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속 도시이야기

마산도시의 발원지 「마산창(馬山倉)」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09. 11. 23.
 

「유장근 교수의 도시탐방대」에 참여, 세 번째 도시 탐방에 나섰다.
낯익은 사람, 낯선 사람 모두 30여 명이었다.
평안안과 건너 편 창동 입구에서 걷기 시작해 처음 머문 곳이 마산창,
시간은 250년 전 영조 때로 돌아가고 있었다.


조선시대 이전,
마산포는 고려시대 조창이었던 석두창과 고려 말 몽고군의 일본정벌 시도로 북적인 적도 했으나 조선시대 중기에는 조용한 포구였다.
마산포에 다시 사람이 모인 것은 대동미의 수납과 운반을 위한 조창, 즉 마산창(馬山倉) 때문이었다.

조용했던 포구에 조창이 생기자 정기시장이 섰고, 전국의 다양한 상품들이 몰려왔다. 조창과 관련있는 관원은 물론 각지의 상인들도 마산포를 찾았다.
그리고 이들과 마산포 인근주민들의 왕래가 생기면서 자연스럽게 민가가 들어섰다.
동성·중성·오산·서성·성산·성호 등 지금도 동명으로 사용되는 6개리가 그 때 형성되었다.

이처럼 마산창은 마산포의 중심이자 마산포를 도시화시킨 발원지였다.
오늘의 마산도시를 있게 한 역사적인 공간이다.


〈마산창과 유정당〉

현 제일은행 마산지점과 남성동 파출소 일대, 지금은 세 블록으로 나누어진 직사각형 1,500여 평의 부지가 마산창이 있었던 유서 깊은 터다.
1760년 영조가 대동법을 시행하며 세운 경남지역 두 조창 중 하나다.
규모와 위상에서 당시는 물론 근대 이전까지 마산인근 최상위의 관아였다.

1899년 마산이 개항되자 개항업무를 집행하던 감리서아문(監理署衙門)으로 사용되기도 했고 그 보다 일 년 전인 1898년부터는 마산포우편물취급소로 일부 사용되기도 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창동(倉洞)이란 동명도 마산창의 창(倉)자(字)에서 따온 것이다.

 
<마산창이 있었던 시기의 위치도 / 제일은행 자리에 유정당이 앉아 있었고 남성동 성당과 이프 등이 있던 곳은 해안공지, 남성동우체국 자리는 바다였다>


마산창의 본당은 「유정당(惟正堂)」이라 불렀다.
마산창 내 8채 건물 중 중심건물이며 세곡미 호송관으로 조정에서 내려온 조운어사가 머물렀던 곳이다.

유정당이 어떤 건물이었는지 가늠해볼 수 있는 두 글이 있다.
건물 준공 후 이곳을 찾은 창암(蒼巖) 박사해와 간옹(澗翁) 김이건의 시(詩)다. 김이건의 詩 중 양창(兩倉) 혹은 좌창우고(左倉右庫)는 마산과 진주의 두 조창을 말한다.


           
漕倉 惟正堂                朴師

           坐 來 新 棟 宇             새로 지은 집에 와 앉으니
           
蕭 灑 客 心 淸             나그네 마음 상쾌하게 맑아지네.
           
海 色 楹 間 入             바다 빛은 난간 사이로 스며들고
           
島 霞 席 底 生             섬 노을은 자리 밑에서 일어나네.
           
倘 非 經 緯 密             경위가 치밀하지 않았더라면
           
那 得 設 施 宏             어찌 규모가 넓었으리오.
           
南 路 知 高 枕             남쪽 지방이 태평함을 알겠거니
           
蠻 氓 可 樂 成             변방 백성들이 즐겨 지었다오.


           
送漕船歌                    金履健
           
․․․․․ ․․․․․
           始 建 兩 創 儲 稅 穀     비로소 두 조창 지어 세곡을 저장하고
           
繼 造 衆 艦 艤 海 澨     이어 많은 배 건조하여 바닷가에 대었다네.
           
暮 春 中 旬 裝 載 了     늦은 봄 중순에 세곡을 다 싣고는
           
卜 日 將 發 路 渺 渺     좋은 날 받아 떠나려니 길은 아득도 할 사
           
玉 節 來 臨 燈 夕 後     저녁 등 밝힌 뒤 옥절이 임하고
           
州 郡 冠 盖 知 多 少     각 고을 관리들 많이도 모였는데
           
翼 然 傑 構 究 兀 起     나를 듯 헌걸하게 우뚝 솟은 집은
           
左 倉 右 庫 干 彼 涘     저 물가의 좌창과 우고라네
            
․․․․․ ․․․․․


이 두 편의 시에 의하면 유정당은 규모가 상당히 컸을 뿐 아니라 웅장했고 시공 수준이 높아 섬세하게 지어진 건물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바다를 내다 볼 수 있는 전망을 가졌다니 아마 대청에 앉아 마산 앞바다에 둥실 떠있는 돝섬을 훤히 내다볼 수 있었던 것 같다.

복원도에 의하면
유정당은 현재의 제일은행 자리에 있었고 마산창의 정문은 현 중화요리점 북경성 자리, 거기서부터 남성동 성당까지는 해변공지, 남성동우체국 부지가 서굴강 즉 바다였으니 당연히 마산 앞바다가 보였을 것.
기가 막히는 그림이다.

아쉬운 것은 유정당에 대한 기록이 별로 남아 있지 않고 그간 연구조차 없었다는 점이다.
겨우 『창원보첩』에 대청(유정당) 7칸․동별당 6칸․서별당 5칸․동고 15칸․서고 13칸․좌익랑 2칸(추정)․우익랑 2칸(추정)․행랑 3칸으로 총 8동 53칸 정도라는 기록만 남아 있을 뿐이다.

조창부지는 1910년대 초 일본인들에 의해 세 개의 블록으로 나누어지면서 현재의 도로가 생겼다.
유정당은 그시기에 헐렸다. 지어진지 150년 후의 일이다.
1918년,
그 자리에는 벽돌조 1층 근대식 건물의 조선식산은행이 들어섰고 이 건물은 현재의 건물을 짓기까지 사용되었다.
지금의 큰크리트조 제일은행 건물은 1970년대에 지었다.


 <위는 유정당 / 가운데는 1918년 건축한 조선식산은행 / 아래는 현 제일은행>


마산에 살았던 일본지식인 추방사랑(諏方史郞)이 쓴 『마산항지』에 의하면 개항 직후인 20세기 초,
조창 주변은 좁은 길가에 잡화상과 미곡상 등의 상점으로 가득 차있었으며 주위 안팎에 공덕비를 비롯한 석탑이 많이 놓여있었다고 한다. 현재 사용하는 창동이라는 지명은 해방 후에 생겼는데 조창과 관련한 송덕비로 추정되는 이 석탑들 때문에 일제기에는 이곳을 석정(石町)이라 불렀다.

마산창에서는 8개 읍, 즉 창원·함안·칠원·진해(지금의 진동)·거제·웅천·의령 동북면·고성 동남면에서 보내온 대동미를 수봉(收捧)하였다.
모두 9,215석(石) 5두(斗)였다.
초 봄에 마산포를 출발한 조운선은 거제 견내량 → 남해 노량 → 전라도 영암 갈두포 → 진도 벽파정 → 무안 탑성도 → 영광 법성포 → 만경 군산포 → 충청도 태안 서근포 → 보령 난지포 → 경기도 강화 이고지포 → 한강 마포에 있는 경창(京倉)에 6월 하순 경 도착하여 임금께 세곡을 바쳤다.

사용된 조선은 판선(板船)이었고, 조세징수와 감독을 관장한 도차원(都差員)은 창원부사, 영운차사원(領運差使員)은 구산첨사였다.

조선(漕船)이 떠날 때는 풍악을 울리고 선원들에게 술을 대접했으며 대포를 쏘아 장도(壯途)를 축하했다.
그 축하의 자리가 지금의 남성동성당 터 정도 아니었을까?

                                 <매립이전 마산포의 위치도 >

남아 있는 것은 없었다.
창동(倉洞)이란 지명과 이곳이 마산창 터였음을 알려주는 표지석만 남아있을 뿐이다.

하지만 올드시티(Old City)의 정체성과 한 도시공간에 녹아 있는 역사와 문화의 말 없는 몸짓만은 충분히 느낄 수 있었던 탐방이었다.

늦가을 토요일 오후,
무심한 길과 표정 없는 건물이었지만 역사 속에서 그것들은 지금도 생생히 살아 숨 쉬고 있음을 알게 해준 소중한 체험이었다. <끝>


                <부림시장에서 초등학교 친구를 만나 함께 '찰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