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는 이야기

기후변화와 언론

by 운무허정도 2021. 4. 12.

이 글은 환경운동가 박종권 선생(아래 사진)이 썼다. 경남기후위기비상행동 공동대표이기도 한 박종권 선생은 7순을 바라봄에도 지구환경을 지키기 위해 온 몸을 던지고 있다.

 

 

“새로운 기록이에요”

그레타 툰베리가 환경이나 기후 문제를 다룬 신문 기사가 1%를 넘었다면서 환한 얼굴로 외친 말이다.

그레타는 스웨덴 대부분의 신문이 쇼핑 관련 기사 22%, 자동차 7%, 비행기 여행 11%, 기후 관련 기사는 겨우 0.7%에 지나지 않는데 자극을 받아 매일 4대 일간지의 기사에서 기후 문제가 차지하는 비중을 계산하기 시작했다.

스웨덴은 기후변화 대응지수 평가에서 61개국 중 1위를 한 기후변화 대응 모범국가인데도 언론은 아직 적극적이지 않다.

금년 1월에 영국의 유력 일간지 가디언은 기후변화를 기후위기로 바꿔 사용하고 기후위기 취재 보도팀을 9명의 기자로 구성했다.

기후변화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일반 대중의 무관심이 가장 큰 위기라고 한다.

기후위기를 어쩌다 발생하는 기상이변 정도로 생각하고 눈에 보이는 미세먼지를 더 중요하게 느낀다.

일반 대중이 기후위기에 무관심한 것은 언론의 책임이 크다. 스포츠와 연예 뉴스, 코로나, 정치, 경제 뉴스가 언론 보도의 대부분이다.

기후위기는 산업혁명 이후 인간의 화석 연료 사용이 급증하면서 시작됐다. 100년 전 280ppm이던 이산화탄소 농도가 417ppm까지 증가하자 지구 평균온도는 1도가 상승했다.

과거 1만년 동안 지구 평균온도가 4도 상승했는데 최근 100년 동안 1도 상승한 것은 25배 빠른 속도이다.

1도 상승한 지구는 더 이상 참지 못하고 바다와 산에서 물과 바람, 불로 분노를 표출하기 시작했고 북극과 남극의 빙하는 빠른 속도로 녹기 시작하여 분노의 강도를 더했다.

<잡식동물의 딜레마>의 저자 마이클 폴런 교수는 ‘온난화와 해빙 현상은 여러 모델이 예측한 것보다 훨씬 더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 기후학자의 눈을 자세히 들여다본 적이 있는가? 그들은 정말 겁에 질린 것처럼 보인다’라고 10년 전 칼럼에서 주장했다.

북반구 유럽 선진국은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발빠른 대응을 시작했다. 석탄과 석유 같은 화석 연료를 퇴출하고 태양광, 풍력의 에너지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경제가 어렵다는 핑계로 에너지전환에 부정적 일변도로 보도를 하는 주류 언론 때문에 많은 국민들이 기후변화 대응에 미온적이다.

80대 영화배우 제인 폰더는 기후 집회에 참석하기 위해 뉴욕에서 워싱턴으로 이사했다. 경찰 저지선을 넘어 감옥에 갇힘으로써 세상 사람들에게 기후위기를 생각하게 한다.

기후위기를 막을 시간은 이제 10년이 채 남지 않았다.

1도 상승에도 심각한 기상이변이 전 세계에서 일상화되고 있는데 0.5도가 추가로 상승하면 수 억 명의 기후난민, 식량 문제가 심각하게 될 것이다.

지금처럼 살아가면 5년내 벌어질 일이다. 특히 한국은 기후변화 대응지수 평가에서 61개국 중 58위에 머물러 세계 4대 기후악당국으로 비난받는 실정이다.

OECD 국가 중 해외 석탄 투자에 공적 금융기관이 자금을 지원하는 국가는 한국뿐이다. 석탄 투자는 파리협약 당사국으로서의 의무를 위반하는 것으로 해외 언론과 국제단체로부터 큰 비난을 받고 있다.

다행히 공적 금융기관의 해외 석탄투자 금지법안이 국회에 제출된 상태인데 통과여부는 불투명하다.

정치인들은 10년 후를 생각하지 못하고 머릿속에는 오직 재선, 대선 생각만 가득하여 허구한 날 정치공방만 일삼고 있다.

언론의 역할이 절실한 시대임이 분명하다.<<<

경남기후위기비상행동 공동대표 박종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