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주의 일본 군부가 강압적으로 건설한 계획도시진해(구 진해시청 부근, 서부지역)가 탄생한지 100여년이 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최초로 근대적인 도시계획기법이 적용된 도시이지만 설계자가 누구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일본군부가 외부전문가에게 의뢰했지 않았겠느냐' 라고 추정하는 정도입니다.
당시 설계된 진해시가지 계획도입니다.
보는 것처럼 진해는 방사형가로구조를 가진 도시입니다. 북원(北苑)·중원(中苑)·남원(南苑)광장을 두고하는 말입니다.
강점기에는 이 세 광장을 북십(北辻) 中辻(중십) 南辻(남십)이라 했습니다. 십(辻, 쯔지)은 우리나라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는 한자인데 '네거리, 큰길'이라는 뜻입니다.
방사형가로구조로 설계된 도시가 또 있습니다.
진해와 비슷한 시기인 1907년 시작된 함경북도 나남시입니다.
아직 원형광장이 남아 있을까 싶어서 위성사진에서 확인해 보았더니 나남시에는 방사형가로구조의 원형이 없어져버렸습니다.
따라서 비록 일제에 의한 도시계획이었지만 진해는 근대기 초에 디자인된 방사형가로구조를 가진 한반도 유일의 도시입니다.
그 자체만으로도 도시사적 가치가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이 20세기초에 일제가 계획한 나남시의 도시계획도면(재 작도)과 며칠 전 제가 확인해본 '같은지역의 위성사진'입니다. 광장의 흔적은 조금 남아 있습니다.
진해 도시설계의 특징을 두고 다양한 설명이 있습니다.
그 중 재미있는 것은 중원광장에 모이는 8개의 도로, 즉 방사동심원형광장(放射同心圓形廣場)이 일본군의 깃발 욱일승천기(旭日昇天旗)를 모방했다는 해석입니다.
일제시기에 건설된 진해도시계획을 설명하는 사람에게서 가장 흔하게 듣는 말이며, 많은 사람들이 별 생각 없이 그냥 그렇게 알고 있고 그냥 그렇게 전하고 있는 이야깁니다.
최근에 진해도시를 주제로 논문을 한편 쓰다가 이 문제를 다시 생각하게 되었고 제 나름의 결론을 얻었습니다.
이 글은 ‘진해중원광장의 욱일승천기 모방설’에 대한 제 생각입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건 ‘너무 심한 비약’입니다.
아래 사진은 현 진해 탑산 정상에 일본해군이 세운 러일전쟁 승전기념탑입니다. 해방될 때까지 있었습니다.
일본인들이 자랑스러워했던 욱일승천기가 탑꼭대기에서 펄럭이고 있습니다.
우리 눈에는 혐오스럽기까지한 깃발입니다만 제가 생각하는대로 의견을 개진해 보겠습니다.
중원광장과 같은 방사동심원형광장은 도시가로망계획에서 흔히 나타나는 기법으로 유럽의 도시가 근세에 들어와서 많이 채택한 형식입니다.
대표적 도시로서는 파리를 들 수 있으며 유럽전원도시에서 이 형식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러시아가 동방에 건설한 중국의 대련과 심양에도 이런 원형광장이 나타나며, 계획도시 뉴델리와 캔버라에도 방사동심원형이 나타납니다.
멀리는 로마시대에서도 이 형태를 찾을 수 있습니다.
방사동심원형광장의 디자인은 욱일승천기와 비슷하게 될 수밖에 없습니다.
원형광장을 중심으로 도로를 뚫으면 이 모양 외에 어떤 그림이 나오겠습니까?
굳이 따져보면 욱일승천기는 깃발 중심에서 뻗어나가는 선이 16개라 도로가 8개 밖에 안 되는 중원광장과는 차이도 많습니다.
오히려 개선문이 자리잡고 있는 파리의 드골광장이 욱일승천기와 더 가깝습니다.
각 도시의 원형광장과 욱일승천기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순서는
욱일승천기 / 진해중원광장
파리 드골광장 / 로마의 광장
뉴델리의 광장 / 워싱턴 뒤폰트 광장 입니다
‘이건 아니다’라는 생각을 하게된 결정적인 이유가 있습니다.
일본제국주의 군부의 상징인 욱일승천기는 태양을 중심에 두고 그 빛이 세계를 향해 뻗어나가는 형상입니다.
그런데 그 중심, 즉 태양의 한복판 지점에 일본인들이 진해에 군항을 건설하기 전부터 존재하고 있었던 당산목 팽나무가 강점기 내내 심겨져 있었다는 사실입니다.
위 진해시가지도에 나타나는 중원광장에도 자세히 보면 이 나무가 그려져 있습니다.
다음 사진이 중원광장에 심겨져있던 팽나무입니다. 1920년 경 찍은 사진 같습니다.
중원로터리 디자인이 욱일승천기를 모방했다면,
한국사람들이 조상대대로 신목(神木)이라고까지 부르며 제를 올리기도 했던 당산목 팽나무를 왜 그 한복판에 두었을까요?
설명이 참 어렵습니다.
중원광장이 욱일승천기와 비슷한 건 사실입니다만 그렇게 된 이유는, 단순히 도시디자인을 방사동심원형광장형식으로 선택했기 때문이었다고 봅니다.
일제의 악의를 포장해주고 싶어서 쓰는 글이 아닙니다.
지금에 와서 그 진실여부를 밝힐 수도 없을 겁니다.
하지만 사건이든 사물이든 인과관계에 대해서는 감정개입 없이 사실(fact)에만 근거해 설명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서 올리는 글입니다.
역사에 감정이 개입되면 ‘아팠던 역사’조차 극복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감춰진 도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 경화동,,, (1) | 2011.10.26 |
---|---|
누가 이 나무를 모르시나요? (2) | 2011.09.28 |
도시 한복판에 동굴이? (0) | 2010.09.29 |
건축가 정기용과 '진해 기적의 도서관' (8) | 2010.09.22 |
거꾸로 보는 그림, 건축 그리고 도시 (0) | 2010.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