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속 도시이야기

경남지역 주거변천사 11 - 1980년대 이후

by 운무허정도 2018. 6. 25.

5) 1980년대 이후 - 1

 

1960년대 이후 계속된 인구의 도시집중은 폭발적으로 늘어난 수요에 비해 택지가 턱 없이 부족한 상황을 낳았다.

이런 현실은 필연적으로 주거의 집단화와 고층화를 요구하였고 그 해답으로 등장한 것이 아파트이다.

 

<재개발 이전의 창원 용지 주공1단지 아파트>

 

아파트라는 다소 특이한 주거형식의 시작은 산업혁명 이후 노동자들의 타운하우스라고 알려져 있지만 이념적으로는 19세기 서구사회에서 꿈꾸었던 유토피아적 공동체라는 이상주의의 산물이다.

하지만 사람들에게 심리적 일체감과 만족감을 줄 것으로 기대했던 바람과 달리 우리의 아파트는 계층 간 분리라는 새로운 사회 문제를 야기했다.

어느 아파트에 사느냐에 따라 사회적 신분이 달리 취급되고 여가와 취미 등 삶의 질을 결정하는 생활방식도 달라졌다.

아파트는 오직 현관문 하나만으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단순하고 짧은 동선이 주는 편리함과 단열 및 보온이 주는 냉난방시설의 효율성 때문에 도시주거형식으로 일반화된 지 오래다.

대량공급이 가능해 부족한 주택 량을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가 하면 매매도 용이해 교환가치도 높다.

이런 점들 때문에 여러 가지 부정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아파트는 범 계층적 주거형식으로 정착된 것이다.

경남은 2010년 기준으로 단독주택이 40.1%인데 비해 아파트가 54.1%를 차지하고 있다.

1970년대 후반에 들어 경남에서도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영리를 목적한 민간기업의 아파트 개발 사업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대형 단지개발 보다는 기존 택지와 산업용지에 재개발 형식으로 지은 것들이 대부분이다.

마산 산호동 용마맨션 및 양덕동 정우맨션 같은 단일건물 형 아파트 혹은 산호동 용호·산호 아파트처럼 구획정리지구 내의 5층 규모 아파트가 당시에 건설된 아파트들이다.

비슷한 시기, 무주택 서민들을 위한 외국지원 주택건설 사례도 있다.

<마산 회원동 화란주택 / 최근 재개발로 몸살을 앓고 있>

 

옛 마산시 회원동의 화란주택이 그것으로, 1977년 천주교 마산교구에서 네덜란드의 세베모라는 교회지원단체 협조를 받아 1981년에 완공하였다.

입주자는 수재민과 빈민 그리고 천주교가 추천하는 가구였으며 집과 마을의 설계까지 네덜란드에서 들여온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