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속 도시이야기

김형윤의 <마산야화> - 142. 영불의 함대 입항

by 허정도 2017. 3. 20.

 

142. ·(·) 함대 입항

 

 

1920년 여름, 안남(安南, 월남)에 있는 불함(佛艦)이 마산 저도 좌편 안쪽에 투묘(投錨)했다가 삼일 후에 출항한 뒤를 이어, 상해에 주둔하고 있는 영함(英艦) 호오킨스호가 동도(同島) 훨씬 뒤편 마산 바로 앞면에 정박했다.

 

 

<1926년 조선교통도 마산5호에 나타난 마산만 해안>

 

 

이들 영·불 양 극동 함대가 진해 해군기지에 들르지 않고 마산만으로 들어온 것은 어디까지나 일본과의 친선을 위한 단순한 의례적 순방이라 했지만, 그들이 일본 육해군의 중요한 요새지인 이곳에 온 근본 저의를 번연히 알고 있는 일본군 당국자들은, 과거 동맹국으로 국제 친선의 예방인 만큼 속으로는 앓고 있으면서도 표면상으로는 환대하지 않을 수 없는 형편이었다.

 

이 두 함대가 거제 수도(水道)에 나타나기 직전, 진해 해군기지에서는 연막을 쳐서 군항의 일체 형태를 감추는 한편 육해군 장병들의 외출을 엄금해서 그들과의 불의의 교유나 충돌을 막는데 애썼던 것이다.

 

입항 2일째, 진해 통제부 사령관의 의례적 탐방이 있었으나 옹졸하고 괴팍한 일인인지라 내심 초조함을 금치 못했을 것이다.

 

·(·) 함선 안에는 이미 이 지역의 상세한 지도와 사진 등 지리상의 기밀 재료가 이곳을 빈번히 내왕한 선교사의 손을 거쳐 입수돼 있는 것쯤 일본군 수뇌들이 알고 있었을 터인데, 그렇다면 아예 그들의 내방을 단순한 친선예방으로 대하는 것이 마음 편한 것이 아니었을까.

 

호오킨스 호가 들어올 때 갑판을 두들겨서 수심을 측량해가며, 만 톤이 넘는 배가 저도에서 백여 미터 거리의 마산 바로 앞면에 웅자(雄姿)를 나타낸 것은, 저도 앞에 투묘(投錨)한 불함(佛艦)보다 수심 측정 기술이 앞섰다는 것을 과시하기 위한 것인성 싶다. 뿐만 아니라 그들은 함내(艦內)에서 성수(醒水)를 담수(淡水)로 만들어서 음료수로 쓴다면서 자랑도 대단했다.

 

영함(英艦)이나 불함(佛艦)에는 소저부와 쿡크가 중국인 아니면 안남인(安南人)인데 안남인 쿡크에게 , 차이나?”하고 물었더니 , 안난!”하면서 지나인(支那人)으로 보인 것이 불쾌했는지 노기 띤 대답으로 관함자(觀艦者)들을 실소케 한 일도 있었다.

 

오늘날과 같이 외국어가 널리 보급되어 구두닦기와 아이들까지 서투른 영어 조각이라도 할 수 있고, 그들 외인(外人)들이 가진 물건 이름이라도 알았던들 특수 외래품 단속법에 걸릴 염려 없이 귀한 물건들을 입수할 수 있었을는지 모르나, 일본말도 제대로 못하던 그때인지라 함내(艦內)에서 귀한 것이라고 구할 수 있었던 것은 기껏 영·(·) 연초회사 발매의 칼표 담배가 고작이었고, 조선인들이 그들의 돈을 얻을 수 있었던 것은 일본 군함에서와 마찬가지로 공급해 준 야채 값뿐이었다.

 

영함(英艦)이 발묘(拔錨)한 날은 불함(佛艦)의 천명한 날씨와는 달리 가랑비가 조용히 내리는 무더운 저녁 노을 때였다.<<<

 

 

<142회로 김형윤의 마산야화가 모두 끝났습니다. 다음 주, 저자 김형윤 선생을 소개를 하는 것으로 연재를 끝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