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속 도시이야기

김형윤의 <마산야화> - 12. 중학교유의 익사 13. 민족의 제전 상영금지

by 허정도 2015. 5. 4.

12. 중학교유(中學敎諭)의 익사

 

마산 공설해수욕장은 원산의 명사십리에 못지 않는 곳이다.

물결이 잔잔하면서 차지 않고 멀리까지 얕았으며 깔려있는 모래가 깨끗하고 해변은 철도공지에 창창한 송립이 쭉 늘어져서 문자 그대로 백사청송(白沙靑松)의 경치였던 것이다.

매년 7월 13일에 개장이 되면 각 지방의 피서객과 수영 훈련차 학생단체 등이 쇄도한다.

이 학생 훈련생들은 연중 정례로 오는데 2,3년 계속하여 온 학교 중에는 대구 의전생(醫專生)과 대구 중학생은 수영 감독 겸 지도하는 선생이 인솔하였다.

1928년(소화3년)경에 십수 명의 대구 중학생 중 두 명이 수영을 하다 경련을 일으키는 것을 목격한 인솔 선생이 무아무중(無我無中)으로 뛰어들어 난을 면케 한 것은 다행한 일이었으나 구제해 준 선생은 심장마비를 일으켜 희생되고 말았다.

이 사건으로 현지 로케까지 하여 각 영화관에 상영하는 한편 학교장(學校葬)으로 집행하였으며, 같은 해에 마산도립의원에 전습하여왔던 대구의전의 일본 학생 항 명도 수영 중 심장마비로 익사한 일이 있었다.

그 해수욕장도 일본의 전쟁 준비 차 부산보조항으로 매축되고 청송만 해변에 부딪히는 파도소리에 초연히 머리 숙이고 있을 뿐이다.

* 저자 주 : 현재 시영 해수욕장이라는 곳은 국립요양소 즉 오염지대이며 뻘물에다 대장균이 우글거리는 형편이다.

 

13. 민족의 제전(祭典) 상영금지

 

1936년 독일에서 개최된 제11회 국제올림픽대회에서 마라톤에 손기정 선수가 1위를 하였던 기록문화 영화 ‘민족의 제전’이 만 1년 만에 편집이 끝나고 4년 후인 1940년 8월에야 총독부 학무국 주최로 부민관(府民館)에서 시사회를 가졌다.

이 영화의 판권 소유사 「우파」영화사와의 계약자인 동화상사는 국내 수개 대도시에 한하여 상영했던 바 과연 기록문화 영화로서 최고의 인기가 총집중하였다.

마침 부산에서는 영화상설관 「행관(幸館)」에서 상영의 막을 올린 다음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부산시내 조·일 중학교 육상 경기대회를 개최하였으나 심판원 중에는 민족적 차별감을 가지고 경기 수 종목에 걸쳐 부정 채점한 것이 노출되어 장내 조선인 학생간에는 불평과 반발이 충천하고 있었으며,

심판장으로 있는 현역 육군배속(陸軍配屬) 장교 내태(乃台)라는 자는 심판도 부정하였을 뿐 아니라 조선인 학생에 대한 언어가 너무 모욕적인데 분개한 학생들은 경기가 끝나자 시가를 시위하고 내태(乃台)를 성토하는 대학회를 열자 겁에 질린 내태(乃台)는 도피하고 말았다.

일몰이 되자 학생들은 내태(乃台)의 사택을 습격하여 난동이 벌어졌으므로 긴급 출동한 경찰은 학생들을 모조리 검속하는 한편 즉각 가택수색을 행하였던 결과 학생들의 일기장에는 손기정 선수에 대한 감격과 가슴에 단 일장기 마크에 대한 분노가 공통적으로 기록되어 있음을 보고 소위 불령선인(不逞鮮人)의 불온사상을 구실로 동래고보를 비롯한 많은 학생들을 투옥하였다.

이 사건을 전후하여 춘천고보 학생들도 여기에 영향을 받아 궐기하였으므로 모조리 검거하였던 것이다.

이것과는 관계없이 「민족의 제전」의 관객은 최고로 동원되었으며 5,6개의 프린트는 각지 영화관에 동시 봉절(封切)을 하게 되어 있었으며, 1940년 12월 마산에서도 개봉하게 되었던 것을 경무국 간부들이 민족적 감정의 자극에서 오는 봉기를 두려워한 나머지 이를 상영 금지시켰던 것이며, 따라서 이 올림픽 기록문화 영화 「민족의 제전」은 8·15 해방이 오기까지 햇빛을 보지 못하고 말았던 것이다.

* 참고 : 제11회 마라톤 기록표

제1위 손기정 2시간 29분 14.2초   /   제2위 영국인(성명 미상) 2시간 31분 23.2초   /   제3위 남승룡 2시간 31분 43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