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속 도시이야기

고지도로 보는 창원 22. - 웅천현 광여도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7. 8. 28.

▮ 고지도로 보는 창원 22. - 웅천현 廣輿圖

 

熊川縣 廣輿圖(古4790-58)/ 필사본(회화식)

 

- 지도 개요 : 제작 시기는 19세기 전반 (규격은 36.8 * 28.6cm, 구성: 7책)에 만들어진 전국 군현지도집이다. 광여도 전체의 구성은 비변사 지도와 유사하다. 영조대 중반부터 계속되던 관찬 회화식 전국 군현지도집 편찬의 전통은 19세기에 사라지게 된다. 기호식 지도집의 등장으로 국가가 합리적인 윤곽을 가진 기호식 지도집을 편찬에 활용하게 되면서 과거의 회화식 관찬 군현지도집은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비변사 지도와 비교해 보면

표현방식상 비변사지도는 방안 위에 그려져 축척에 의해 거리를 가늠할 수 있는 방안식지도이다. 광여도의 경우 거의 배치형태가 동일하지만, 방안이 표기되지 않은 이유로 회화식으로 분류하였지만, 사실상 방안식으로 보아도 무방할 것 같다.

전체 산의 배치와 읍면의 위치 등은 거의 같으나, 각 면을 연결하는 내방도로와 인접 군현으로 가는 외방도로가 생략된 것이 큰 차이다.

 

 

읍치를 중심으로 5개 면이 표기되어 있다. 읍내면, 동면, 중면, 상서면, 하서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건물로는 읍성 주위에 향교, 려단과 사단, 향교가 있으며, 아래로 보평역, 제포진, 성황단, 남산 고왜성, 읍선소, 제선소가 있으며, 동면 방향으로 청천진, 안골진, 신문진과 진두원과 왜고첩이 있다. 남측 가덕도에는 가덕진과 천성진이 있으며, 가덕선소, 천성선소가 있으며, 왜고첩과 2기의 봉수대인 연대봉대와 말곶망(末串望)이 있다.

중면일대에는 풍덕진과 망운대, 안민령이 요충지이며, 하서면일대에는 서창과 옥정암, 고상봉대가 있으며, 적현산과 귀산이 봉산으로 정해져 있다.

사찰은 웅암 아래 광석암이 김해계 방향으로 굴암과 동암 성흥사가 있다.

주요 도로망은 김해방향 율현령길과 안민고개길은 대로이며, 양곡방향 마야 고개길은 중로이다.

통신시설에 해당되는 봉수의 남측 가덕도의 연대 봉대에서 김해계로 연결되며 하나는 읍내면에 있는 사화랑 봉대로 연결되어 다시 하서면에 있는 고산봉대로 연결되어 창원의 성황당 봉대로 연결된다.

 

 지도에 포함된 내용을 자연지리와 인문지리로 구분하여 정리하면 다음 표와 같다.

구분

소분류

명 칭

행정

면.리

읍내면, 동면, 중면, 상서면, 하서면

5

자연지리

산천

적연산封松山, 各槐山封松山, 貴山封松山, 熊巖, 望雲山, 屛山(선재봉산)

6

鎭堡

薺浦鎭, 豐德陣, 晴川鎭, 安骨陳, 新門陳, 加德鎭, 天城鎭

6

고개

馬也峴嶺, 安民嶺, 小峴,裵應乭峴, 弓峴, 鳴峴, 栗嶺峴阨

7

나루터,섬

孫渡津, 가덕도, 대고장도, 대목도, 대죽도, 대하도, 마도, 망어도, 벌질도, 병산도, 부도, 사의도, 소조장도, 소목도, 소죽도, 소하도, 송도, 수도, 웅도, 음지도, 이슬도, 전모도, 초립도, 표도, 호도, 화도

27

인문지리

읍성

읍치

1

교육

향교

1

사찰

窟庵, 東庵, 聖興寺, 廣石庵, 沃井庵

5

역원,봉수

보평역, 津頭院, 고산봉, 사화랑봉, 煙臺

5

공공시설

서창, 읍선소, 제선소, 천성선소, 가덕선소

5

고적

末串望, 天水臺, 古倭堞, 龍湫, 九川洞

5

 

 

웅천현 광여도 地志

- 웅천현의 지지도 누락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