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관
진해세관은 개항 이후 계속 있어오다가 현재에 이른다.
서장 교대는 아래와 같다.
성명 취임
초대 시로노 도사부로(城野杜三郎) 명치 45년(1912) 1월 15일 부임 (이하는 생략)
2대 오오시로 지로(大城次郞)
3대 오오마가리 젠타로(大曲善太郞)
4대 니노미야 마사타카(二宮正孝)
5대 나가지마 다카토시(中島孝俊)
6대 하치야 슌이치(八谷俊一)
7대 다카오카 요시시게(高岡嘉重)
8대 와키타 사네오(脇田寶郞) 대정 14년(1925) 5월 9일 취임해 현재에 이름

○ 면역소
(연혁)
진해면은 원래 웅중(熊中), 웅서(熊西)의 일부분이며 원래 웅천군에 속하며 중면(中面)이나 상서면(上西面)이라고 불러 왔다.
명치 41년(1908, 융희 2년) 웅천군이 폐지됨에 따라 창원부 소속으로 되어 다음해 웅중면(熊中面), 웅서면(熊西面)으로 개칭된 것이다.
명치 43년(1910, 융희 4년) 10월에 창원부 일대가 마산부로 되자 그 일부가 된 것이다.
때마침 면제도(面制度)가 발포(發布)되는 시기였지만 진해군항설치 시기였기에 군정치하에 해당되어 면제(面制)도 적용이 되지 않았다.
그러다가 명치 45년(1912) 1월에 경상남도 도령 (道令)에 의해 진해면으로 한다는 발표가 있었다.
이유는 진해란 명칭은 마산부 서쪽 약 3리 거리에 진해군이란 곳이 있었는데 명치 41년(1908)에 동군이 폐지됨으로써 그 군 이름을 면 이름으로 답습해 사용하게 된 것이다.
면사무소는 애초 경화동에 있었는데 시가지의 건설이 이룩되자 약송정(若松町, 와카마츠쵸) 3번지(원래 창원군청 진해출장소내)로 이사해, 훗날 출장소 폐지와 함께 귤통(橘通, 다치바나도오리) 13번지에 이전, 그러다가 대정 8년(1919)에 지정면이 되자 학교조합에 이전해 오늘에 이른다.
아래 표
직위 성명 비고
면장 어찬우(魚贊愚) 보통면 시대
지정면장 오오츠보 젠에몬(大坪善右衛門) 보통면에 승격 당초
지정면장 노자키 츠네조(野崎常藏)
지정면장 오다센(織田選) 대정 13년(1924) 취직, 현재에 이름
지정면 이전인 보통면 시대에는 면의 기관으로서 면상담역이란 자리가 있어 정원이 6명, 즉 내지인 4명, 한인 2명이었는데 명단은 아래와 같다.
면상담역
구분 성명
내지인 마츠오 시게노부(松尾重信)
사와이 세키이치로(澤井積一郞)
미츠나리 히사키치(光成久吉)
야마시타 간시로(山下勘四郞)
한인 어찬우(魚贊愚)
김병조(金竝操)
진해면에 지정면장이 자리 잡게 되자 종래의 면상담역 대신에 면협의원 선거가 치러지며 아래 사람들이 당선되었다.
| 선거 | 당선인 | |
| 제1회 (대정 8년, 1919년 시행) |
모토키 아사오(元木淺夫) | 오오모토 우이치(大本宇一) |
| 마츠오 시게노부(松尾重信) | 야마모토 기이치(山本養一) | |
| 미야시타 가즈에(宮下一衛) | 오오츠보 젠에몬(大坪善右衛門) | |
| 홍우율(洪祐律) | 김봉규(金琫圭) | |
| 김선영(金宣英) | 우경인(禹敬仁) | |
| 배정대(裵正台) | 홍우건(洪祐健) | |
| 제2회 (대정 12년, 1923년 시행) |
하시모토 후데지로(橋本筆次郞) | 오오모토 우이치(大本宇一) |
| 야마시타 간시로 (山下勘四郞) | 반 노보루(伴昇) | |
| 사이토 도시스케(齊藤稔輔) | 야마모토 다다시(山本忠) | |
| 오카다 다로이치(岡田太郎市) | 김병옥(金秉玉) | |
| 김병일(金秉一) | 김봉규(金琫圭) | |
| 우영진(禹英珍) | 김시도(金時道) | |
그리고 도에는 도 평의원이란 것이 있어 마츠오 시게노부(松尾重信)씨가 매번 당선되고 있다.<<<
이 글은 2022년 창원시정연구원이 1910년대와 20년대 진해의 모습을 담은 세 권의 책을 번역하여 하나로 묶어 낸 지역사발굴연구 교양총서 3권 『근대 문헌 속 진해』 중 『진해요람』 부분이다. 1926년 출간되었으며 저자는 오카 만키치(岡萬吉)이다. 본 포스팅은 비영리를 전제로 창원시정연구원의 양해를 받았다.
'역사속 도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진해요람』(1926) - 16, 관공서 및 수뇌 - 경찰서, 소방조, 우편국 (0) | 2025.11.10 |
|---|---|
| 『진해요람』(1926) - 14, 관공서 및 수뇌 - 요항부 (0) | 2025.10.27 |
| 『진해요람』(1926) - 13. 교육 (0) | 2025.10.20 |
| 『진해요람』(1926) - 12. 위생 (0) | 2025.10.13 |
| 『진해요람』(1926) - 10. 금융, 11. 사사(社寺, 신사와 절) (0) | 2025.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