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속 도시이야기

경남지역 주거변천사 - 2 / 조선시대 이전

by 운무허정도 2018. 4. 23.

 

1) 고대에서 조선시대까지 - 2

 

주거사(住居史)에서 청동기시대와 초기철기시대를 구분하는 또 하나의 지표는 구들의 시작이다. 한국 주거문화의 정체성을 압축적으로 나타내는 구들은 난방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인 동시에 지상주거로의 변화를 의미하는 지표로 해석된다.

구들은 추운 북쪽 지방에서 먼저 발달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경남에서도 초기철기시대 의 구들유적이 출토되었다.

사천시의 늑도에서 발굴된 주거지에 보이는 구들유적이 그것이다. 이 구들유적은 온난한 한반도 남단의 경남 해안지역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크다. 삼한시대의 것으로 알려진 늑도의 구들유적은 타원형의 주거지 내부에 아궁이 시설을 만들고 외벽을 따라 외줄의 구들 고래를 시설한 것으로, 구들 고래의 끝에서 집 밖으로 연기가 배출되도록 만든 것이다.

한편 초기철기시대 경남지역에는 고상주거(高床住居)가 널리 존재하였다.

대표적인 고상주거지로는 옛 가야지역인 김해 부원동 주거지를 들 수 있으며, 그밖에 삼천포 늑도, 김해 봉황대, 창원 가음정동에서도 고상주거지가 발굴되었다. 이밖에 가야 지역에서 출토된 고상형 가형토기(家形土器)도 고상식 주거 또는 고상식 창고가 존재했음을 추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김해 봉황대 고상식 주거유적 복원지>

 

한반도의 고대국가는 기원 전후로 시작되었다. 북방에서는 고구려가 기원전 1세기경에, 남방에서는 기원 후 2~3세기경에 백제와 신라가 국가체계를 이루었다. 이 시기에 이르러 주거 형식도 원시단계에서 벗어나 목조 형식을 기반으로 새롭게 발달하게 된다.

삼국시대 초기에도 서민들의 집은 대체로 움집이었으나 점차 초옥(草屋) 토실(土室)의 초가집으로 발전하였다.

그런가하면 새로운 지붕제인 기와가 도입되면서 왕궁이나 관청, 사찰 등의 공공건물은 기와집으로 건축되었다. 이는 기와지붕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견고한 지반조성기술과 함께 기둥이 받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정교한 건축기술이 도입되었음을 의미한다.

고구려는 실내에 쪽구들을 설치하여 난방과 취사를 하였으며, 상류층은 구들과 함께 철제 화로와 같은 별도의 난방시설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 고분 벽화 속 아궁이>

 

백제나 가야는 구들보다는 습기를 피하기 용이하고 통풍이 잘 되는 고상식 주거를 선호한 것으로 보인다.

신라에서는 T자 형태의 쪽구들이 사용되긴 했으나 상류층은 집의 내부 바닥에 마루를 설치하고 고구려처럼 화로와 같은 별도의 난방시설을 사용했다. 신라는 옥사조(屋舍條)를 제정하고 백성에서부터 진골에 이르기까지 각 계급별로 주택의 규모와 치장, 사용재료 등을 제한하였다.

고려시대에 와서는 귀족 계층은 침상과 평상을 이용하는 기와집을 짓고 살았지만 서민들은 토탑(土榻 : 흙 침상)’이라는 부분 온돌이 설치된 초가에서 살았다.

하지만 이러한 주생활이 일반적이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고려 중기 이후 주택의 가장 큰 특징은 오늘날의 온돌과 같은 전면온돌과 마루가 동시에 사용되었다는 점이다. 부분온돌과 전면온돌의 차이는 불을 때는 아궁이가 실내에 있느냐 실외에 있느냐의 차이다.

온돌과 마루의 공존은 이후 우리나라 주거 문화의 고유한 특성으로서 남쪽에서 발달된 마루와 북쪽에서 발달된 온돌이 결합되어 새로운 문화로 자리 잡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