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속 도시이야기

김형윤의 <마산야화> - 138. 신상회사와의 투쟁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7. 2. 20.

 

138. 신상회사(紳商會社)와의 투쟁

 

 

신상회사(紳商會社) 혁파 투쟁은 국내 본건지배층에 대한 투쟁이지만 외세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고, 또 마산항민들의 저항심의 성장을 고찰하는데 의의를 가진 투쟁이기 때문에 여기 서론(叙論)코자 하는 바이다.

 

구마산은 그 입지적 조건이 영남의 인후(咽喉)의 역할을 한 요지로 특히 경남 일대에서는 고래로부터 물산의 집산지로 유명한 곳이기도 하다.

 

따라서 개항 이전부터 상업자본이 상당히 축적되어 있는 곳으로 일성록(日省錄)을 보면 순조 33(1833) 마산포(구마산)의 객주 총계가 130호나 되었던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1902년 구마산의 시장권을 빼앗으려던 일인들과 투쟁하여 빛나는 승리를 거두게 된 재정적 배경은 역시 구마산 상인들의 자본의 힘이다.

 

마산포가 개항된 후 구마산에 영세 일인들이 드나들게 되고 잡거해 가면서 오래 상품이 들어와 상업이 약간 활기를 띠게 되자 1901년 구마산 상인들이 자주적으로 창설한 객주회사를 고쳐 1903(2)에 경위원(警衛院, 1901년에 창설한 궁내부 소속 황실 호위기관)이 신상사(紳商社)라는 어용 중간 착취기관을 설립하여 지독한 착취를 하기 시작했다.

 

이에 견디지 못하여 구마산 상인들은 신상사 혁파의 상소를 외부(外部)에 올리게 되었다.

이 사실은 다음과 같은 보고를 통하여 잘 알 수 있다.

 

현재 본항(本港) 상민(商民) 김처원(金處元), 김준길(金俊吉), 박원숙(朴元淑) 이본항(以本港) 신상회사혁파사(紳商會社革罷事)로 외부(外部)에 상소(上訴)한 지령(指令)을 봉준(奉准)하온 즉 내각에 미수일문(微收日文)이 창재나시(剏在那時)며 기경해상등소(旣經該商等訴)하야 이론보경부지의(以論報京部之意)로 제발칙하조변(題發則何早辨)하야 치차내번(致此來煩)인지 소유전말(所有顚末)을 상사보명(詳査報明)할 사등인(事等因)이옵시고 해상민등(該商民等)의 상소내개(上訴內槩)에 본항(本港)은 즉각(卽各) 항중불성양지처(也港中不成樣之處也) 이거신축년분(而去辛丑年分)에 자경위원(自警衛院)으로 설신상회사(設紳商會社)하고 욕추외구(欲抽外口)타가 출입구(出入口)에 도무(都無) 가추지물(可抽之物)하야 내어포구선(乃於浦口船) 주인급차어상(主人及此漁商)과 행상무상(行商坐商)과 지주선인등처(地主船人等處)에 탁이구문(托以口文)하고 자무자매문물(自貿自賣文物)을 논기시가(論其時價)하야 십분지삼(十分之三)을 책봉(責奉)하오니 불과(不過) 1년에 각 상매자본(商賣資本)과 각 선인(船人) 영업(營業)이 몰입기중(沒入其中)하야 일항상민(一港商民)이 거양환산(擧懹渙散)하고 물가등용(物價騰湧)하야 민불요생(民不聊生)이오니 동촉(洞燭)하신 후에 본항신상회사(本港紳商會社) 각목(各目)을 영위혁파(永爲革罷)하심을 복망등정(伏望等情)이온바 차()를 준사(准査)하온즉 거신축년분(去辛丑年分)에 자경위원(自警衛院)으로 파유총무원(派遺總務員)하야 이기객주회사(以其客主會社)로 개작신상회사(改作紳商會社)하야 조정추세(條定抽稅)이온바 인사이상호원(因此而商呼冤)이 성극가민(誠極可悶)이오니 해사설시(該社設施)가 여시난혁(如侍難革)이온즉 양감미수(量減微收)가 자합방편(恣合方便)이오나 유비본서지소가천편고(有非本署之所可擅便故)로 준차상민등소(准此商民等訴)하와 이어본년사월(已於本年四月)에 거실보명우(擧實報明于) 경위원이고미승회지(警衛院而姑未承回指)이옵기 자()에 보고(報告)하오니 사조(査照)하심을 복망(伏望).

 

광무(光武) 8712

창원감리 이태정(李台珽)

 

외부대신 이하영(李夏榮) 각하(閣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