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속 도시이야기

경남지역 주거변천사 14 - 1980년대 이후

by 운무허정도 2018. 7. 16.

5) 1980년대 이후 - 4

 

아파트 대중화는 주거설비의 획기적인 변화를 불러왔다. 아파트 사용자들은 첨단시설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가장 큰 변화는 주방시설에서 비롯되었다.

주부의 가사노동을 줄여줄 뿐 아니라 세련된 디자인과 쾌적한 환경까지 제공되는 주방으로 변했다. 주부의 의지에 아파트 분양의 성패가 달렸다는 사실을 간파한 건설업자의 전략 때문이었다.

자동으로 작동되는 각종 기기들은 이와 조화를 맞춘 가구와 더불어 빌트인(builtin)시스템 방식을 탄생시켰다. 미디어·방재·교류 등 생활시설들도 획기적으로 변하였으며 모든 시설들이 자동 혹은 원격 조정이 가능하도록 변하고 있다.

 

<주방기구 생산업체의 빌트인 주방 시스템 광고화면>

 

이처럼 시설이 고급화 첨단화된 아파트는 생활의 질을 높여주기도 하지만 삶을 점점 아파트 내부로 고립시켜 자신과 자신의 가족 외에 외부와의 소통과 교류는 줄어드는 새로운 문제를 초래하였다.

이런 문제는 가족 내부에서도 일어난다. 아파트는 부모 세대와의 동거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마당과 마을이라는 외부공간과 함께 존재했던 옛 단독주택과 달리 노인의 활동반경은 좁아졌고, 생활습관과 생활주기의 차이로 노인은 가족으로부터 점차 소외되어가고 있다.

자식이 사는 아파트에 잠깐 들른 부모는 주인 있는 침대 옆 한 쪽 바닥에 몸을 뉘어야 한다.

그런가 하면 경제 성장과 함께 찾아온 실존에 대한 관심이 주거형식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절대 빈곤시대에 시작된 양적 욕구가 질적 욕구로 전환되면서 나타난 새로운 변화다.

이러한 가치관의 변화는 일터 보다는 삶터, 일보다는 여가가 소중한 가치임을 알게 하였고 그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장치로서 새로운 주택들이 등장하고 있다.

생활의 여유와 건강한 삶을 위해 아파트를 버리고 전원으로 나가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보다 미래지향적인 삶의 방식을 실현하기 위해 생태건축을 실험적으로 지어 생활하기도 한다.

그런가하면 그 동안 집안에서 이루어졌던 가사활동들이 점점 집 밖에서 이루어지고, 교육 직업 등으로 가족이 분화될 수밖에 없는 사회구조 때문에 생긴 주거의 탈주택화 현상 또한 이미 시작된 변화다.

최근 일어난 특기할만한 일은 200710월에 공사를 시작해 2015년 말에 준공한 진주 혁신도시 건설이다.

면적 4,093,000에 계획인구 38천여 명(13,902)으로 계획된 신도시이다.

 

<진주 혁신도시>

 

친환경 미래도시를 목표로 건설된 혁신도시에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중소기업진흥공단을 비롯한 공공기관들이 주거시설과 함께 들어서있다.

단독주택은 물론 연립주택과 아파트 그리고 주상복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의 주거시설이 배치되어 있다.

친환경을 내세우고 조성된 신도시인 만큼 미래주거발전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지 알 수 없다.<<<

 

지난 4월 16일부터 시작한 경남지역 주거변천사는 이번 14회로 마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