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8일(토) 오후,「유장근 교수의 도시탐방대」 네 번 째 길을 걸었다.
마산시립박물관 앞마당에서부터 길을 열었다.
벌써 네번째라 낯이 익었고, 처음보는 얼굴도 있었다.
성덕암→회원현성→환주산 정상망루→성문→일제기 화장장터를 거쳐 한강 정구를 기려 세운 관해정을 둘러본 뒤 산복도로를 길게 걸어 회원동으로 왔다.
회원동 코스는 화란주택→회원천→정자나무와 비석들→회원동 500번지 골목길→철도시장→구 창신학교 터까지 였고, 이어서 북마산역 터와 노비산을 끝으로 네 번째 일정을 마쳤다.
오후 1시 반에 시작된 도시탐방은 5시 15분, 모두 3시간 45분 걸려 끝났다.
걸은 길은 대략 5-6킬로미터 정도.
스스로 원해 걸은 탓인지, 어느 한 사람 다리 아프다 투정하는 사람은 없었다.
대학생, 공무원, 주부, 사업가, 회사원, 각계에서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이었고 20대 초반에서 50대 후반까지 연령 폭도 넓었다.
지적 호기심이 많은 탓인지 모두들 관찰과 해석에 열중했다.
선선한 바람에 늦가을 하늘은 높았고, 웃음 섞인 말들이 훈훈하고 즐거웠다.
많은 것을 보았지만 두 가지만 쓴다.
먼저 회원천.
회원성당 앞 회원동 8거리 인근 하천.
허연 폐수가 찐득히 흐르고 있었다.
처음 보는 사람은 역겹다고 했다.
차마 오래보지 못하고 고개를 돌리는 이도 있었고 코를 막기도 했다.
마산시가 야심차게 생태하천을 계획하고 있는 상류다.
하천 전체를 치면 중상류 정도지만 도시지역만 보면 최상류나 마찬가지다.
며칠 전 마산21포럼이 주관한 토론회에서 마산시는 교방천 회원천 삼호천 산호천 광려천 등 마산의 주요 하천을 생태하천으로 조성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대해 한 방청객이 발언권을 얻어 ,
“생태하천이 완공되더라도 사실상 생물서식은 불가능하니 사업명칭을 하천정비사업 정도로 바꾸어야 되지 않느냐”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것조차 안일한 생각.
상류의 썩은 물이 내려갈 텐데 생태하천은커녕 하천정비사업이라도 제대로 될까?
걱정이 안 될 수 없었다.
너도 나도 한마디 씩 했다.
"이렇게 더러운 물이 내려가는데 생태하천이 될까??"
"이것부터 해결해놓고 다른 걸 계획해야지, 어휴~~"
원인은 간단하다. 우수와 오수 분리가 안 되기 때문이다.
단순한 이유이지만 도시의 지하관로가 워낙 복잡해 바로잡기가 어렵다.
몇년 전부터 마산시 전역에 우오수 분리공사를 한다고 했으나 회원천의 수질은 큰 변화가 없다.
어떻게 구상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이 썩은 하천 그대로 두고 생태하천 만든다며 하류에서 공사를 시작할 런지.
상식만으로 알 수 있을 터.
상류가 썩었는데 하류에 생태하천이 가능한지 불가능한지는.
오래 전, 마산 하천을 두고 쓴 글 한 조각을 소개한다.
그 때나 지금이나 별 달라지지 않았다.
························
그것은 시궁창이었다.
10분 정도 걸으니 역한 냄새 때문에 구역질이 났다.
슬펐다.
썩은 하천냄새 때문에 구토가 나는 도시에 살고 있는 내가 슬펐다. ························
오늘도 마산시 청사 정면에는 이 도시를 ‘세계 일류’로 만들겠다는 구호가 대문짝만하게 붙어 있을 터.
세계 일류, 그 환상의 야무진 꿈을 생각하니 더욱 슬펐다.
························
<경남도민일보 칼럼, '슬픈 도시' 중 / 2003년>
<회원천 / 2009년 11월 28일 오후 4시반 촬영 / 회원성당 앞 8거리>
다음은 회원동 500번지, 그 골목길.
폭 1-2미터의 좁은 골목길로 들어섰다.
두 사람이 어깨를 나란히 하고는 걷기 힘든 길.
사람들은 호기심으로 집안을 기웃거리기도 했고 좁고 꾸불꾸불한 골목길이 신기해 입술을 뾰르퉁 모으기도 했지만 내게는 오래된 과거의 익숙했던 놀이터였다.
공동화장실을 지나 교회 담장을 돌고 공동우물터, 대장간, 두부공장, 이발관, 구멍가게를 지나 내가 살던 옛 집에도 가보았다.
일부러 간 건 아니고 탐방코스 중 자연스레 지나게 되었다.
아버지께서 직접 지은 집.
30년간 살았으니 내 마음의 뼈와 살이 묻어있어 결코 잊지 못할, 잊어서도, 잊을 수도 없는 좁은 골목과 낮은 집, 아직도 옛 모습 그대로였다.
나서 자랐고, 결혼하여 신방을 꾸몄고, 지금은 서른하나 스무아홉이 된 두 아이를 낳고 길렀던 집이다.
이 집과 골목길, 그리고 어린 시절에 대해 쓴 글이 두어 편 있다.
경상남도 마산시 회원동 500번지.
내가 태어난 곳입니다.
빈민촌이었지만 부끄럽지 않은, 내 삶 전체에 축축이 젖어 있는 몸과 마음의 고향입니다.
························
회원동 500번지는 일본 군용창고와 마구간이 있던 곳인데, 해방 이후 마산항을 통해 일본에서 귀환자들이 떼로 몰려와 거주하면서부터 사람 사는 동네가 되었습니다.
························
10대가 되도록 회원동 언저리를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산자락 대밭의 후드득거리는 바람 소리를 헤치며 다녔고, 해가 떨어지고 나면 어둑어둑한 골목길에서 편을 갈라 연탄 부스러기를 던지며 싸움질을 하기도 했습니다.
························
자장면을 처음 먹어본 게 고등학교에 가서였으니 중학교에 다니도록 나의 세계는 회원동 작은 공간에 머물러 있었습니다.
<'책 읽어주는 남편' 중 / 2009년>어릴 때 살던 집을 떠난 지 30년이 되었다.
나는 좁은 골목길 끝의 낮은 양철지붕 조그만 집에서 30년 쯤 살았다.
흙 놀이에서 축구경기까지 가능했던 그 골목길은 내가 영원히 잊지 못할 회상 장치다.
전에는 컬러였는데 지금은 흑백으로 보인다.
나는 일 년에 두어 번 쯤 그곳을 간다.
혼자가기도 하고 어떤 때는 아내와 함께 가기도 하는데 그때는 아내에게 어린 시절 이야기를 한 토막 해준다.
내 어린 날의 흔적을 되새김질할 수 있는 그 작은 집과 좁은 골목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공간이다.
재개발로 내 추억의 장소가 사라질 것이라 걱정이다.
장소란 바로 이런 것이다.
시간을 거슬러 오래 전의 추억을 만나게 되는 곳. 과거 속에서 지금의 나를 확인할 수 있는 곳이다.
<'문신예술과 도시의 장소성' 중 / 2007년>
<회원동 500번지 골목길 / 세번째 네번째 사진이 내가 살던 집, 세번째 사진의오른쪽에 지붕 끝만 보이는 낮은 지붕이 30여년 전 정미라와 신방을 차렸던 방>
5시 15분.
탐방이 끝났다.
노비산 언덕에 올라 옛 시인의 노래를 불렀다.
<옛 동산에 올라 >
내 놀던 옛 동산에 오늘 와 다시 서니
산천의구란 말 옛 시인의 허사로고
예 섰던 그 큰 소나무 베어지고 없구려
지팡이 도로 짚고 산기슭 돌아서니
어느 해 풍우엔지 사태져 무너지고
그 흙에 새 솔이 나서 키를 재려 하는구려
지금은 주거지가 되어버린,
그래서 그 땅에 서린 역사도 문학도 추억도 모른 채 아스팔트 포장길을 무심코 사람들이 오르내리는 곳.
옛 동산과 그 큰 소나무도 없어졌고 키를 재려는 새 솔도 남아 있지 않다.
스토리텔링이라도 만들 수 있었을 텐데, 생각하니 아쉽다.
사람 없는 노비산 언덕,
늦가을 저녁 바람이 스산했고 발 아래 도시는 회색빛이었다.
'찾아간 도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섬유왕국 '한일합섬'이 남긴 교훈 (39) | 2010.01.07 |
---|---|
내서읍은 어디로 가야하는가? (15) | 2009.12.13 |
250년 된 원마산(마산포) 골목길 (4) | 2009.11.25 |
옛 마산세관의 발자취를 따라서 (5) | 2009.11.16 |
마지막황제 순종의 행차길 (0) | 2009.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