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속 도시이야기

김형윤의 <마산야화> - 32. 벚꽃

by 허정도 2015. 7. 20.

32. 벚꽃

 

마산의 자랑으로서 벚꽃을 뺄 수 없다. 더욱 밤의 벚꽃 말이다.

타지방의 벚꽃나무 위치를 살펴보건대, 대개가 내()를 끼지 않은 평지로서 진해가 그렇고, 서울 근교의 우이동 같은 곳도 그러하며, 창경원이나 진해 해군 통제부 영내의 벚꽃 터널도 또한 평지다.

이런 곳들에 비하면 마산은 신마산 경교교반(京橋橋畔)을 중심한 천변양안(川邊兩岸)에 즐비한 벚꽃나무와 장군천 양안(兩岸) 및 마산 신사 앞 급경사 진 표리삼도(表裏參道 / 무슨 뜻인지 알 수 없지만 원문 그대로 옮긴다)의 벚꽃나무들은 4월 중순경이면 만개된다.

이 외에 마산 중포병대대 영내 전역과 마산 부청(창원군청, 지금의 경남대 평생교육원) 경내와 부윤관사(마산시립 보육원, 지금의 마산종합사회복지관) 주변 등에 하루밤 사이의 기온에 따라 개화가 늦어지고 빨라지는데 수백 주의 벚꽃을 멀리서 조망하면 아무리 청징(淸澄)한 날이라도 아지랑이 같기도 하고, 저녁노을이 아니면 산 넘어 화재 같기도 하다.

<일제강점기의 신마산 경교교반(京橋橋畔, 지금의 대곡천변) 벚나무>

 

마산은 대체로 지세가 바다로 향해서 경사진 관계로 지방에서 오는 사람과 마산만으로 입항하는 상춘객들은 요염한 벚꽃에 황홀하다.

천변(川邊)의 벚꽃 장에는 일인들이 자기들 공장에서 생산하는 특주의 직매장을 설치하여 마치 주류 품평회를 연상케 하는데, 이 시기에는 출장식 음식점은 물론 이동식 흥행장이 가설되어 도비(都鄙) 각지에서 몰려드는 관앵객(觀櫻客)과 더불어 안비막개(眼鼻莫開)로 붐빈다.

한때는 경부선 특별 전세 열차편으로 약 8백여 관객이 하루 코스로 들이닥쳐 교반천변(橋畔川邊) 꽃밭에서 직매한 마산 명주와 가져온 도시락으로 담소화락(談笑和樂), 번잡을 이룬 때도 있었다.

벚꽃 구경은 뭐라고 해도 밤이다.

꽃철이 되면 주변에 사는 동민들은 각색 작은 전등을 가설하는데 일인들은 한자로 설등(雪燈)이라 하여 본보리라고 한다.

<일제강점기의 신마산 밤 벚꽃>

 

야경은 참으로 백화요란(百花燎爛)하여 남녀 마음도 요란하게 된다. 만개기의 밤 천변에는 아무리 도학자요, 금주론자일지라도 퍼져 앉아서 한 잔 않을 수 없으리만치 흥에 취하게 되는데,

개화해서 하루 이틀 지나면 바람 한 점 없건마는 한잎 두잎 떨어지기 시작한다.

으레 술자리나 어깨 너머로 꽃이 붙는데 어쩌다 술잔에 떨어지면 술 흥취는 더욱 솟구친다.

경교(京橋) 옆에 자리 잡은 동운(東雲), 망월루(望月樓), 탄월(呑月)같은 고급 요정 예기(藝妓)들의 가냘픈 가요에 애조를 담뿍 실은 삼매선(三昧線) 소리가 기루(妓樓)에서 흘러나릴 때 마음 없는 길손들에 일말의 애수를 느끼게 한다.

한편 천변 북쪽에는 이와 정반대로 벚꽃나무 대신 실실 늘어진 수양버들가지가 냇물에 뻗었는데 이곳은 전등이 없는 덕(?)으로 이때를 놓칠세라 밤 어둠을 타서 남녀 쌍쌍이 밀회를 즐기는데 행인들은 냉소를 머금고 통과한다.

이렇듯 즐기고 상춘객들로부터 상탄(賞歎)을 받던 꽃도 불과 며칠 지나면 차차 추한 빛을 띠우면서 낙화시가 닥쳐오면 애완객들의 발길에 짓밟히며 쓰레기로서 천대를 받는다.

유독 벚꽃만은 다른 종류의 꽃과 같이 개화 낙화의 순서가 있는 것이 아니고 동일 동시에 피었다가 거의 같은 시간에 떨어지는 꽃이라서 일본인들이 일인(日人) 국민성이라고 자칭하는 자도 있지만 어쩌다가 일진의 바람이나 일조(一條)의 비에 흔들리면 수만우(數萬羽)의 호(/ 무슨 뜻인지 알 수 없지만 원문 그대로 옮긴다)이가 마치 광무하는 듯한 광경을 보여준다.

이때에 경교천(京橋川)으로 낙화하는 꽃잎은 냇물의 등에 업혀 쏜살같이 멀리 또 멀리 바다로 흘러간다.

실로 낙화유정 유수무의(落花有情 流水無意) 그것이 아닌가. 나는 그대를 정이 있어 왔건마는 그대는 어이하여 무심하게 흘러 가노

한때 유명했던 마산의 벚꽃도 수령 근 50에 접어든 노목들로 약품을 뿌려 가꾸는 사람조차 없이 해방의 여독으로 무지한 폭한들의 도끼()질에 지금은 폐허가 되어 버렸다. <<<

※ 아래는 지금의 문화동 대곡천변 벚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