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옥사조2

경남지역 주거변천사 - 3 / 조선시대 이전 1) 고대에서 조선시대까지 - 3 조선시대는 우리나라 주거문화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시기이다. 반상(班常)을 철저히 구분한 신분사회였기 때문에 신분에 따라 주택의 크기나 형태를 규제하는 가사규제(家舍規制)가 있었다. 신라의 가사규제인 옥사조(屋舍條)와 가장 큰 차이는 택지 규모에 제한을 두었다는 것이다. 이 시대의 주택은 산악과 구릉이 많은 자연환경과 최대한 조화를 이루는 특징을 갖는데, 상류층의 주택은 기후가 구조에 영향을 적게 미쳤으나 서민주택의 경우 북쪽지방은 보온을 위한 겹집구조와 온돌이, 남쪽지방은 바람이 잘 통하는 홑집구조와 마루가 발달하였다. 반가(班家)라 부르는 양반의 주택은 지역적 특성보다 지배계층으로서의 권위와 유학자로서의 성리학적 규범에 따른 생활방식 등이 중요 요소로 고려되었.. 2018. 4. 30.
경남지역 주거변천사 - 2 / 조선시대 이전 1) 고대에서 조선시대까지 - 2 주거사(住居史)에서 청동기시대와 초기철기시대를 구분하는 또 하나의 지표는 구들의 시작이다. 한국 주거문화의 정체성을 압축적으로 나타내는 구들은 난방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인 동시에 지상주거로의 변화를 의미하는 지표로 해석된다. 구들은 추운 북쪽 지방에서 먼저 발달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경남에서도 초기철기시대 의 구들유적이 출토되었다. 사천시의 늑도에서 발굴된 주거지에 보이는 구들유적이 그것이다. 이 구들유적은 온난한 한반도 남단의 경남 해안지역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크다. 삼한시대의 것으로 알려진 늑도의 구들유적은 타원형의 주거지 내부에 아궁이 시설을 만들고 외벽을 따라 외줄의 구들 고래를 시설한 것으로, 구들 고래의 끝에서 집 밖으로 연기가 배출되도록 .. 2018. 4.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