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는 이야기

100산 27-학봉산악회 진주 비봉산 산행 1

by 운무허정도 2020. 7. 13.

2020년 6월 6일∼7일(금∼토, 1박2일)

참가회원  : 김재현·서익진·정규식·신삼호·손상락(글쓴 이)·임학만·신성기·허정도

 

학봉산악회는 창립 11주년을 기념하는 100산 탐방 프로그램 일환으로 민족과 이 땅을 위해 육신을 기꺼이 바친 선조님들의 그 고귀한 정신을 다시한번 되뇌이게 하는 호국의 달 유월을 맞아 66일 현충일()7일의 양일에 걸쳐 12일로 진주로 갔다.

이 땅의 균형발전을 위해 한양에서 날아와 경남의 보배로운 땅 진주를 굽이쳐 흐르는 남강과 영천강이 만나는 곳에 자리잡은 진주 혁신도시에 둥지를 튼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박물관 견학에 이은 비봉산 둘레길 산행을 기획했다.

이번 특별 산행프로그램은 땅(자연)을 무대로 인간을 위해 한정된 땅의 최유효이용을 고민하고, 이 나라 이 사회 구성의 시작인 가족의 둥지(보금자리·주택)를 땅 위에 새겨놓는 시대사적 사명을 다하는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창립 10주년 기념으로 특별전을 하고 있는 Map視 地圖展(2019.12.3∼2020.12.31) 견학을 곁들인 일정으로 엮었다.

1일차 6월 6일 금요일 오후 3시, 학봉산악회 국내 100산 탐방의 출발 터미널인 마산 문화예술의 상징 3.15아트센터 주차장에서 접선한 우리 일행은 청년팀과 원로팀으로 나누어 2대의 차량에 분승하여(김재현 회원은 부산에서 개별 이동) 진주 혁신도시 토지주택박물관을 향해 출발했다.

출발 10분후 긴급 타전의 제1호 사건이 발생했다.

현대 문명인이 잠시라도 정보를 접하지 못하면 원시인이 된 듯하거나 나만의 정보가 타인에게 노출될까 코로나19보다 공포스러운 불안증으로 몰고 가는 현대인의 무서운 족쇄 핸드폰을 데리러 다시 집으로 간다는 긴급타전이었다.

이렇게 정신없는 상황으로부터 11주년 프로그램은 시작되었다.

우리 일행은 국토남단의 동서동맥 남해고속도로를 50여분 달려 4시경 웅장한 자태를 뽐내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본사에 도착하여 국민기업 LH 직원의 친절한 안내를 받으며 LH 토지주택박물관 地圖展(Map視) 전시장으로 이동했다.

우리 일행은 학예사로부터 선조들이 땅을 그리고 땅을 바꾸고 땅을 설계한 지도에 대해 시간적 흐름을 관통하는 해설을 들으며 아무것도 없었던 그 시대에 망망대해와 같은 세상의 시대에 이 나라 이 땅의 모습을 한 장의 종이 위에 표현하기 위한 그 집념과 선조들의 지혜를 머리와 가슴에 새기면서 의미있는 지도 시간여행을 했다.

“사람은 터전을 만들고 터전은 삶을 만든다”는 땅의 중요성과 땅이 행복에 이르는 삶의 자양분임을 생각게 하는 글귀가 뇌리에 지도처럼 새겨지는 시간이었다.

이렇게 박물관의 地圖展에 관한 전시를 통해 이 땅에 대한 시간여행을 1시간여에 걸쳐 마치고 LH 회의실에서 잠시 환담을 했다.

 

 

박물관 관람으로 열심히 공부한 탓일까 지난해 느꼈던 그 음식맛의 여운이 남아서 일까 마음은 이미 그 식당에 가 있는듯하다, 환담으로 잠시 다리를 쉬게 하고 식당으로 이동했다.

이 때 “제2호 사건”이 발생했다. 학봉산악회에 인문학적 자양분을 주는 회원께서 뭔가를 잊어 버렸다는 사건을 접수했다.

그건 바로 여행을 떠날 때 멋쟁이들이 항상 챙기는 선글라스를 어딘가에 두고 왔다는 것이다. 잠시 휴식을 취했던 장소에 긴급 타전을 하니 분실물의 소재가 파악되어 사건은 간단하게 마무리되었다.

우리 일행은 봉고를 타고 남강변과 시내를 잠시 달려 뇌리를 떠나지 않는 1년 전 음식맛을 느껴 “다음에 꼭 한번더 와야지”하며 식당문을 나섰던 그 식당에 6시 반경에 도착했다.

배꼽시계는 8시나 된듯한데 아직 해가 둥천에 있는 듯 어둠이 내리지 않았다.

아직 식당은 한산하다. 식당에 자리를 잡고 음식재료가 나오면서 지난 해 한번 경험했던 터라 재료를 넣고 뒤집기를 여러번 하니 얼른 한입 하고 싶은 먹음직스러운 요리가 완성되었다.

이번에 처음으로 맛을 보는 서원로께서는 “음~~ 맛이 깊고 다르네..!”를 연발하며 젓가락질에 여념이 없다.

약주와 안주를 반복하던 사이 어느새 민생고는 해결되었다.

배가 부르고 약주 기운이 반쯤 오르니 논개의 충정과 진주의 보배 남강과 진주성 야경을 눈에 하고 싶어 지척의 거리에 있는 남강까지 봉고를 타고 자리를 옮겼다.

여덟 남자가 진주성의 반대편 남강변에 이르니 아직 어둠은 드리워지지 않고 진주성의 야경 불빛은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뭇 남성들이 남강변에 서성이며 불빛이 들어오기를 한참 기다려 아름다운 진주성의 은은한 듯 화려한 듯 야경을 조망하며 칙칙한 잿빛건물로 오염된 눈을 세척하면서 길게 선적 경관요소로 디자인되어 있는 진주성 야경의 긴 선처럼, 남강변의 그 아름다움과 임진왜란 역사의 한 장소로서의 그 역사성이 길이길이 이어지기를 생각해보았노라.

이렇게 진주성 반대편의 남강변을 산책한 후 애마가 주차되어 있는 LH 주차장으로 이동했다. 배낭과 짐을 챙겨 오리새끼가 어미를 따라가듯 일행의 뒷모습을 보며 어둠과 가로등 불빛이 드리워진 가로수 그림자를 밟으며 터벅터벅 무거운 발길을 옮기며 아파트숲을 헤쳐 숙소에 도착했다.

사람은 경험을 해야 한다.

지난해보다는 숙소에서의 시간이 꽤 질서있게 시작되었다. 지난해에는 전통식(坐式)으로 마련되었으나, 이번에는 입식(立式)으로 환담의 자리가 정리되었다.

학봉산악회가 성숙되어 가는 것일까, 6월 6일 경건한 현충일의 탓일까, 산만한 산악회 조직에 인문학을 채워야 한다는 절절함이 우러나오는 내면적 현상일까.

이번에는 지난해의 숙소시간에서 등장헸던 아모르 파티의 이야기, 미스터트롯의 열창, 아버지가 자리를 비운 사이 어머니는 건넛마을 아저씨댁에 간 동요 이야기는 없었다.

깊은 야밤에 “손이 왜 이리 차노”라는 애틋한 사랑이야기도 없었다.

하지만 성숙되어 가는 것일까?

신삼호 회원께서 성경에 대한 이야기로 공학도의 학봉산악회에 인문학을 주입시키기 위한 자원봉사 특강으로 현충일의 밤을 경건하고 엄숙하게 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