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속 도시이야기

기억을 찾아가다 - 9

by 운무허정도 2017. 12. 11.

9. 한국전쟁기의 학교생활 - 용의검사, 학력경쟁

 

가교사생활 직후부터 실시된 용의검사는 생활환경이 좋은 도회지 넉넉한 집 아이들에겐 별 부담이 안 되었겠지만, 누추한 환경에서 생활하거나 항상 흙을 묻히고 살아야하는 농촌 아이들에겐 여간 부담스러운 일이 아니었다.

1~2주에 한번 씩 하는 검사는 대체로 손발의 때 검사만 했기에 부담이 덜했지만 매 달하는 총검사는 팬티만 입혀놓고 했기에 그 전날부터 대비하느라 많은 고생들을 했다.

 

<'대추나무골님의 블로그'에서 빌려왔습니다>

 

한 학년 차이의 내 여동생에게 들어서 알고 있거니와, 여학생들에게만 실시한 머릿니 검사도 역시 생활환경이 좋지 않은 학생들에게 많은 상처를 준 것 같다.

영양상태가 좋은 아이들은 피부에 윤기가 돌고 때도 잘 끼지 않을뿐더러 씻어내기도 쉬운데, 당시 대다수의 아이들은 그 반대였다. 이삼일만 돌보지 않아도 손발에 누룽지 같은 때가 끼기 마련이었다.

합포초등학교 구역 동네가 오동동, 산호동, 상남동, 양덕동, 봉암동이었는데 오동동의 상당수 학생들과 산호동 상남동의 일부 학생들을 제외한 대부분은 대체로 여기에 해당되었다. 거기다 공중목욕탕도 거의 없어 용의검사 대비에 더 애를 먹었다.

당시 구마산에는 남성탕(남성동, 현재 신한은행에서 남성동지구대 쪽 2~30미터 거리 위치)이 유일했고, 내가 육학년일 때 오동동에 은하탕(오동동 다리 안쪽 4~50미터 거리 오른쪽 골목 안)이 생겼는데, 용의검사 전날엔 자리다툼이 일어날 정도로 복잡했던 기억이 선명하다.

그나마 목욕료가 부담스러워 못 가는 아이들이 더 많았다. 봉암동의 친구들 중엔 가본 사람이 삼분의 일에도 못 미쳤을 성싶다.

목욕탕 내의 풍경도 지금 상식으로는 상상도 못할 정도였다.

나무로 된 개인용 물대야가 모자라 친구끼리 함께 사용했으니까 탕 안에 들어갈 때도 대야를 가지고 들어가다 시비가 생기곤 했다.

물엔 때가 둥둥 떠다녀 종업원이 수시로 들어와 족대로 때를 떠서 밖에다 털어내곤 했다. 더운물 달라는 손뼉소리와 고함소리가 수시로 나왔고, 남녀 탕 중간에 있는 맑은 물 칸에서 물 다툼 시비가 일기도 했다.

그렇지만 이렇게 해서라도 때를 벗겨낼 수 있는 친구들은 이튿날까지도 마음들이 참 홀가분했었다.

목욕탕에 못 가는 친구들은 쇠죽이나 돌맹이 등으로 때를 벗겼다. 쇠죽은 소를 먹이는 집에만 있기에 많은 친구들은 평소 냇가에서 구해둔 곰보돌맹이를 주로 썼다.

따끈한 쇠죽에 수십 분간 손발을 담가 불어난 때를 겨와 짚여물의 마찰력을 이용해 문질러 벗겨내면 상당히 효율적이긴 했으나 등배의 때는 그것으로 안 돼 목욕탕에 비할 바는 아니었다.

마찰력이 있는 돌멩이로 문지르는 것도 효율은 짚여물보다 더 떨어지기에, 손발에 피가 삐짓삐짓 내비칠 때까지 문지르고도 말끔히 벗겨 내지를 못 해 땟발이 트실트실 일어나면 검사직전 침을 발라 눌러두기도 했었다.

그러니 등배의 때는 아예 포기하고 이튿날 친구들 앞에서 수모를 당하는 아이들도 많았다.

늦가을부터, 그러니까 내의를 입기 시작할 때부터 무명 올 사이에 끼어서 피를 빨며 겨울을 나고, 봄에 내의를 벗을 때 사라지니 추위가 오면 이는 사람과 공생했다 해도 좋을 정도였다.

겨울 저녁에 화롯가에 둘러앉아 내복을 화로 위에 펼쳐들고 이를 잡는 광경은 1960년대까지도 한국 가정의 일반적 풍경의 하나였다.

빈대나 벼룩은 가려운데다 부르트기까지 해서 고통을 더 주었지만, 그건 항상 있는 것이 아니어서 귀찮기로는 이가 더했다.

빡빡 깎은 남자아이들 머리엔 없었는데 여자아이들 머리엔 이가 참 골치였다. 가려운 것도 괴롭거니와 이가 슬어놓은 서캐가 하얀 점을 보이니 남 보기에 창피한 것도 큰 문제였다.

지금 생각하면 참 미련한 짓이었는데, 미군부대에서 흘러나온 DDT(흰 분말 살충제)를 구해서 내복에도 뿌리고 여아들 머리에도 뿌렸었다.

 

<아예 서울역에서 줄을 세워 DDT를 뿌리던 시절이었죠>

 

그래도 모자라서 용의검사 전날엔 머리카락에 붙은 서캐에 식초를 발라 붇게 하고는 빗살을 실로 죄어 빗살들 사이를 더 촘촘하게 만든 참빗으로 긁어내기도 했었다.

그런 노력들을 하고도 검사 날 모욕감에 울상을 지은 여학생들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

난리 통인데도 학력경쟁을 심하게 부추겼던 당시의 학교풍토는 지금 생각해도 잘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다.

대학교들이 모두 부산에서 천막을 치고 명맥만 유지하고 있을 때였는데도, 우리들은 중학교 입시 성적 경쟁에 동원되어 성적 순 줄서기를 했던 것이다.

매월 종합 모의고사를 쳤고 성적우수자라며 1등부터 50등까지의 명단을 학교게시판에 붙였고, 전교생에게 박수까지 치게 했었다.

봉암동 양덕동 친구들의 상당수는 중학교 진학조차도 포기해야 하는 현실이었는데도 그랬다.

그런 학교현실은 이듬해 본 중학교 입시 합격자 발표에서도 나타났다. 판자가교사 벽에 길게 붙었던 합격자 명단이 성적순이었다.

그 통에 합격하고도 끝머리 즈음에 간신히 붙은 경우엔 부모로부터 구박을 받거나 온 동네 창피를 당해야 했다.

그런 합격자 발표 방식은 당시엔 전국적 현상이었다고 들었다.<<<

박호철 / 창원미래연구소 이사장

 

 

 

 

 

'역사속 도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억을 찾아가다 - 11  (0) 2017.12.25
기억을 찾아가다 - 10  (0) 2017.12.18
기억을 찾아가다 - 8  (0) 2017.12.04
기억을 찾아가다 -7  (0) 2017.11.27
기억을 찾아가다 - 6  (0) 2017.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