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는 이야기

한국100명산 10. : 조계산. '태백산맥'의 배경지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4. 5. 15.

♪ 100명산을 시작한지 만 1년만에 10번째 산행을 하게되었습니다. 이번 원정지는 전남 순천에 있는 조계산입니다. 조계산 정상 장군봉을 기점으로 좌우에 송광사와 조계사가 위치하여 횡단하는 코스는 두 사찰을 모두 볼 수 있는 곳이 조계산입니다. 그리고 태백산맥으로 너무나 유명한 조정래 선생님이 태어난 곳이 조계산 선암사입니다. 그의 대하소설 '태백산맥'과 깊은 연관성이 있습니다. 조계산은 소설 '태백산맥'의 중요무대의 배경이 된 곳입니다. 한국동란 이후 빨치산의 총사령부가 있었던 지리산으로부터 확산된 전남 서부지역과 연결되는 통로로서 조계산이 당시 빨치산의 거점이며 통로로 사용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조계산은 우리민족의 아픈역사가 남아있는 산이기도 합니다. 

♬ 5월 3일 토요일 아침 7시 30분에 315아트문화센터 주차장에 집결하였습니다. 오늘도 열외1명 없이 6명 모두가 함께 하게되었습니다. 아침은 섬진강 휴게소에서 우동과 준비한 충무김밥으로 가볍게 해결했습니다. 연휴를 이용하여 봄을 만나러 떠나는 사람들이 흥겨움이 휴게소 마당을 부산스럽게 하는 것 같습니다. 순천은 작년에 순천만 조성된 생태공원 박람회를 통해 생태도시로의 이미지가 부각되고 있습니다. 인접한 여수의 엑스포 박람회와 더불어 새로운 생태관광코스로 거듭나는 것 같았습니다.

선암사에서 장군봉까지 : 선암사에서 장군봉까지는 약 2.7키로미터로 1시간 30분 정도 소요시간을 예상하고 10시 20분에 출발하였습니다. - 주차장에서 선암사까지는 1키로미터 정도입니다. 사부작히 걷기 좋은 길입니다.

- 선암사가는 중간쯤에 돌기둥 2개가 좌우에 서있습니다. 일종의 문주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우측은 조계산 선암사라는 글귀가, 좌측은 禪敎兩宗大本山이 적혀있습니다.

 - 얼마지 않아 유명한 승선교가 보입니다. 반원아치의 돌다리로 유명한 곳이죠, 우리일행은 일부러 하천가로 내려가서 기념촬영을 하였습니다. 

- 승선교 뒤로 보이는 누각(강선루)가 살짝 보이는 것이 백미인데 주변의 녹음이 울창하여 누각의 다리부분만 살짝 보여서 아쉽게도 그림에서 보던 장면을 촬영할 수 없었습니다. 얘가 보물로 지정되었어 있다고합니다. - 단체사진 한팡

강선루(降仙樓)입니다. 이름을 풀이하자면 이 누각으로 신선이 내려왔다가, 昇仙橋를 통해 신선이 하늘로 올라간다는 뜻인 것 같습니다. 일주문에 앞서 이러한 누각이 설치된 것은 특별한 경우인 것 같습니다. 보고 싶은 선암사는 하산길에보기로 하고, 장군봉을 향하였습니다. 출발과 함께 시작된 경사도는 도대체가 쉴틈을 주지않고 연거푸 경사면으로 이어졌습니다. 

- 12시 35분에 장군봉에 도착했습니다. 2시간하고도 15분이 지났습니다. 얼추 2시간 이상을 걸었습니다. 우리 학봉대원들 체력이 예전만 못한 것 같습니다. 1시간 반 거리를 2시간 이상이나 걸리다니!!!

- 일단 기념사진 촬칼, 정상이라고 하기에 너무 협소하였습니다.

- 오늘 점심은 능선변에 있는 보리밥집에서 먹기로 하였습니다. 각자 가져온 간식 메뉴가 다양합니다. 충무깁밥, 쑥떡,  야관문주, 그리고 보급품 한봉다리가 끝내줍니다. 보시겠습니까? 놀라지 마십시오

- 이 간식은 학봉산악회 보급대장님 하사품입니다. 간식이 아니라 낙오시 하루정도 버틸 수 있는 비상식량이 될 정도입니다. 

그 유명한 보리밥집입니다. 조계산 가는 사람들의 입에 자주 오르내리는 보리밥집입니다. 등산로 이정표에 기재될 정도로 유명세를 치르고 있는 집입니다.

- 보리밥집 전경입니다. 원조라고 합니다. 즉 한군데가 옆에 새로 생긴모양입니다. 맛이비슷하겠지만 원조라는 집에 들렀습니다. 노란깃발을 보고 찾아갔습니다.

 - 막걸리 한사발에 보리밥에 온갖 나물들, 그리고 비빈 보리밥을 상추에 얹어서 된장 쓱싹하여 먹는 맛이 일품입니다.

선암사 경내를 둘러보았습니다.

《선암사사적기()》에 따르면 542년(진흥왕 3) 아도()가 비로암()으로 창건하였다고도 하고, 875년(헌강왕 5) 도선국사()가 창건하고 신선이 내린 바위라 하여 선암사라고도 한다. 고려 선종 때 대각국사 의천()이 중건하였는데, 임진왜란 이후 거의 폐사로 방치된 것을 1660년(현종 1)에 중창하였고, 영조() 때의 화재로 폐사된 것을 1824년(순조 24) 해붕()이 다시 중창하였다.
6·25전쟁으로 소실되어 지금은 20여 동의 당우()만이 남아 있지만 그전에는 불각() 9동, 요() 25동, 누문() 31동으로 도합 65동의 대가람이었다. 특히 이 절은 선종()·교종() 양파의 대표적 가람으로 조계산을 사이에 두고 송광사()와 쌍벽을 이루었던 수련도량()으로 유명하다.
주요문화재로는 보물 제395호인 삼층석탑 2기가 있으며, 대웅전은 전라남도유형문화재 제41호로 지정되어 있다. (heen8659님의 블로그에서 인용)

- 일주문입니다. 기둥 사이가 1칸 규모임에도 불구하고 가운데 공포가 여럿히 설치된 다포식 처마장식입니다. 처마는 공포와 서까레가 2단으로 형성된 겹처마 입니다. 왜이렇게 화려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 범종각입니다. 종을 보호하는 건물입니다. 정면 측면 3칸씩입니다. 처마장식은 기둥위 간단하게 익공으로 처리하였습니다.

- 대웅전 전경입니다. 대웅전 다운 위용입니다. 현재 보수공사중입니다. 처마에 단청을 칠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기존의 서까레와 노후화한 부재를 갈아 끼워진 상태입니다. 목부재가 어느 정도 건조가 되면 단청을 하게 될 것입니다.

- 대웅전 앞 삼층석탑입니다. 신라시대 9세기경에 지어진 탑으로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고 합니다. 불국사 석다탑과 유사한 것 같습니다.

- 대웅전 옆의 요사채입니다. 요사채의 지붕개량공사는 마무리된 것 같습니다. 절집에서 보기좋은 느낌의 색상은 목재면에 바래진 수채화빛 색상입니다.

- 대웅전 경내전경입니다. 삼층석탑을 위시하하는 듯한 연등의 행렬이 보기 좋습니다.

- 요사채의 고무신 : 가지런한 고무신과 색이 바란 목재문살, 누런 서까레가 황토벽면색을 닮아가는듯 합니다.

- 담장너머 처마선 : 얕은 담장은 고래등 같은 지붕선과 처마선을 살포시 받아줍니다.

  

- 문살의비례 : 요사채 전경입니다. 정연한 기둥사이내에 창호의 크기에 따라 나뉘어진 가로 선과 세로선의  비례가 아름답습니다. 

- 문꼴로 봐서 창고인 듯 합니다. : 창고의 품위! 

 - 장경고입니다. 불교경전을 보관하는 도서관이죠, 건물 기능에 비해 장식이 과다한 것 같습니다.  

 - 선암사 경내가 아름다운 이유 : 건물주변 공간을 구획하는 담장에 의해 외부 공간을 풍요롭게 하는 것 같습니다.

- 한국불교 태고종의 업무를 보는 종정원 : 나무 옹이와 못자욱 마처 아릅답게 보입니다. 

- Y 디자인의 결정체 : 석재 함지박에 물을 길는 두가닥 물줄기와 물족자를 보관하는 지붕을 이고 있는 새총모양의 나무기둥 

- 화장실의 위용 : 이처럼 럭셔리한 화장실이 있을까?, 그래서 이름도 뒤깐입니다. 출입구 박공면의 위용이 엄청납니다.  현재 지붕 공사중입니다.

- 선암사는 무척 아름다웠습니다. 선암사 관람평은 무척 아름답다는 것입니다. 수많은 건물이 제각각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지어진 시기나, 건물의 용도가 다르니 어쩔 수 없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아름다워 보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먼저 완만한 경사지를 잘 이용한 부문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지형의 높이차에 따라 건물과 담장 그리고 조경에 의해 외부공간을 잘 분리하였습니다. 전체가 다 보이지 않고 필요한 부분, 예를 들면 지붕의 처마선만 살짝 보면서 경내를 회유하게 됩니다. 보일듯 말듯한 공간을 돌아다니면 건물의 특정부분들이 그림처럼 다가옵니다. 어떤 곳에서는 처마의 서까레 부분이 어떤 곳에서는 담장의 쌓여진 돌들의 조합에 의한 비례가, 또 어떤 곳에서는 500년된 매화가 하나의 주인공처럼 등장하게 됩니다. 이상으로 학봉산악회 열번째 등반보고를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