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교육
우주를 교실로 삼아 심라만상을 교과서로 보고 하늘의 해와 달을 스승으로 모실 때 모든 법리를 이해하게 될 것이다.
이는 라플라스(Laplace Pierre Simon: 프랑스의 수학자 천문학자(1749-1827)로 태양계를 수학적으로 연구하여 '천체 역학'을 저술함)의 성무설(星霧說, 인간이 태어날 때 악도 선도 아닌 무(無)상태였다는 것으로 완전 아무것도 없는 백지 상태로 태어나는 것을 말함)이나 석가님이 말한 여래영체설(如來靈体說, 누구든 무엇이든 영원한 한결같음(如)의 곳에서 왔다고 여래(如來)라고 하니 존재는 신령한 영적인 생명체이며 우주적인 완전체라는 의미)이 나와서 알게 된 이치는 아니다.
그런데 최근 학계의 형세를 가만히 보니, 어디서나 서구문물에 현혹되어 동양 고유한 문명을 잊어버린 지육(智育, 지력의 개발 및 지식의 습득과 적용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이 한창이다.
그럼에도 덕육(德育, '도덕교육'을 줄인말로 도덕성을 기르고 정서를 순화시킴으로써 사회생활에 적응하는 건전한 인격을 갖추게 하는 교육)은 진전을 보지 못하고 폐하가 주신 교육칙어, 1890년 10월 30일 일본 메이지 천황(일왕)의 이름으로 천황제에 기반을 둔 교육방침을 공표한 칙어)나 교육칙유, 교육에 대해 천황이 직접 말한 것이나 그것을 적은 포고문)는 유창하게 암송하긴 하나 문자를 익혔을 뿐 그 뜻을 알지 못한다.
또한 품성이 높지도 않고 책임을 중하게 여기지도 않아 화려함에 홀려 근로를 싫어하는 풍조가 있는 바, 이러한 상황이 국운의 융성에 기여한다는 이유에서일까 아니면 국민교육의 근본의의라는 것일까. 감히 의문을 제기하는 바이다.
(연혁)
교육을 중요시해야 할 것은 아까 말씀드린 대로이나 고장에 학교가 없는 학생만큼 불행한 자가 또 있으랴.
진해 개항 당시 모든 학령아동은 해상 8 해리(海里, 14.816km) 떨어진 마산포에 통학했기에 매일 아침 새벽에 일어나 집을 나가고 밤이 되어야 돌아와야 한다는 자유롭지 못함과 고통은 누구나가 애통스럽게 느껴진 것이다.
그 당시 사령관이던 센도(仙頭) 소장이 이 실태를 보고 하루 빨리 학교조합을 설립하도록 독촉해, 부하의 한 사람인 오카노(岡野) 대좌를 관리자로 그 처리 일체를 맡겼다.
이것이 발단이 되어 명치 45년(1912) 1월 4일부로 현동학교조합을 창립해 해군진해건축지부(현재 해군연병장에 있음) 터를 임시교사로 하고 마산 통학생 130여명을 인수해 명치 45년(1912)년 1월 10일부터 처음으로 수업을 개시하게 되었다.
이어서 가미이즈미(上泉) 장군이 부임하자, 군항지의 융성을 도모함과 더불어 진해를 천하무이(天下無二)한 교육지로 만들겠다는 계획 아래 북방 시가지 부지 약 수십만 평을 교육비 재원으로 조합의 기본재산으로 어렵게 걷어서 현재의 소학교를 신축하고 해마다 여러 학교의 건설을 계획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몇 해에 걸친 불황 때문에 실현이 되지 않다가 오늘에 이른 것이다.
아래에 현재 여러 학교에 관한 통계를 들어보겠다.
진해공립심상고등학교
(연혁)
・명치 44년(1911) 10월 20일 현동학교조합인가를 취득해 현동심상고등학교설치
・명치 45년(1912) 1월 4일 해군진해임시건축지부(현재 해군병장에 있음) 터를 대하(貸下) 인가를 받아 임시교사로 함
・명치 45년(1912) 1월 10일 개교 (이때 아동 수는 166명)
・동년 4월 1일 관제개혁으로 진해공립심상고등소학교로 개칭함
・대정 원년(1912) 10월 1일 시가지 산취정(山吹町, 야마부키쵸)에 임시교사 2개 교실을 설치
・동년(1912) 10월 14일 교육칙어 등본 하사받음
・대정 2년(1913) 4월 1일 산정(山吹町, 야마부키쵸) 임시교사를 국천정(菊川町, 기쿠카와쵸)에 옮겨 4개 교실을 설치
・동년(1913) 12월 17일 신축된 현재 교사가 낙성되어 이전함
・대정 4년(1915) 10월 23일 천황폐하 사진을 하사받음
・대정 6년(1917) 1월 2일 황후폐하 사진을 하사받음
・대정 14년(1925) 5월 10일 천황폐하 황후폐하 결혼25주년 봉축기념사업인 사진봉안소 건설
아동학급, 직원 및 경비
연도 | 아동수 | 학급수 | 직원 | 경비(엔) |
명치 44년(1911) | 166 | 3 | 3 | 7,142 |
동 45(1912) | 454 | 9 | 11 | 13,563 |
대정 2년(1913) | 524 | 10 | 12 | 42,701 |
대정 3년(1914) | 617 | 12 | 14 | 9,265 |
대정 4년(1915) | 577 | 12 | 14 | 8,741 |
대정 5년(1916) | 679 | 13 | 15 | 8,818 |
대정 6년(1917) | 685 | 13 | 15 | 16,279 |
대정 7년(1918) | 727 | 13 | 15 | 12,929 |
대정 8년(1919) | 725 | 13 | 15 | 18,003 |
대정 9년(1920) | 712 | 14 | 16 | 27,149 |
대정 10년(1921) | 729 | 14 | 16 | 26,143 |
대정 11년(1922) | 729 | 14 | 16 | 26,799 |
대정 12년(1923) | 700 | 14 | 17 | 28,857 |
대정 13년(1924) | 682 | 14 | 17 | 29,009 |
대정 14년(1925) | 664 | 14 | 16 | 26,795 |
대정 15년(1926) | 664 | 14 | 16 | 26,926 |
※ 주의: 위 표에는 고등 2학급 학생 89명을 대정 15년도에는 포함함
경화공립심상소학교
본교는 진해공립소학교의 분교이며 개교 이전에는 학령아동은 모두가 멀리 시가지까지 통학했던 것이다.
(연혁)
・대정 9년(1920) 4월 15일 개교
・대정 9년 10월 25일 교육칙어등본 하사받음
・대정 11년(1922) 4월 1일부터 2개 반으로 편성함
심상과 아동수와 학급수
학년 | 남자 | 여자 | 합계 | 학급수 |
1학년 | 5 | 9 | 14 | 2 |
2학년 | 6 | 6 | 12 | 2 |
3학년 | 3 | 6 | 9 | |
4학년 | 7 | 2 | 9 | |
5학년 | 10 | 7 | 17 | |
6학년 | 4 | 5 | 9 | |
합계 | 35 | 35 | 70 |
진해공립고등여학교
(연혁)
・대정 11년(1922) 11월 29일 설립인가
・대정 12년(1923) 4월 23일 진해면 일출통(日の出通, 히노데로) 임시교사에서 개교 진해공립고등여학교로 칭함(수업연한 4년)
・대정 12년(1923) 8월 28일 현재 교사로 이전 동년 10월 17일 낙성식 거행
학급 및 학생수
학년별 | 제1학년 | 제2학년 | 제3학년 | 제4학년 | 합계 |
학급수 | 1 | 1 | 1 | 1 | 4 |
학생수 | 54 | 38 | 33 | 32 | 157 |
진해공립보통학교
(연혁)
・대정 9년(1920) 6월 1일 창립
학급수와 학년별 아동수
학년 | 남자 | 여자 | 합계 | 학급수 | 비고 |
제1학년 | 60 | 14 | 74 | 1 | 남녀혼합학급 |
제2학년 | 60 | 12 | 72 | 1 | 위와 같음 |
제3학년 | 61 | 8 | 69 | 1 | 위와 같음 |
제4학년 | 131 | 6 | 137 | 2 | 하나는 남자만, 하나는 혼합 |
제5학년 | 110 | 4 | 114 | 2 | 위와 같음 |
제6학년 | 55 | 1 | 56 | 1 | 남녀혼합학급 |
합계 | 477 | 45 | 522 | 8 |
진해공립공업보습학교
(연혁)
・대정 5년(1916) 9월 1일 진해요항부 수리공장견습공 보습회 개설
・대정 6년(1917) 11월 25일 진해공립간이공업전수학교 설립인가
・대정 7년(1918) 3월 1일 개교
・대정 11년(1922) 4월 1일 조선교육령 개정으로 진해공립공업보습학교로 개칭함
학급 및 학년, 학생수
학급 | 학년 | 학생수 | 연도별 | 졸업자수 |
제1학급 | 제1학년 | 9 | 1918 | 6 |
제2학급 | 제2학년 | ×1 | 1919 | 12 |
제3학급 | 제3학년 | 8 | 1920 | 6 |
제4학급 | 제4학년 | ×3 | 1921 | 10 |
×2 | ||||
합계 | 17 | 1922 | 11 | |
×4 | 1923 | 6 | ||
×표는 한인 졸업생 합계 | 51 | |||
×2 |
학과는 수신(修身), 국어, 영어, 수학, 물리, 도화, 공업실습(진해요항부공작부에서 지도)
사립진해유치원
(연혁)
• 대정 4년(1915) 7월 창설, 동년 동월에 개교, 홍매정(紅梅町, 고바이쵸)에 있는 일심사(一心寺)에서 수업을 해 오늘에 이른다
학년별 유아수
남녀별 | 제1학년 | 제2학년 | 합계 |
남자 | 12 | 27 | 39 |
여자 | 7 | 19 | 26 |
합계 | 19 | 46 | 65 |
진해관립 상선(商船)학교도 앵곡(鶯谷, 우구이스다니)에 부지가 결정되어 현재 경성의 나가토구미(長門組)가 도급받아 그 감독 아래 부지를 땅고르기 중에 있으며 금년도 중에 그 장미(壯美)한 건물모습을 보일 것이다.
<관공청(官公廳) 현직자 일람표>
관공직 성명(연령) 출신지
요항부사령관 이누즈카 타로(犬塚太郞 52세) 사가현(賀県
요새사령관 마츠무라 준(松村純 49세) 나가노현(長野県)
헌병분대장 하기네 죠노스케(萩根丈之助 41세) 이바라기현(茨城県)
경찰서장 아라이 진사쿠(荒井仁策 40세) 도야마현(富山県)
우편국장 다카하시 쇼조(高橋庄造 43세) 가나가와현(奈川県)
세관출장소장 와키타 사네오(脇田寶朗 32세) 나가사키현(長崎県)
고등여학교장 아사이 류쇼(淺井龍勝 35세) 후쿠이현(福井県)
진해소학교장 모리시타 간지로(森下勘次郞 43세) 후쿠오카현(福岡県)
경화소학교장 니노미야 세이지(二宮誠二 46세) 후쿠오카현(福岡県)
보통학교장 사카키바라 준고(榊原純吾 43세) 도쿠시마현(德島県)
도평의원 마츠오 시게노부(松尾重信 57세) 이시카와현(石川県)
진해면장 오다 선(織田選 57세) 에히메현(愛媛県)
면협의원 사이토 도시스케(齋藤稔輔 43세) 야마구치현(山)
동 야마모토 다다시(山元忠 65세) 이시카와현(石川県)
동 오카다 다로이치(岡田太郞市 65세) 오카야마현(岡山県)
동 반 노보루(伴昇 59세) 후쿠오카현(福岡県)
동 야마시타 간시로(山下勘四郞 51세) 사가현(佐賀県)
동 오오모토 우이치(大本宇一 54세) 도쿠시마현(德島県)
동 하시모토 후데지로(橋本筆次郞) 도야마현(富山県)
아오모리(靑森)현으로 퇴거
동 김시도(金時道) 경남
동 김봉규(金琫圭) 경남
동 우영진(禹英珍) 경남
동 김병일(金秉一) 경남
동 김병옥(金秉玉) 경남
경남학교조합관리자 오다센(織田選 57세) 에히메현(愛媛県)
학교조합의원 후쿠다 겐지(福田健次 54세) 치바현(千葉県)
동 사토 구스조(佐藤楠藏 53세) 도쿠시마현(德島県)
동 고지마 리키타로(小島力太郞 52세) 사가현(佐賀県)
동 겐고로마루 다다키치(源五郎丸只吉 52세) 사가현(佐賀県)
동 미야시타 가즈에(宮下一衛 39세) 이시카와현(石川県)
동 히라테 요시치카(平手義遵 53세) 시가현(滋賀県)
동 마에무라 다츠헤이(前村辰平 47세) 구마모토현(熊本県)
동 모토키 아사오(元本淺夫 54세) 시즈오카현(靜岡県)
동 노자키츠네조(野崎常藏 53세) 돗도리현(鳥取県)
동 하시모토 후데지로(橋本筆次郞) 도야마현(富山県)
아오모리(靑森)현으로 퇴거
<지방법인 대표자로서의 수뇌>
진해수산주식회사사장 마츠오 시게노부(松尾重信 57세) 이시카와현(石川県)
부산상업은행지점장 히라타 유이치(平田宇一 38세) 히로시마현広島県)
제일금융조합이사 무라이 사다키요(村井貞淸 45세) 오카야마현(岡山県)
진해금융조합이사 후지오 데츠오(藤生鐵雄 37세) 오카야마현(岡山県)<<<
이 글은 2022년 창원시정연구원이 1910년대와 20년대 진해의 모습을 담은 세 권의 책을 번역하여 하나로 묶어 낸 지역사발굴연구 교양총서 3권 『근대 문헌 속 진해』 중 『진해요람』 부분이다. 1926년 출간되었으며 저자는 오카 만키치(岡萬吉)이다. 본 포스팅은 비영리를 전제로 창원시정연구원의 양해를 받았다.
'역사속 도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해요람』(1926) - 12. 위생 (0) | 2025.10.13 |
---|---|
『진해요람』(1926) - 10. 금융, 11. 사사(社寺, 신사와 절) (0) | 2025.10.06 |
『진해요람』(1926) - 9. 무역 (0) | 2025.09.29 |
『진해요람』(1926) - 7. 상업, 8. 공업 (2) | 2025.09.22 |
『진해요람』(1926) - 6. 산업 (0) | 2025.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