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감춰진 도시이야기

창원시 마산 회원1지구 재개발지역 이야기 - 4

by 운무허정도 2020. 9. 7.

2. 회원동, 교방동, 교원동의 생활공간의 역사와 흔적

1) 사업구역 내 삶터의 흔적 - 2

 

● 못산(못안, 모산)

회원동에서 무학농원으로 가는 중간지점에 있었던 마을의 이름이다. 옛날에 못이 있었다고 한다.

택지 개발로 옛 모습은 거의 사라지고 작은 골목길(회원남26길)에서 옛 마을의 흔적을 짐작할 수 있을 뿐이었지만 그나마 최근 회원2지구 재개발사업으로 건물이 철어되어 골목 식별이 어렵다.

현재의 도로명주소로는 회원남26길, 회원남25길, 회원남31길 일대이다.

이 마을의 이름을 딴 모산상회라고 하는 쌀가게가 이십여 년 전까지 있었다고 한다.

 

● 회원천(檜原川)

 

1960년대의 회원천 하류 (마산시, 1965)

 

회원천은 무학산 북동쪽 골짜기에서 발원하여 동남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앤지밭골, 회원동을 지나 상남동에서 교방천과 합류하여 오동동을 지나 마산만으로 흘러든다.

유로 연장 4.49㎞의 하천으로 상류는 경사가 매우 급하나 해발 고도 50m를 기점으로 경사가 완만해진다.

상류 구간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이 1970년대 후반에서 1980년대 초반에 걸쳐 이뤄진 하천 바닥 공사로 인해 콘크리트로 덮여 있다.

회원천 하류에 1974년 건설되었던 오동동 아케이드 상가는 37년만인 2011년에 철거되었고 생태하천 조성 공사가 시행되었다.

회원천은 회원동과 교원동을 거쳐 흐른다.

이 일대에서 마을이 먼저 형성된 지역은 회산교 주변과 좀 위로 올라온 못산마을, 앤지밭골 등으로 모두 회원천변에 있다.

사람들이 하나둘 하천 주변으로 모여들어 집을 짓고 우물을 파고 마을을 이뤘다.

무학산의 산비탈을 개간해 논과 밭을 만들어 농사를 지었다. 천변에 자연스레 솟는 샘의 물을 길어다 먹거나 우물을 팠다.

맑은 물이 흐르는 하천에 나가 물고기도 잡고 목욕도 하고 빨래도 했다.

쓰레기도 버리고 생활오수도 버렸다. 하천변 양 옆은 사람들이 오르내리면서 자연스레 길이 만들어지고 다리가 놓였다.

하천변의 큰 나무는 그늘을 만들어주어 사람들이 나와 쉬는 놀이터의 역할도 했다. 하천은 이처럼 지역주민들에게는 또하나의 중요한 생활공간이었다.

하지만 마산이라고 하는 도시가 팽창하면서 회원천도 몸살을 앓았다.

도시의 생활하수와 산업폐수의 배출통로가 되고, 도시개발로 복개되고 건천화되면서 악취가 진동하는 곳으로 변모해 버린지 오래되었다.

무학산 동사면의 산록에서 계곡을 따라 흐르는 회원천은 소하천이지만 경사가 급한 편이다.

큰물이 나면 순식간에 범람하여 도랑 주변에 사는 사람들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 수해가 자주 발생해 천변은 수해상습지역이었다.

1979년에는 ‘8.25수해로 인해 집이 유실되는 등 많은 피해가 발생해 일부 주민들을 이주시키고 하천 직강 공사를 했다.

10년 전인 19699월에도 삼남지방 홍수로 서원골의 풀장이 터지면서 교방동과 상남동 일대에 큰 피해를 입혔고 회원천 주변에도 많은 피해가 발생했다.

당시 마산 창원지역의 사망자가 94명에 달했다. 1959년의 사라호 태풍 때도 마찬가지였다. 일제강점기에도 하천의 홍수피해는 계속 발생했다.

회원천을 생명이 살아있는 물길로 되살리려고 하는 노력이 결실을 거둬 아주 오래 전처럼 맑은 수질을 회복해서 지역주민들로부터 사랑받는 생활공간이 되기를 기대한다.<<<

 

1979년 8.25수해로 큰 피해를 입은 회원천변 (마산시, 1979)

 

이 글은 창원 소재 '도시문화콘텐츠연구소'에서 펴낸 창원시 마산 회원1지구 재개발 사업 ‘마을흔적보존사업 실행계획서(2017)’ 중 발췌한 것이다. 지금은 이미 고층 아파트 단지가 되어버린 이 재개발 지역의 변천과정과 그곳 사람들의 생활에 대한 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