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속 도시이야기

마산포 옛 모습

by 운무허정도 2021. 4. 5.

2020년 5월 6일 박영주 선생이 페이스북에 아래 글과 함께 마산포 옛 모습이 담긴 사진을 한 장 소개했다. 출처는 ‘東京大学学術機関リポジトリ https://repository.dl.itc.u-tokyo.ac.jp/라고 밝혔다. 희귀한 자료다.

 

 

바다는 고요하다.

작은 고깃배 하나 보이지 않는다.

해안가 논밭에 사람 그림자도 보이지 않는다.

120년 전.

1901년 1월 마산포 앞바다의 모습.

조랑말 4마리와 대원 6명으로 답사대를 꾸려 1900~1901년, 1901~1902년 두 번의 겨울에 걸쳐 266일간 한반도를 답사하며 지질조사를 했던 일본 지질학자 고토분지로(小藤文次郎).

이 사진은 그가 1901년 1월 24일 부산을 출발하여 김해, 창원을 거쳐 1월 말경 마산포에 도착했을 때의 것이다. 사진을 보면 용마산에서 남쪽 바다를 보고 찍은 걸 알 수 있다.

하천 끝자락이 바다로 삐죽이 튀어나온 곳은 오동동다리 아래 쪽이고 해안을 따라 경사진 논밭은 산호동 일대이다.

오른쪽으로 돛섬이 보이고 바다 건너편의 삼귀 해안도 그렇고 인공의 손이 전혀 닿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옛 해안선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사진은 고토의 논문 조선산맥론(An Orogrphic Sketch of Korea. 1903)의 말미에 수록된 9장 중 하나로 여기에는 금강산, 대관령, 개마고원, 제물포, 은봉 등의 사진도 같이 실려있다.

조선기행록(Jouneys through Korea, 손일 옮김, 푸른길, 2010)에서 번역자가 "조선산맥론의 원본을 구하지 못해 9매의 사진을 실을 수 없어 아쉽다"고 한 바로 그 사진 중의 하나다.

그런데 최근에 자료를 찾다가 이 논문의 스캔본을 보게 됐는데 뜻밖에 이 사진이 있었다. 논문의 도판에 수록된 것은 남해 다도해의 해안선 굴곡의 성인을 설명하는 자신의 산맥이론의 전형적인 예로서 만입이 깊은 마산포와 진해만을 들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사진은 크기가 작은데다 상태가 좋진 않지만 마산포의 당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가 교과서를 통해 어릴 때부터 배웠던 고토분지로의 산맥론은 산경표와 백두대간으로 대표되는 우리 전통의 지리 관념과 오래 전부터 충돌해 온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그와는 별개로 우리 지역과 연관된 그의 이론이 있어 언급해 둘까 한다. 마산 창원지역뿐 아니라 부산, 경주 등 경상분지에 널리 분포하는 특정의 화강암을 마산암(馬山岩)이라 이름 붙였고 이는 지금도 학술용어로 그대로 통용되고 있다.

그는 또 마산포 북쪽에서 시작해 낙동강 동안을 따라 칠곡, 비안으로 향하는 산맥을 '마산포산맥'으로 이름짓기도 했지만 사용되지는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