 한다. 이들 처녀들이 정성 모아 길어오는 정화수에다 마을의 짓궂은 머슴애들이 불결한 손이나 픍을 길어서 순진한 처녀들을 울리는 경우도 간혹 있었다. 여기 이들 처녀애들이 길어오는 물은 은상이샘, 수통골샘, 통샘, 광대바위샘, 자산동샘, 그 외 깔방샘 등이었다. 단오절 오월 단오절은 시내 놀이터로.. 2015. 9. 14.
김형윤의 <마산야화> - 37. 산왕대신, 38. 세 가지의 기형상 37. 산왕대신(山王大神) 구마산 추산동 공신당산(公神堂山) 산정직하(山頂直下)에는 거대한 고목이 있고 그 고목 밑에 산제당(山祭堂)이라는 조그마한 사당이 있다. 이 사당이 언제부터 생겼는지 연대는 확실치 않으나 약 2,3백년쯤 될 것이라고한 고로(古老)들 말이 기억된다. 이곳은 부녀자들이 장수식재(長壽息災)를 산신에게 제사하는 곳으로 무당들의 돈벌이에 가장 적지라고 했다. 대개 보면 제당(祭堂) 밑 조그마한 정화수 옆에서 제(祭)에 필요한 재료를 요리하는데, 솥은 흙으로 만든 지괴솥을 사용하며 제 올리기 전에 제 나이대로 대잎(竹葉)을 따서 제단 앞에 놓고는, 무당의 지시대로 몇 번이고 예배를 올림으로써 복을 받으며, 화를 면하게 된다는 것이다. 오랜 전통을 이어 왔던 것인데 뜻밖에도 수성동에 거주하는.. 2015. 8. 17.
김형윤의 <마산야화> - 32. 벚꽃 32. 벚꽃 마산의 자랑으로서 벚꽃을 뺄 수 없다. 더욱 밤의 벚꽃 말이다. 타지방의 벚꽃나무 위치를 살펴보건대, 대개가 내(川)를 끼지 않은 평지로서 진해가 그렇고, 서울 근교의 우이동 같은 곳도 그러하며, 창경원이나 진해 해군 통제부 영내의 벚꽃 터널도 또한 평지다. 이런 곳들에 비하면 마산은 신마산 경교교반(京橋橋畔)을 중심한 천변양안(川邊兩岸)에 즐비한 벚꽃나무와 장군천 양안(兩岸) 및 마산 신사 앞 급경사 진 표리삼도(表裏參道 / 무슨 뜻인지 알 수 없지만 원문 그대로 옮긴다)의 벚꽃나무들은 4월 중순경이면 만개된다. 이 외에 마산 중포병대대 영내 전역과 마산 부청(창원군청, 지금의 경남대 평생교육원) 경내와 부윤관사(마산시립 보육원, 지금의 마산종합사회복지관) 주변 등에 하루밤 사이의 기온에 .. 2015. 7. 20.
김형윤의 <마산야화> - 31. 마산의 미각 31. 마산의 미각 지금은 경향 각지에서 ‘곰탕’이 없는 곳이 없다. 그러나 옛날엔 생활이 윤택한 가정에서만 끓여 먹을 수 있었다. 마산엔 구 삼성(三省)병원 뒤에 박복년이라는 이가 곰탕장수를 시작한 게 그 원조로 손꼽을 수 있다. 이 집의 곰탕은 유명했지만 곁들여 깍두기의 맛 또한 구미를 돋구었다. 이관용(瓘瑢) 박사가 이 집 곰탕과 깍두기 맛을 본 뒤로는 지방순회 강연으로 영남방면에 올 때면 백사(百事)를 젖혀놓고서라도 복년네 집 곰탕을 먹고 가야만 맘이 후련하다고 했다. 조선일보 재직 시에 점심시간만 되면 사원들은 마산 복년네집 곰탕의 예찬이 대단하였다고 한다. 이 복년네집 다음으로 현재 구외과(具外科) 자리에 김성일 유기점에서 그 집 부인 경련 여사의 곰탕과 비빔밥도 또한 호평이었다. 또 박병주 .. 2015. 7. 13.
김형윤의 <마산야화> - 29. 면·마포상들, 30- 마산인구의 추세 29. 면·마포상(綿·麻布商)들 마산 시내의 외래 면포와 마포 도·소매상들은 대부분이 현재의 부림동과 남성동에 집중해 있었는데 청국인 상점의 상호로는 원생호(源生號), 취성호(聚星號), 덕성호(德盛號), 서상호(瑞祥號), 동성호(東盛號) 등 다섯 개가 있었으며 일본인의 그것은 길전상점(吉田商店), 고직상점(谷直商店), 전중상점(田中商店) 등이고 한인으로서는 남사겸(南士兼), 이기일 등이 있었다. 한국 토산품인 저(苧 / 모시), 마포(麻布) 도매상으로는 이순길, 강창언 등이 손꼽을 만했다. 그 외는 군소 소매상들인데 거의 모두가 일상생활에서 뺄 수 없는 필수품들을 취급했다. 황화(荒貨) 즉 동래 자주(東萊 紫紬), 상주 자주(尙州 紫紬)는 국내에서 굴지의 염색물이며 그 외 한산세모시, 남해 모시, 북포(.. 2015. 7. 6.
김형윤의 <마산야화> - 27. 미잠수정 출몰, 28. 조언 단속법 27. 미잠수정(美潛水艇) 출몰 1941년 일본의 대미 선전포고를 며칠 앞둔 12월 모 일, 청진과 일본 쯔루카(敦賀) 사이의 정기 연락선 게히마루(氣比丸)가 청진 출항 얼마 후 로영(露領) 블라디보스톡에서 부설하였던 기뢰(機雷)에 접촉 침몰하여 승객 백수 십 명이 몰살되었다. 그런데 당시 일본은 소련과 불가침 조약을 맺고 있던 사이라 하여 한 마디 항의도 하지 않았으며 소련 역시 반구의 진사(陳謝)도 없이 이렁저렁 끝맺고 말았다. 이 배의 승객 중에 경도제대의 철학과 일본인 학생이 있었는데, 당시 대판 조일신문에 게재 소개된 그의 수기인 즉 ‘생과 사는 표리가 동일하다’는 내용인바, 배는 해저로 내려가는데도 조금도 당황하지 않고 종용(從容)히 최후를 마친 그의 유서였었다. 이 해상 사고 후 일본 철도성.. 2015. 6. 29.
김형윤의 <마산야화> - 23. 203고지의 거포, 24. 돝섬의 위장 적기 23. 203고지의 거포(巨砲) 마산 신사(현 제일여중·고) 정문 앞 공지에 녹슨 대포 일문(一門)이 거치되어 있었는데 어찌된 일인지 해방된 몇해 안가서 포대와 동시에 흔적이 없다. 이 대포는 1904년에 발발한 일로(日露)전쟁시 일본 최고의 군벌인 대산(大山), 내목(乃木) 등 원수급에 의하여 일본 조병창에서 건조, 군함으로 여순항에 인양하여 격전장이던 203고지에서 공을 세운 것으로, 일본의 군사력을 과시하기 위하여 마산만 입구이며 중포병 대대 입구 까치나루(鵲津) 산정에 두었다가 1935년 대대장이던 굴구중좌(掘口中佐)가 마산부에 기증하였던 바, 부 당국은 이것을 전기 장소에 이전 거치함으로써 마산만을 일모(一眸)에 보고 일본의 군국주의 사상을 환기했던 것인데, 그대로 보존해 두어서 하등 해될 것도.. 2015. 6. 15.
김형윤의 <마산야화> - 21. 간판칠갑의 사무소, 22. 철도 이야기 21. 간판칠갑의 사무소 마산에 간판 많기로 이름난 점포는 신마산 함흥집 자리의 석견옥(石見屋)이라는 신약 도매상이었다. 간판을 보면 대학목약(大學目藥), 미안수(美顔水) 하루나, 대전위약(大田胃藥) 등을 비롯하여 장방형의 작은 간판이 20여 개나 되었는데, 제내과(諸內科) 자리 건너편 3층 건물로 신축 이전 후에는 없어졌고, 본래 점포에는 ‘고마야’라는 상호의 오복점(吳服店)이 들어 앉았다. 몇해 후에는 민의소 건너편에, 즉 지금의 중앙병원 자리에 노농동우회(勞農同友會)와 조선일보 지국이 자리잡고 난 뒤로는 대소 간판이 십 수개가 붙었는데 기억되는 명칭은 다음과 같다. 노농문고(서적 대부분이 ML당원 김형두의 장서), 무산자신문(日共의 佐野學 主宰), 민중신문(일본의 赤松克磨 주간), 혜성사진(彗星社進.. 2015. 6.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