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월산5

100산-35 ; 경남 창원 백월산(白月山) 학봉산악회 창원 백월산 산행기 -2022년 8월 13일(토) 창원시 북면 백월산 -참가회원 5명 : 서익진·정규식·신삼호·손상락(글쓴이)·허정도 / 신성기·임상후 두 회원은 용강포레에서 합류 학봉산악회 국내 10대 명산 탐방을 위해 거대한 꿈을 머금고 10여년 전 시작했다. 산림청에서 고시하는 100대 명산이 그 주요 대상이다. 세월이 흐름에 따라 대원의 체력이 노쇠해지고, 이름있는 100대 명산의 기준은 점차 허물어져 해발 500m 이하도 자의적 기준에 따라 100대 명산으로 둔갑하는 상황을 자초했다. 각산 높이 410m가 100대 명산에 등극하여 새로운 기준을 갖게 되었다. 이번 주는 창원시 북면에 있는 백월산(428m)을 탐방하기로 했다. 이는 백월산 자체를 탐방하기 위해서보다는 백월산 탐방후 동읍.. 2022. 8. 15.
고지도로 보는 창원 17. - 창원부 地乘地圖 ▮ 고지도로 보는 창원17. - 창원부 地乘地圖 ● 昌原府 지승지도(奎15423)/ 필사본(방안식) - 지도 개요 : 지승은 군사요지인 일부의 관방처와 전국의 군현을 총 6책으로 나누어 그린 그림식 지도책으로 각 책의 크기는 세로*가로가 27.0*19.0cm이다. 1책에는 경기도, 2책에는 충청도, 3책에는 경상도, 4책에는 전라도, 5책에는 평안도와 황해도, 6책에는 함경도와 강원도가 수록되어 있다. 지도의 전반적인 구도와 내용은 해동지도, 광여도, 여지도와 거의 비슷하여 동일 필사본 계통으로 분류할 수 있다. 지도제작 시기는 빨라도 1776년 이후에 제작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읍치를 중심으로 부내면, 동면, 서면, 남면, 북면 5면이 나타나 있다. 중심이 되는 읍성을 지도 중심에 크게 배치하고, 주변.. 2017. 7. 24.
고지도로 보는 창원 13. - 창원부 조선지도 ▮ 고지도로 보는 창원13. - 창원부 朝鮮地圖 ● 창원부 조선지도(奎16030)/ 필사본(방안식) - 지도 개요 : 본 지도는 전라도를 제외한 함경도, 평안도, 강원도, 황해도, 충청도, 경상도의 고을 순서대로 1책에서 7책으로 묶여있는 지도책이다. 목차 부분에 ‘備邊司’라는 도장이 찍혀있어, 비변사에서 보관하며 사용하던 지도였음을 알 수 있다. 지도의 제작시기는 1750년에서 1768년 사이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모든 지도는 4.2cm의 方案 위에 그려져 있다. 이 방안은 縮尺의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전국 모든 고을이 동일한 축척 아래 그려져 있는 보기 드문 지도책이다. 동일한 정보는 동일한 기호로 표시하는 범례도 고을의 읍치와 감영·병영·수영, 종6품의 察訪이 파견된 찰방역, 군사시설인 .. 2017. 6. 26.
고지도로 보는 창원9. - 창원부 輿地圖 ▮ 고지도로 보는 창원9. - 창원부 여지도(輿地圖) ● 昌原府 輿地圖(古14709-68)輿地圖》(古4709-68)/ 필사본(회화식) 여지도는 총 6책으로 구성된 전국 군현지도책으로 제1책에 遼薊關防地圖와 盛京輿地全圖, 제6책에 朝鮮女眞兩國國界圖가 첨가되어 있다. 지도는 364장, 주기는 341장으로 총 705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지도가 《해동지도》를 필사한 것이지만 동일하게 필사되지는 않았다. 전체 지도의 구성은 해동지도처럼 산계 및 수계를 구성하고 읍성을 중심으로 주변의 건물을 묘사하였다. 읍성을 중심에 크게 표현하고 내부의 관아의 배치를 묘사한 것이 특징이다. 해동지도와 달리 읍성에서 면이나 인접 군으로 향하는 도로의 표기는 생략하였다. 창원읍성(도계동 일대)을 중심으로 주변을 표기하였다. 읍.. 2017. 5. 29.
마산창원 역사 읽기 (29) - 노힐부득과 달달박박 4. 유적으로 보는 마산·창원의 역사 4-4 노힐부득과 달달박박 푸른 및 드리운 바위 앞에 문 두드리는 소리, / 날 저문데 그 누가 구름 속 길을 찾느뇨.남암(南庵)이 가까우니 그곳으로 가시지, / 내 앞의 푸른 이끼 밟아 더럽히지 마오. 산골에 해 저무니 어디로 가리, / 남창(南窓) 빈자리에 머물고 가오. / 깊은 밤 백팔염주 세고 있으니, / 길손이 시끄러워 잠 못 들까 두려워라. 『삼국유사』권 4 탑상(塔像)편에는 백월산의 두 성인 노힐부득과 달달박박의 수도와 성불 과정을 상세히 전하고 있다. 위의 찬문(贊文) 가운데 앞의 것은 백월산 북암(北庵)에서 수도했던 달달박박을, 뒤의 것은 남암(南庵)의 노힐부득을 찬한 것이다. 어두운 밤 백월산 깊은 골짜기를 찾아온 낭자-여인으로 현신한 관음보살-를 .. 2014. 1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