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우는 도시이야기

도시를 가로지르는 녹색길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09. 7. 28.

전국 곳곳에서 용도폐기되거나 이용빈도가 극히 적은 철도터를 활용해 자연친화적인 공간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있다.
마산역에서 마산항에 이르는 임항선도 '그린웨이'라는 큰 구상하에 다양한 사례와 공모등을 통하여 추진중이다.


기차길의 추억

임항선은 어릴적 추억이 제법 깃든 곳이다.
기차가 지나갈때 레일위에 못 같은 쇠붙이를 올려놓고 납작하게 만들어 놀고, 선로위에 깔린 자갈에 붙어있는 금속을 금가루라며 주워서 오곤했다.
하천이나 도로와 교차하는 고가철도를 지날때는 침목사이로 아래가 훤히보여 양팔을 벌려 균형을 잡고 건너며 담력을 키우기도 했다.
좀 커서는 집이있는 회원동에서 시내인 창동까지 걸어갈 때 신호등이 없어 빨리 갈 수 있는 지름길로 이용하곤 했다. 
요새는 철로의 주인인 기차는 일주일에 한번밖에 이용하지 않고, 그 자리를 주민들이 일군 텃밭과 노점하는 상인들, 이름모를 야생화들이 차지하고 앉았다.






현재까지 임항선 활용에 대한 뚜렷한 청사진은 아직 나오지 않았으나, 친환경적 일 것, 산책로로 활용 가능할 것, 역사성을 보존할 것 정도의 공통분모는 제시된것 같다.


다른도시는 어떻게?

마산과 비슷한 조건을 가진 광주의 경우 시민이 직접 폐선부지를 가꾸게 하기위해 지역주민, 사회단체, 전문가들이 모여 2002년 3월에 '푸른길운동본부'를 결성해 계획과 설계는 물론 공원조성까지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여 푸른길을 가꾸어 나가고 있다.

이를 위해 어린이, 청소년, 대학생, 일반 시민들에게 다양하고 참신한 아이디어를 공모하고 지역주민이 푸른길가꾸기의 주체로 나설 수 있도록 주민위원회를 구성했다.
 100만그루 헌수운동을 전개하며, 시민활동을 제도적으로 보장하고 지원하도록 조례제정과 푸른길의 녹지공간을 확대하고 주변지역과 연결시키는 녹색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운동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시민들이 푸른길에 나무를 심고 가꾸는 자원봉사 활동으로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함께 진행된다.

이런 고민은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닌가 보다.
얼마전 미국 뉴욕의 옛 철길이 주민들의 산책로로 탈바꿈한 기사가 소개되었다.
주민들은 낡고 오래된 고가철도를 철거하지 않고 새롭게 도시에 활력을 넣어 줄 수 있는 공원과 산책로로 만들기로 했다.
당장 보기싫다고 해서 전체를 걷어내고 개발하기보다 그 자체의 장소성과 역사성을 유지하며 그 위에 녹색을 입히기로 한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출처:뉴욕타임즈(이하같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름답게, 그러나 천천히

주민의 삶고 밀접하게 연관된 이런 사업은 행정기관에만 맡겨서는 안될 일이다.
가시적 성과를 위해 급하게 진행해야할 일은 더욱 아니다.
뉴욕의 경우 공사에만 4년이 걸렸고, 광주의 경우 폐선부지에서 2002 광주비엔날레 공공예술 '프로젝트4 Connection' 진행을 시작으로 꾸준히 시공과 계획을 이어가고 있다.

주민이 참여하여 만든 녹색길이 숨통이 되어 내고향 마산이 활기넘치는 도시로 거듭나기를 희망해 본다.

2009/06/08 - [도시 이야기] - 하천 옆 카페에서 커피 마실날 올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