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속 도시이야기

경남지역 주거변천사 - 5 / 개항기부터 일제강점기

by 운무허정도 2018. 5. 14.

2) 개항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 2

 

일제하의 중·상류계층의 주택 유형으로는 양식주택과 절충식(개량식)주택·개량 한옥·문화주택·공동주택·영단주택 등을 들 수 있다.

양식주택은 서양식주택을 말하며, 절충식 주택은 과도기적 상황에서 등장한 주택으로 대개 전통주택에 일식(日式) 혹은 서양식을 일부 채용한 형식이었다.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1920년대 초반까지 나타난 절충식 주택은 1925년 경 이후부터 점차 문화주택으로 대체되었다.

개량한옥은 1920년 전후 주택업자들이 지어 공급한 주거로, 당시에 요구된 주택 개량 안을 수용한 평면구성에 재래의 주택형식을 채용한 한옥이었다. 마루 앞에 유리문을 달아 마루를 거실로 바꾸고 대문채 혹은 살림채 내부에 화장실을 설치하는 등의 변화를 보였다.

문화주택은 1920년대 중반에 나타나 1930년대에 많이 건축되었는데, 한옥을 개선한 것이 아니라 외래적인 평면형식을 갖춘 집이었다. 식당과 욕실 및 화장실을 주택 내부에 두고 거실을 생활공간의 중심으로 이용하였고, 건축자재도 콘크리트와 유리 등 새로운 재료를 적극 사용했다.

<당시 전형적인 문화주택이었던 소설가 지하련의 마산 산호리 주택>

 

영단주택은 급속히 팽창한 도시지역의 주택난을 해소시키기 위해 조선총독부가 1941년 설립한 <조선주택영단>이 공급한 집합주택으로, 주로 서울 지역에 집중 건설되었다.

이런 분류 외에 개항이후 일제강점기에 건축된 주택으로, 전통한옥의 형식을 계승하면서 새로 유입된 재료와 기술을 적절히 구사해 공간구성·이용방식·입면 등에 변화를 보인 근대한옥이 있다. 주로 농업경영을 통해 부를 축적했던 지방의 부농계층(또는 지주계층)이 지어 살았던 주택이었다.

2005년 이호열 교수(부산대 건축학부)는 경남의 밀양·창녕·의령·함안·고성·거창·산청·함양 등에 산재한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건축한 26개의 근대한옥을 조사 연구한 바가 있다.

이에 따르면 근대한옥 거주자는 실학의 영향을 받은 근대 지향적 사고를 바탕으로 유교적인 관습보다 실생활을 중시하였으며 개항 이후에는 경제력을 기반으로 외래문물을 적극 수용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이처럼 상류계층과 중인 계층의 주거를 중심으로 빠른 변화가 이루어지던 일제강점기에도 서민들의 주거는 큰 변화가 없었다.

한편 토막민(土幕民)이라 불린 도시 빈민들도 적지 않게 있었다.

토막(土幕)이란 땅을 파서 주거공간(움집)을 만든 뒤 짚이나 거적을 덮어 지붕과 출입구를 만든 집으로 가장 열악한 주거형태였다.

<일제강점기 빈민층이 거주했던 토막(土幕)>

 

조선총독부가 간행한 토막(土幕) 및 불량주택 조사에 따르면 1942101일 현재 전국의 토막은 3,725호였고 불량주택은 29,408호였다.

이 조사에서 밝혀진 경남의 도시지역 사정을 보면 부산이 토막 34호에 거주자 128, 불량주택 1,984호에 거주자 8,984명이었고 마산이 토막 46호에 거주자 196, 불량주택 224호에 거주자 1,294명이었다.

조선시대까지 이어온 움집이 일제강점기에도 계속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