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감춰진 도시이야기

영화 '암살'의 배태지 밀양

by 허정도 2015. 11. 19.

 

나 밀양사람 김원봉이요

천삼백만 국민을 사로잡은 영화 암살에서 약산 김원봉(조승우 분)이 처음 만난 백범 김구에게 던진 말이다.

밀양사람 약산 김원봉,,, 가을비가 축축이 내리던 어느 날 우리는 선생과 선생 동지들의 숨결을 느껴보기 위해 밀양을 찾았다.

밀양독립운동사연구소 최필숙 선생의 안내로 밀양독립운동기념관을 비롯해 영남루에 있는 친일매국자 박춘금의 행적, 밀양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하고 형장에서 절명한 스무네 살 청춘 최수봉 의사, 조국독립을 위해 서른한 살 젊은 목숨을 초개와 같이 버렸던 초산 김상윤 선생의 유적들을 찾았다.

가는 곳곳마다 밀양의 선열들은 우리를 고개 숙이게 했고 밀려오는 경외심만큼 부끄러움도 컸다.

 

 

밀양여행의 절정은 약산의 생가 터가 있는 한 작은 동네였다.

항일비밀결사였던 조선의열단 창단을 비롯해 조국독립을 위해 생을 바친 선열들이 소년시절을 함께 보낸 곳, 밀양시 내이동 901번지 일대의 넓지 않은 공간이었다.

전홍표, 황상규, 김원봉, 윤세주,,, 이름의 무게만으로도 가슴이 벅찬 민족독립운동의 표상들이 이 작은 동네에서 함께 자랐다는 사실이 선뜻 믿기지 않았다.

한 동네에서 11명의 독립공훈유공자가 탄생하다니? 과문한 탓이겠지만 어떤 역사에서도 이런 기적을 듣지 못했다.

자신들을 지켜주지도 못한 조국을 위해 생을 바친 선열들의 소년시절이 궁금했다. 오목조목 앉았을 크고 작은 집들과 어린 선열들이 뛰어다녔던 좁은 길들이 궁금했다. 질문과 설명이 오갔고, 설명을 들을수록 우리의 동공은 커져만 갔다.

 

<석정 윤세주 선생이 대륙으로 떠나기 전날 이곳에서 세살 난 아들의 몸을 씻겨주었다>

 

밀양읍성의 해자였다는 마을 앞 좁은 하천에도 가을비가 떨어지고 있었다.

소년 김원봉이 동무들과 미역을 감고 놀았다는 곳. 석정 윤세주가 조국독립을 위해 대륙으로 떠나기 전날, 마지막으로 세 살 난 아들의 몸을 씻겨주었던 곳이다.

태항산 전투에서 전사한 밀양사람 석정의 유해는 중국 땅 열사능원에 안치되어있다.

어린 아들과 젊은 아내를 남겨두고 떠났던 서른한 살 선생의 비장함을 생각하니 목구멍 저 밑에서 무언가가 울컥 치밀었다. 눈시울을 붉히는 이도 있었다.

하지만 이 찬란한 역사의 현장은 이야기에 머물 뿐 아직 초라했고, 약산 생가 터에 들어선 작은 상가건물에는 임차인을 찾는 현수막이 빗속에서 펄럭이고 있었다

 

역사 배인 장소는 도시의 보석

 

도시의 가치가 변하고 있다. 깨끗하고 높은 새 건물에 만족하던 시대에서 낡고 보잘 것 없더라도 뭔가를 기억해서 회상하게 해주는 건물이 각광 받는 시대로 변했다. 도시와 건축의 가치가 양적인 것에서 질적인 것으로 달라졌다는 의미다.

이 가치는 역사의 무게가 전하는 이야기의 힘(storytelling) 때문이다. 또한 그것은 지난 시간이 남긴 기억을 문화자산으로 승화시킨 인간만의 진보이기도 하다. 아우슈비츠와 서대문형무소 같은 역사의 현장이나 문경새재처럼 한 시대의 표상적인 장소를 기념한 것이 그 사례다.

이런 노력으로 되살아난 장소는 도시재생의 중요한 수단이 되기도 하고 관광자원이 되기도 하며 지역의 문화중심공간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그런 점에서 내이동 이 작은 동네는 역사도시 밀양에게 보석과도 같은 곳이다.

문화자원보존지구로 지정해 재탄생시키도록 밀양 시에 권한다.

아직 큰 건물이 들어서지 않아 경제적 부담도 적은 편이다. 식민시대 선열들의 삶과 기개를 보여주기에 이만한 장소는 없다. 수준 높은 역사학습장으로서도, 밀양의 도시재생과 문화관광지로서도 충분한 공간이다. 과거의 이야기가 현재화될 때 가치가 크기마련인데 영화의 소재와 연관된다는 점에서 조건도 좋다.(최근 영화배우 송강호가 촬영 중이라고 밝힌 영화 '밀정'도 이곳 출신 독립운동가들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건물과 장소는 시간과 삶의 변화에 따라 바뀐다. 과거의 것은 대부분 사라져서 눈에 보이지도 않는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과거에 있었던 그 시간과 이야기가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눈에 보이지만 않을 뿐 지나간 시간 속에 사라진 공간 속에 감추어져 있다.

장소가 알고 있는 그 시간과 이야기는 인간의 탐구심과 감성으로 살려낼 수 있다.

사라진 것들을 어떤 모습으로 다시 살려낼 것인가? 그것은 현재의 몫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