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몽고정7

마산항지(1926년) - 14 - 건권(乾卷) / 제4장 중고사(中古史) 제4장 중고사(中古史) 3. 제2차 정동전쟁(征東役) 신사(辛巳, 1281) 충렬왕 즉위 7년, 곧 일본 91대 고우다(後宇多) 천황 고안(弘安) 4년 정월 정동원수부(征東元帥府)는 합포로 이전하여 신첨군(新簽軍, 새로 징발해 평성한 군대. 원나라는 주로 정복지역의 이민족으로 이 군대를 편성해 참전시켰다) 1만5천은 함안의 파수고개(오기 - 巴嶺, 고려사의 기록에는 巴嶺이 아니라 절령(岊嶺)이다. 절령은 황해도 서흥군에 있는 험한 고개로 고려 원종 11년(1270)부터 충렬왕 16년(1290)까지 원 나라와의 경계였다. 충렬왕 7년(1281) 1월 28일 을축 기사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정동행성에서 첩문을 보내어 신첨군 1만5천 명의 식량 및 대군이 절령에서 합포에 이르기까지 말에게 먹일 자료를.. 2022. 9. 12.
기억을 찾아가다 - 18 18. 바냇들, 부림시장 정전 다음해 진학한 마산서중(전쟁 중인 1951년 9월 1일 6년제 마산공립중학교가 3년제 마산고와 마산서중으로 분리되었다. 마산서중이 현재의 마산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한 것은 1955년 5월 7일이었다) 3년 동안엔 거의 매일 바냇들 길로 다녔었다. 등교 땐 공군병원 스리쿼터를 많이 탔지만 하교 땐 거의 빠짐없이 그 길로 다녔다. 당시엔 모든 학교가 오후 세시경이면 파했기 때문에 부림시장, 철로, 바냇들에서 구경하고 장난칠 여유가 좀 많았었다. 바냇들은 용마산과 문둥산(반월산을 두고 그 땐 그렇게 불렀다. 거기에 한센일들 집단 수용소가 있었기 때문이다) 사이 꽤 넓은 들을 말하는데 동쪽 끝은 국도2호선, 서쪽 끝은 회원동 창신농업고등학교(현 회원동 한효아파트)까지를 대강 그렇게 .. 2018. 2. 19.
김형윤의 <마산야화> - 49. 공동우물 순역 49. 공동 우물 순역(巡歷) 마산은 옛날부터 산수가 좋아 술맛을 가로되 제호미(醍醐味, 우유를 정제하여 만든 고급음료)라는 정평이 있다. 이것은 오로지 양조장 경영주의 인격이라 할 수 있으며, 술을 빚는 杜氏(두씨 상용일어)의 심오한 기술이기도 하지만 근본을 따져보면 이 지방의 물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마산 전체를 감싸돌고 있는 두척산(일인이 명명한 무학산)의 청정한 지하수가 혹서(酷暑)에 한랭하고 심동(深冬)에 미온(微溫)하여 과연 이곳의 모든 서민(棲民)의 생활 주변이 이웃과 돈목(敦睦)하여 상호부조하는 정신이 구현되어 있다. 이 때문인지는 모르나 그 고을의 식수가 나쁘면 인심도 거칠다는 것은 즉 물이 나쁘면 모든 양조장, 간장, 된장 특히 술이 나쁘게 되는 것이며 술이 나쁘면 음주자의 주벽.. 2015. 10. 5.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84) - 강점제3시기 오늘부터는 1930년대 이후 마산 도시변화와 관련한 신문보도를 기사와 함께 소개하겠습니다. 간단한 기사가 대부분이지만 꽤 볼만한 기사도 있습니다. 1. 먼저 1931년 7월 23일자 동아일보 3면에 게재된 돗섬 관련 기사입니다. 제목은 「納涼村施設 마산 저도에」이며 기사는 「마산부에서는 여름 동안의 피서지(避暑地)로 마산부 저도리(猪島里, 돗섬)에 납량촌(納凉村)을 신설할 터이라 한다」로 되어 있습니다. 부민들을 위해 돗섬에 어떤 피서시설을 만든다는 내용인데 건물을 짓는다는 건지 해수욕 시설을 조성하는 건지 이 기사만으로는 구체적인 내용을 모르겠습니다. 2. 1933년 11월 19일자 동아일보 3면에 게재된 몽고정 관련 기사입니다. 제목은 「馬山 蒙古井 大谷博士 證明」이며 기사는 「지난 14일 성대교수 .. 2013. 10. 21.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178) - 강점제3시기 사진 석장 소개합니다. 38. 농공금융주식회사 1933년 3월 20일 창동 51번지에서 설립, 농공업자에 대한 금융대부와 화재보험 대리점을 함께하였다. 대표는 이봉수 씨. 39. 몽고정 몽고정은 고려 충렬왕 때 중국 원세조가 2차례 일본원정에 나서면서 당시 이곳에 주둔한 군사들에게 마실 물을 공급하기 위해 만든 우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우물 앞에 몽고정이라고 쓰인 비석은 1932년 일본인 고적단체에서 세운 것으로, 그 전에는 고려정이라 불렀다고 합니다. 아래 사진은 지금의 모습입니다. 40 마산성지 정유재란 때 마산에 왜군들이 상륙해 지금의 산호공원인 용마산 일대에 구축한 왜성입니다. 정상부근에 지금도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 아래 사진은 현재 모습입니다. 2013. 9. 9.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7) - 개항기 「일 강경 이 창원」, 「동해 원산, 서해 강경, 남해 마산」 등의 찬사를 받았던 옛 마산의 도시 모습은 어땠을까요? 여러가지 자료를 통해 알 수 있었던 1899년 개항 당시 마산의 모습은 아래 그림과 같았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마산도시의 형태를 짐작할 수 있는 여러 자료를 토대로 그려본 추정도입니다. 개항기라고는 하지만 그 이전에는 도시상황이 크게 변하지 않았기 때문에 조선 시대 마산일대 지도라고 보아도 무방할 것입니다. 중간 쯤에 노란색이 짙게 칠해진 삼각형 부분이 마산포(원마산)입니다. 바다와 육지 사이에 표시된 회색은 간석지입니다. 간석지의 폭은 최단 70m 최장 200m 정도였으며 봉암지역의 간석지 폭은 1km정도 되는 곳도 있었습니다. 하천은 모두 10군데가 있었습니다. 남쪽에서부터 월영천(경.. 2010. 8. 2.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8) - 고려시대 두 번의 전쟁 후, 조정에서는 마산지역의 지명이었던 의안(義安)을 의창(義昌)으로, 합포(合浦)는 회원(會原)으로 개칭하고 금주(金州, 지금의 김해) 수령이 통할하던 이곳에 현령을 직접 파견하여 행정지위를 승격시켰습니다. 일본 정벌기간에 보여준 마산지역 민관의 노고를 치하해 내린 조치로, 소위 민심수습책이었습니다. '합포'와 '회원'은 최근 통합창원시 출범으로 두 개의 구청이 들어서는 마산에 '마산합포구'와 '마산회원구'로 행정구 명칭이 되었고 '의창'은 현 창원시의 두개 구 중 하나의 명칭인 '의창구'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조정의 배려도 하루하루 힘겹게 살아가야 했던 힘 없는 백성들에게는 아무 의미도 없었습니다. 전쟁 때문에 고난을 겪은 백성들에게 다시 내린 충격은 왜구의 침입이었습니다. 고려시.. 2010. 5.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