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속 도시이야기

김형윤의 <마산야화> - 96. 박애의 두 간호원

by 허정도 2016. 6. 13.

96. 박애의 두 간호원

 

 

현재 마산시 가포동에 있는 국립마산병원은 소위 대동아전쟁을 계기로 해서 일본 해군 당국에서 상이군인 요양소로 발족한 후로 해방과 함께 오늘에 이르렀다.

 

이 병원의 위치에 있어서 요양지대로서는 전 동양적이라고 한 독일 의학도로부터 지적당한 곳이다.

 

전쟁 중반기부터 남방에서 부상한 육·해군을 비밀리에 수송하여 치료하던 곳으로 많은 환자들이 회복소생한 곳이다.

 

워낙 숫자가 많이 밀려와서 완전한 치료도 해 받기 전에 8·15가 닥쳤다.

 

한국에 있던 일인들은 세화회(世話會)’의 주선으로 그들 고향으로 돌아가게 되니 이곳에 입원환자 역시 목선을 빌려 귀국한 사람도 많이 있었다.

 

이요양소는 원장을 필두로 일인 용원까지 앞을 다투어서 떠난 뒤에 맨 끝까지 병원을 지키고 있었던 사람은 함경북도 출신의 해군지원병 두 사람과 두 환자를 위한 일인 간호부 두 사람, 모두 네 사람이었다.

 

두 사람 조선인 지원병은 악성 결핵환자라는 것이다.

 

넓은 병사에는 환자가 많은 때라도 시체 수용실에서 도깨비불이 나온다는 이야기도 있어 간호원들은 그곳을 지나가기를 모두 꺼려했다.

 

백주에도 죽은 듯이 적막한데다 눈이나 비 오는 밤이면 공허한 각 환자실은 무시무시한 적막감에 휩싸였다.

 

두 처녀 간호원은 죽음길을 달리는 두 환자를 위해 일일천추(一日千秋)로 고국으로 돌아가고픈 맘을 억누르고 이러한 병원 분위기는 아랑곳없이 오직 간호에만 열중했었다.

 

갸륵한 그들은 천사적인 박애감과 나이팅게일 정신 그대로 움직였다.

 

그러나 보람 없이 이듬해 두 젊은 환자는 때를 전후하여 운명하였다.

 

두 사람의 시체를 경건히 입관시킨 다음 병원의 뒷산에 안장했다. 두 사람의 명목을 빌면서 가포 동민들의 석별의 정을 뒤로 그들은 고국으로 떠났다.

 

해방 후 요양소 인수 만 10년 기념식 때 마산의사회(당시 회장 제길윤)에서 그들을 표창하고자 서둘렀으나 8·15 전후의 혼란기라, 그들의 주소 성명을 아는 사람을 찾을 길이 없었다.

 

동경 조일신문(朝日新聞)에까지 주소 탐문을 의뢰하였으나 찾을 길이 없다는 신문보도였다.

 

꼭 찾으려면 일본 적십자사에 조회하는 길 뿐인데 이들이 생존하였다면 이미 60을 넘은 고령일 것이다.<<<

 

아래 사진은 한국결핵사에 실려있는 국립마산결핵병원 전경.

병원 너머 넓은 터가 비어 있는 걸로 보아 한국철강이 들어오기 전 사진이다. 연기가 나는 큰 굴뚝은 현 남부터미널에 있던 마산화력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