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속 도시이야기

기억을 찾아가다 - 3

by 운무허정도 2017. 10. 30.

3. 한국전쟁기의 봉암동 - 좌익과 피난

 

내 초등학교 일이학년 때 팔룡산 상사바위 근처나 불암사 근처 산먼뎅이들에 봉홧불이 올라 있는 광경을 종종 보았다. 그리고 새벽에 한길에서 붉고 푸른 삐라들도 주워보았다.

 

<팔룡산 상사바위와 불암사 현재 모습>

<불암사는 일본인들이 자안지장(지장보살, 어린아이들의 수호 보살)을 모신 곳이었>

 

주로 어미니, , 누나들과 같이 보았는데, 나는 잘 몰랐지만 다들 걱정 섞인 말들을 하는 것 같았다. 그리고 우리 동네 누구누구도 저기에 있을 것이란 말들도 들은 것 같다.

또 수원지 들머리 계곡들에서 좌익수 처형이 몇 번 있었고 계곡 물이 벌겋게 흘러내리는 걸 보았다는 어른들의 수군거림도 형들의 수군거림을 통해 들었다.

그리고 수원지길쪽과 봉덕동쪽을 가르는 산등성이 일대에 백여 기 가까운 무덤들이 있었는데(그래서 우린 공동묘지라 부르기도 했었다) 우리 동네 사람들과 연고 있는 무덤은 없었기네, 그 처형과 관계있을 것이라는 짐작들을 동네 형들이 주고받는 것도 들었다.

훗날 팔룡산을 오르내리면서 건너다본 무덤들에 여우가 파헤친 흔적 같은 것이 유달리 많다는 생각을 한 적도 여러 번 있었는데 지금 와서 생각해보니 그 묘들이 부실하게 급조되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라 여겨진다.

고향으로 모시고 갈 수도, 인력을 동원할 수도 없었으리라. 몇 년 전에 우연히 팔룡산을 오르다가 생각나 보았을 땐 무덤의 흔적도 찾기 어려웠다.

이러한 배경들 때문이었을 것이다. 한국전쟁이 터지자 우리 동네와 양덕동(역시 팔룡산 자락 동네)은 마산의 다른 동네들과 격리되었었다.

그해 칠월 말쯤 마산지역에도 소개령이 내려지자 양덕천 둑에는 이 내()를 무단으로 건너는 자는 총살형에 처함이라는 내용의 경고판이 세워졌었다고 들었다.

마산시민들 대부분은 최후방 지역인 웅천으로 보내면서 이 두 동네만 떼어서 낙동강 인근의 한림정으로 보내는 것이었다.

그때 이미 보도연맹사건은 소문으로 다 알려져 있었고, 여러 지역의 학살사건도 풍문으로 소문이 나 있었다. 더구나 우리 동네 사람들은 수원지 입구 골자기의 참상까지 목격하였던 터라 공포분위기가 급격히 확산되었을 터였다.

시내에 약간의 척분만 있어도 처벌의 위험을 무릅쓰고 밤을 도와 시내로 잠입하려는 노력을 필사적으로 감행했었다. 그래서 얼추 주민 반 가까이나 동네를 빠져나갔다고 했다.

아버지의 넓은 친분 덕으로 열 명이 넘는 우리 가족들은 시내로 잠입할 수 있었다. 가장 중요한 짐은 곡식이었는데, 갓난아이였던 여동생만 제외하고 모든 가족들이 양껏 나누어 졌다.

우리 가족들은 아버지 친구 네 분의 집에 분산 기식(호구조사 때문)하고 있다가 열흘쯤 후 마산선창에서 웅천행 피난선을 타고 웅천국민학교로 갔다.

 

<당시 웅천국민학교와 주변 마을, 왼쪽 기와건물은 옛 웅천현 객사>

 

학교 운동장에 설치한 텐트에서 숙식하거나 동네 집 한두 칸을 세내어 들었는데 우리 집은 역시 아버지의 친분으로 어느 마당 넓은 집의 방을 두개나 얻어 생활할 수 있었다. 곡식도 가져간 것 외에 수시로 배급이 나왔다.

그런데 후에 들어본 한림정의 피난생활은 우리들과는 천양지차였다. 곡식배급은커녕 텐트나 간이화장실 같은 것도 없어 강 둔치나 모랫벌 등에서 짐승처럼 살았다고들 했다.

두 달도 채 안 되어 끝났기에 망정이지 길었다면 살아남기 어려웠을 것이란 얘기들을 몇 번 들었다. 아니 낙동강 전선이 돌파 당했다면, 훗날 읽어본 노근리 학살 사건등과 대비시켜 보니 섬찟한 생각이 가시질 않았다.

귀향 때도 우리는 콩나물시루 같았지만 열차를 내어주어 진해 경화동 역에서 타고 올 수 있었는데 그쪽에선 모두 걸어왔다고 했다.

이런 사정들 때문에 마을로 돌아온 뒤에도 양쪽으로 간 사람들 사이에 약간의 틈이 생겼다는 말들을 들었다.

특히 같은 동네에 살았던 외삼촌은 꽤 오랜 동안 섭섭했던 감정을 씻을 수가 없었던 듯했다.

아버지와의 술자리에서 종종 오금을 걸던 모습을 보았다. 아버지는 곤혹스런 표정을 지으며 우리 대식구 숨기기에도 벅찼노라고 애원하듯 설명했으나 외삼촌의 감정은 쉽게 다스려지지 않았던 듯, 후에도 여러 번 그런 모습을 보였다.

아마 돌아가실 때까지도 흔쾌히 정리하지 못했을 지도 모르겠다.<<<

 

박호철 / 창원미래연구소 이사장

 

 

 

 

 

'역사속 도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억을 찾아가다 - 5  (0) 2017.11.13
기억을 찾아가다 - 4  (0) 2017.11.06
기억을 찾아가다 - 2  (0) 2017.10.23
기억을 찾아가다 - 1  (4) 2017.10.16
일제 강점기 신마산 혼마치(本町)  (0) 2017.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