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원부 비변사지도(1745~60) (奎12154)/ 필사본(방안식)
- 지도개요 : (제작시기: 1745~60년 (영조 36), 비변사 보관 지도
이 지도책의 가장 큰 특징은 사각형의 方案 위에 지도를 그렸다는 점이다. 이러한 방안의 사용은 위치·거리·방향 등의 정보를 정확하게 그리려는 의도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는 정확한 거리산정을 통해 이동시간을 정확하게 파악하려는 의도에서 제작되었다.
읍성의 위치인 읍치를 중심으로 주요지점간 도로를 표시하였다. 도로의 경우 大路는 적색, 中路는 황색, 소로는 靑色을 사용하였다. 봉수의 호응관계는 주황색의 얇은 직선으로 표시하였다.
邑治의 경우 분홍색 바탕에 적색 윤곽선의 직사각형으로, 面은 황색 바탕에 적색 윤곽선의 직사각형으로, 驛은 짙은 살구색 바탕에 청색 윤곽선의 직사각형으로 표시하였다.
또한 지도를 보완하기 위해 사방 경계가지의 거리, 面의 이름과 위치, 향교·서원·사당의 이름과 위치 및 賜額 여부, 창고·역·사찰의 위치, 역에 배치된 말의 종류 및 수, 산천의 이름과 위치, 津 등을 기록하였다.
- 지도 해제
읍치를 중심으로 16개 면이 표기되어 있다. 북1,2,3면, 서1,2,3면, 동1,2,3면, 부1,2면, 하1,2면, 상1,2,3면으로 나뉘어져 있다.
주요건물 표기는 읍성 근처 향교, 남측 아래 향현사, 동측 방향으로 봉림사, 자여역 원해, 우곡사가 있으며 동남측 방향으로 불모산 아래 웅신사와 안민역의 원해가 있다.
북측방향으로 백월산 아래 남백암, 무릉산 아래 영천암, 서측 방향으로 두척산 봉산 아래 회원서원과 해창이, 밤밭고개(율치) 아래 월영대가, 광려산 아래 광산사가 그려져 있다.
주요 도로망은 16개 면이 연결되어 있으며, 함안 및 칠원과 영산 및 김해로 향하는 길은 대로, 안민고개 방향도 대로이며, 지금의 양곡동 방향으로 가는 고개길(사현)과 신마산에서 가포방향 길은 소로로 되어 있다.
주요 나루터로는 북측으로 낙동강 변에는 밀양계에 신촌진, 영산계에 주문연진이 있으며 남측 반룡산봉산 아래 손도진(봉암교 근처)이 웅천계에 면해 있다.
통신시설에 해당되는 봉수의 연결망은 웅천계 사현에서 두척산 아래 성황당 봉대로 연결되어 칠원계로 이어진다.
지도에 포함된 내용을 자연지리와 인문지리로 구분하여 정리하면 다음 표와 같다.
구분 |
소분류 |
명 칭 |
계 |
행정 |
면.리 |
부1,2면, 상1,2,3면, 하1,2면, 동1,2,3면, 서1,2,3면, 북1,2,3면 |
16 |
자연지리 |
산천 |
광려산, 구룡산, 두척산봉산, 무릉산, 반룡산봉산, 백월산, 불모산, 簾山, 旃檀山, 천주산, 襜山, 청룡산, |
12 |
海 |
낙동강, 저도, |
2 | |
고개 |
私峴,安民嶺阨, 栗峙 |
3 | |
나루터 |
孫渡津, 主勿津, 新村津, |
3 | |
인문지리 |
읍성 |
읍치 |
1 |
교육 |
향교, 향현사, 회원서원 |
3 | |
사찰 |
광산사, 남백암, 봉림사, 靈泉寺, 牛谷庵, 熊神寺, |
6 | |
역원 등 |
근주역, 안민역, 자여역, 院廨1,2, 성황당봉대, 여포봉대, 해창, |
8 | |
고적 |
구병영, 월영대, |
2 |
● 창원부 비변사지도 地志
- 地志는 지도 여백에 적어놓은 군현의 인문지리에 관한 내용으로 정리하면 다음의 표와 같다.
구분 |
소분류 |
세부 내용 |
계 |
행정 군사 |
호구 |
- 호구수 : 7,486호 - 인구 : 27,739명 (남자 11,632명, 여자 16,107명) |
|
군병 |
- 京各司諸色軍 : 1,213명 - 監營屬 ; 285명 - 統營續 : 1,627명 - 右兵營屬 : 837명 - 左水營屬 : 9명 반 - 金海鎭屬 : 1,088명 = 합계 5,059명 |
6 | |
기타시설 |
- 船材封山 : 斗尺封山, 滿月封山, 社亦封山, 靑龍封山, 盤龍封山 |
5 | |
경제 |
量付 |
- 6,293結11負9束, (전2,670결11부3속, 답3,622결60부6속) |
|
實結 |
- 4,724속88부13속 (案田1,691결79부6속, 案沓3,034결9부7속) |
| |
곡물 |
- 元會 및 常賑米 : 38석 54석, - 各樣雜穀 : 3,420석 (잡곡 : 1,101석, 2,319석) - 別餉米 : 1,104석 - 監營米 : 44석, 잡곡 16,984석 - 統營米 : 1,551석, 잡곡 2,477석 - 私賑雜穀 : 3,309석 - 帖價雜穀 : 601석 - 備荒租 : 463석 - 浦項雜穀 : 1,791석 - 華山劃付雜穀 : 3,100석 - 戰兵舡價 : 65석 - 除留米 : 169석, 잡곡 1석8부 - 各樣軍作米 : 217석 - 射木作米 : 27석 - 作租 : 151석 |
15 |
해동지도 지지와 비교했을 때 호구수에서 100호 많은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항목은 명칭만 변동되었을 뿐 수량은 같다. 같은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역사속 도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지도로 보는 창원7. - 진해현 비변사지도 (0) | 2017.05.15 |
---|---|
고지도로 보는 창원6. - 웅천현 비변사지도 (0) | 2017.05.08 |
고지도로 보는 창원4. - 칠원현 해동지도 (0) | 2017.04.24 |
고지도로 보는 창원3. - 진해현 해동지도 (0) | 2017.04.17 |
고지도로 보는 창원2. - 웅천현 해동지도 (0) | 2017.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