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속 도시이야기

경남지역 주거변천사 - 7 / 해방 후부터 제4공화국(1970년대)까지

by 운무허정도 2018. 5. 28.

3) 해방 후부터 제4공화국(1970년대)까지 - 2

 

1960년대는 한국사회의 큰 전환기였다. 4·19혁명과 5·16쿠데타에 따른 정치적 격변을 겪었고, 소위 경제개발정책에 따른 제반 개발이 계획적으로 유도되기 시작한 시기였다.

특히 수출중심의 산업구조를 지향한 박정희 정권의 정책이 빚은 이농현상은 도시의 주택난을 더욱 심화시켰다.

농촌을 떠나 도시로 몰려든 수많은 가구(家口)들은 주택을 마련할 경제적 조건을 갖추고 있지 않았다. 도심지에 세()를 얻을 형편도 아니었다.

따라서 이들 상당수는 도시 변두리의 산이나 하천 등 국·공유지를 무단으로 점유하여 무허가 판잣집을 짓고 살았다. 이름 하여 달동네라 부르는 산비탈에서 도시 빈민들은 천막이나 판자 혹은 함석을 이용해 거처를 마련했던 것이다.

가난한 사람들의 주거지인 달동네는 교통이 불편하고 상하수도나 전기시설들이 없었고, 벌통처럼 밀집한 탓에 화재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고 수도와 화장실은 공동으로 사용하였다.

그나마 이런 식이라도 자기 집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그래도 형편이 좋은 편이었다. 최하층 도시 빈민은 이곳에서도 세()를 주고 살았다.

<달동네 아크릴화 / 부산 해운대 한 미술학원의 작품이다>

 

3공화국은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1962-66)에 주택 정책을 도입했다.

그 일환으로 1962년 대한주택공사를 설립하고 같은 해 도시계획법 및 건축법, 1963년에 토지수용법과 주택자금 운용법 및 국토건설종합계획법 등을 제정하여 주택 건설을 촉진하였다.

또한 1969년에는 민간자본을 최대한 유치하여 민간주택건설을 촉진하려는 목적에서 주택은행을 설립하였다.

후의 일이지만 1979년에는 토지개발공사를, 1981년에는 국민 주택기금을 창설하였다. 하지만 이들은 국가의 공공 재정이 아닌 민간재정을 투입하는 정책이었다.

경남은 1962년 이후 울산공업단지 건설과 진해4비료, 마산수출자유지역, 한일합섬, 창원기계공단 건설 등으로 도시인구가 급증(연평균4.7%)함으로써 주택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었다.

이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경남도가 다양한 정책을 펼쳤지만 해가 지날수록 주택난은 점점 심각해졌다.

그 중에서도 1960년대 이후부터 한일합섬과 자유무역지역 등 급속한 산업화가 진행된 마산지역의 택지난이 더욱 심각하였다.

<마산수출자유지역(현 마산자유무역지역) 퇴근 시간 / 1970년대>

 

이에 마산시와 민간사업자는 1967년부터 1985년까지 산호지구 외 12개 지역 623를 개발하여 부족택지 공급 및 공공시설용지를 확보하였다. 대부분 30-40평 규모의 단독택지로 분할된 이 구획정리지구 내의 택지들은 개인들에게 분양해 민간주택건설을 유도하였다.

이곳에는 조적조 1-2층 철근콘크리트 건물에 셋방을 여러 개씩 둔 다중주택형식의 주택이 대거 건설되었다.

이와 함께 기존의 주거지에도 적지 않은 변화가 있었다. 가족의 수와 연령의 변화로 새로운 공간이 필요해지거나 도시로 몰려든 사람들에게 셋방 한 칸이라도 놓을 요량으로 좁은 마당을 막아 블록 벽에 함석과 슬레이트를 얹어 방을 넣는 집들이 늘어났다.

이런 현상은 마산의 회원동·교방동·상남동·양덕동 등 자연발생취락지역에 많았는데 가뜩이나 집들이 빼곡했던 마을환경은 점점 더 열악해 갔다. 그 중 상당량은 지금까지 잔존하고 있다.

비슷한 시기에 진주시 여러 곳에서도 토지구획사업이 진행되었다.

68년에 시작된 상평 1차사업을 필두로 장대동, 서부, 칠암, 상평2, 나불천, 남강, 봉원, 상평3, 92년부터 94년까지 시행된 호탄지구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토지구획사업들이 시행되었다.

이러한 토지구획사업 외에 주택 개량사업의 일환으로 정부의 저리 융자금을 받아 초가지붕을 스레이트 혹은 기와로 개량하기도 했다.

한편, 진주시에 아파트가 처음 세워진 것은 19711121일에 세운 옥봉남강아파트(옥봉동 805-3번지)30세대 규모의 3층이었고 한 세대의 분양면적은 20평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