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7. 청년들의 방역(防疫) 운동
1920년 (원문에는 1929년으로 되어 있지만 본문의 여러 정황으로 보아 대정 9년인 1920년으로 추정되어 바로 잡음) 즉 일치(日治) 대정 9년 8월경에 마산시내를 엄습한 콜레라로 인해서 아침에 만난 사람이 저녁이 되면 피병원(避病院, 격리병원)으로나 묘지로 가고 만다.
1918년에 전 세계를 휩쓴 ‘이스파니아’ 독감의 맹위에 굴복된 민중들은 환자가 발생하면 약보다 기도하는 것이 만배 이상의 효능이 있다는 미신이, 현대의 예방치료나 과학을 억누르고 집집마다 샤머니즘에 젖어서 밤이나 낮을 가리지 않고 야단법석을 떨었다.
여기에 호역(虎疫)의 예방주사 같은 것도 일본인의 병원에는 편협한 민족 감정으로서 고의로 한인 환자에게는 차별을 하고, 심지어는 절명케 한다는 최극단의 유언(流言)이 횡행하여 일의(日醫)의 치료와 시료(施療), 격리 병사의 수용 등을 완강히 거부하던 일도 비일비재하였다.
이때에 마산민의소 간부를 중심한 중견 청년들로 결속된 마산구락부 청년회에서는 화급히 마산 호역방역대(虎疫防疫隊)를 편성하여 긴급 동원을 하였는데, 방역에 소요되는 일체의 비용은 한 푼도 당국(일본인 각 기관)의 지원을 받지 않기로 한 것이다.
그 당시 청년들의 방역태세를 보면, 본부의 명령에 일사불란 신속 출동으로 적십자 완장의 가운(소독복)을 입고 환자가 발생한 상당 거리를 교통 차단과 동시 석회 소독을 하여 출입제한, 혹은 이 마을 사람이 이웃 마을로 갈 때라도 예방주사 필증을 정시(呈示)치 않으면 통행은 절대로 용인치 않았다.
수도 시설이 없던 시절이라 공동우물과 우물주변을 소독한 뒤에는 부녀자의 접근을 금하고 대원 자신들이 급수 공습하였으며, 각 가호호(家戶戶)의 음료수에 희염산(稀鹽酸)을 타서 먹게 하는 일방 출입문전에 가마니 위에다가 당시 유일한 소독약이었던 석탄 산수(酸水)를 뿌려 반드시 소독한 가마니를 밟고 출입토록 하는 등,
방역에 치중하던 이들의 애족심에는 감개무량할 뿐이며, 당시 활약하던 대원들 명단을 기억으로 더듬어 보자.
대장 ; 김무경(金武敬, 일명 태권)
대원 ; 이영재, 명도석, 나인한, 김용환, 김용선, 김태곤, 김치수, 김철두, 손문기, 김기호, 김계호, 오호봉, 명상수, 김지철, 이정찬, 김명규, 김형오, 전 석, 황태현, 이우문, 최대규, 김기성, 여병섭, 황장오(이상 전원 고인), 최철용(무순)
* 주 ; 이상 명단 중에서 누락된 분이 있다면 양해 바람<<<
<마산민의소 회관이 있었던 옛 시민극장 / 지금은 다른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역사속 도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형윤의 <마산야화> - 129. 애국 여성들 (0) | 2016.12.19 |
---|---|
김형윤의 <마산야화> - 128, 신인회 탄생 (0) | 2016.12.12 |
김형윤의 <마산야화> - 126. 일간 신문지국 (0) | 2016.11.28 |
김형윤의 <마산야화> - 125. 벽신문 (0) | 2016.11.21 |
김형윤의 <마산야화> - 123. 기자 피살사건, 124 - '비(秘)'를 알리는 경무국 (0) | 2016.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