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는 이야기

오키나와 사람들은 오키나와 신문을 본다

by 허정도 2011. 2. 9.

“일본국민 대다수는 아사히 요미우리 마이니치 세 신문 중 하나를 본다.
그러나 오키나와 사람들은 다르다. 오키나와 사람들은 오키나와 신문을 본다”

오키나와 사키마 미술관에서 만난 더글러스 러미스(C. Douglas Lummis) 교수의 말입니다.
『경제성장이 안되면 우리는 풍요롭지 못할 것인가』라는 책으로 유명한 더글러스 러미스 교수는 '오키나와에서 동아시아를 바라보고 그 시선을 통해 세계평화의 길을 찾는 미국인 정치사상학자이자 평화운동가'입니다.

오키나와-일본-미국, 다시 돌아와 한반도-중국-동아시아에 이르기 까지 그의 지식은 넓고 깊었으며 그의 자세는 진지했고 겸손했습니다.

       <한반도를 일본영토로 표기한 1920년대 일본지도를 보여주고 있는 러미스 교수>

두 시간의 강연과 뒤풀이까지, 짧지 않은 시간 동안 그에게서 많은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하지만 그 많았던 말 중, 내 귀를 가장 진하게 울렸던 것은 “오키나와 사람들은 오키나와 신문을 본다”는 한 마디였습니다.

그 한마디 때문에 섬에 머무는 동안 오키나와 사람들이 읽는 신문을 살펴봤습니다.
그의 말대로 일본 어디를 가나 한국의 조중동처럼 눈에 띄었던 ‘아요마’(아사히 요미우리 마이니치)가 잘 보이지 않았습니다.
‘아요마’ 대신 오키나와의 두 신문 「류큐신보(琉球新報)」와「오키나와타임즈(沖繩タイムス)」는 식당, 호텔로비, 주점, 공항에서까지 손쉽게 구할 수 있었습니다.

「오키나와타임즈(沖繩タイムス)」는 미군정 시기였던 1948년 창간되었고, 「류큐신보(琉球新報)」는 19세기 말인 1893년 창간된 오키나와 최초의 신문입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신문인 정부발행 「한성순보」창간이 1883년이고 서재필이 발행한 「독립신문」 창간이 1896년인데, 작은 섬 오키나와의 민간발행 「류큐신보(琉球新報)」가 1893년 창간되었다는 사실에 놀랐습니다. 거기에다 120년이 다 된 지금까지 제호도 바꾸지 않고 발간되고 있어서 더 놀랐습니다.

                                     <류큐신보와 오키나와 타임즈>

내용을 살펴보았더니, 두 신문 모두 1면에는 전국적인 기사가 실려 있었고 나머지 모든 면은 우리처럼 지역기사였습니다.
순간 '웬 전국소식?'하고 의아스러웠지만 다시 생각하니 ‘아요마’를 읽지 않는 오키나와 주민들에게는 당연한 편집이었습니다.

조중동 중 하나를 반드시 읽는 우리에게는 지역소식만 있더라도 아무 문제없지만 러미스 교수의 말처럼 이곳 사람들은 오키나와 신문만 보니 전국소식을 지역신문이 다루는 건 당연했을 터입니다.

지역관련기사들도 우리와 사뭇 달랐습니다.
미군철수니 오키나와 정체성회복이니 하는 소위 오키나와평화운동의 동력이 지역신문에서 나오는 것 아닌가 싶을 정도였습니다. 지면 곳곳에 오키나와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국제사회와 오키나와의 관계 등에 관한 기사들이 줄을 이었습니다.
특히 미국과 일본본토와의 관계 속에서 발생하는 오키나와평화문제에 대한 기사가 유독 눈에 많이 띄었습니다.

예민한 반응이었는지 몰라도 오키나와의 정체성을 회복하고 오키나와가 진정 오키나와다워지기 위한 주민들의 염원이 신문활자 한자 한자에 흐르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오키나와 역사문화안내단체의 회원인 히카료코 씨가 태평양전쟁 때 오키나와 주민들이 집단자결한 동굴 앞에서 전쟁의 참상을 설명하던 도중, 일본정부의 오키나와 전쟁 왜곡의도에 항의하는 오키나와 주민집회를 보도한 류큐신보 호외판을 보여주고 있다. 신문은 정부입장에 반대하는 주민들의 입장을 강하게 전하고 있다>


<
오키나와 전쟁 60주년이던 지난 2005년에 류큐신보는 「오키나와 전쟁신문(沖繩戰新聞)」이라는 특집을 발간하였다. 사진은 2005년 4월1일자 특집7호 신문 1면.
신문의
왼쪽 상부에 오키나와 전쟁 60년 - 당시의 상황을 지금의 정보와 시점에서 구성이라는 제작의도가 밝혀져있고  그 곁에제7호-1945년 소화(昭和)20년 4월1일 일요일」이라고 적혀있다. 기사 큰 제목은 '본 섬에 미군상륙' 작은 제목은 '병력18만3천명 투입' '일본군 반격않고 각지에서 집단사'라고 적혀있으며 사진은 '미군상륙장면'을 사용하였다.
1945년 4월 1일은
미군이 오키나와에 최초로 상륙했던 날로, 참혹했던 오키나와 전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날이
>


지난 달, 합포문화동인회가 주최한 김두관 도지사 초청 강연에서 김 지사는 “옛날 제가 대학 갈 때만 해도 부산대학과 경북대학이 상당한 명문이었습니다만 요즈음은 서울의 대부분 사립대학보다 입학이 쉽다고 들었습니다. 이래가지고서야 어찌 지방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겠습니까”라고 말해 참석자들로부터 공감을 얻었습니다.
어디 참석자뿐이겠습니까. 서울사람을 뺀 대한민국 국민 모두의 생각일 겁니다.

그 동안 수도권은 마치 아귀처럼 지역을 삼켰습니다. 수도권 빨대현상을 생각하면 정말 나라의 앞날이 걱정됩니다.
세계적으로 유래가 없는 한국의 서울집중현상에는 언론이 능동적으로 작용합니다.
특히 제대로된 지역소식은 다룰 수도 없고 다루지도 않으면서 전 국민을 지배하고 있는 신문이 더욱 그렇습니다.

조중동으로 대표되는 신문의 중앙집중현상(보다 정확히 말하면 서울집중현상)은 중앙과 지방의 격차를 점점 더 넓힐 뿐만 아니라 지역을 피폐화시키는 원인이기도합니다.

오죽 심했으면 부산일보 모 논설주간이 서울언론의 태도를 두고 “지역 스스로 자신을 지키지 않으면 지역민의 자존심까지 상습적으로 추행 당하게 될 것”이라 경고까지 했겠습니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위 전국지라 부르는 서울지는 공짜 신문에다 자전거, 가전제품, 심지어 현금까지 뿌려대며 독자를 사들이는 통에 돈이 없는 지역신문들의 위축속도는 점점 더 빨라지고 있습니다.

제가 경남도민일보 사장으로 근무하던 2006년 경, 우리나라 지역신문 구독률은 평균 6%를 밑돌았습니다.
그나마 경남지역은 16%대로 타 지역에 비해 많이 높은 편이었지만 충청 호남 강원지역은 3-6%에 그쳤고 경기지역은 1%정도였습니다.

같은 시기 독일은 93%, 프랑스가 73%, 영국이 67% 정도를 지방지가 차지했으니 우리나라의 신문시장이 얼마나 왜곡되어 있는지 잘 비교되실 겁니다.

이런 사정을 알고 최근 경상남도에서는 ‘지역신문발전을 위한 지원 조례’도 만들고 위원회까지 구성했습니다만 ‘언 발에 오줌 누기’일 뿐 주민들의 자발적 관심이 없으면 해결될 일이 아닙니다.

그래서 해보는 생각입니다.
오키나와주민에게 배우는 건 어떨까요.
설령 정보량과 편집과 서비스가 조금 미흡하다하더라도, 우리자신이 우리 문제와 우리 사정을 잘 알아야 우리다워지고, 그래야 스스로를 사랑하게 된다는 생각으로 지역 언론 사랑하기, 어떻습니까?

몸은 지방에 있으면서,
아침마다 서울시내 출근길 도로사정 TV방송을 보고, 화장실에 앉아 여의도 소식만 담긴 신문을 읽고, 그 이야기를 점심 먹으며 되새김질하고, 밤에는 강남 부자이야기 연속극을 보며 살아가는데, 지방의 정체성과 자생력이 어떻게 생기겠습니까?
우리가 우리 자신에게 무관심한데 누가 우리에게 관심을 갖겠습니까.


“일본국민 대다수는 요미우리 마이니찌 아사히 세 신문 중 하나를 본다.
그러나 오키나와 사람들은 다르다. 오키나와 사람들은 오키나와 신문을 본다”

오키나와의 작은 미술관에서 들었던 벽안의 노(老) 교수 음성이 지금도 귀에 쟁쟁거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