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도로 보는 창원 18. - 웅천현 地乘地圖
▮ 고지도로 보는 창원18. - 웅천현 地乘地圖 ● 熊川縣 지승지도(奎15423)/ 필사본(방안식) - 지도 개요 : 지승은 군사요지인 일부의 관방처와 전국의 군현을 총 6책으로 나누어 그린 그림식 지도책으로 각 책의 크기는 세로*가로가 27.0*19.0cm이다. 1책에는 경기도, 2책에는 충청도, 3책에는 경상도, 4책에는 전라도, 5책에는 평안도와 황해도, 6책에는 함경도와 강원도가 수록되어 있다. 지도의 전반적인 구도와 내용은 해동지도, 광여도, 여지도와 거의 비슷하여 동일 필사본 계통으로 분류할 수 있다. 지도제작 시기는 빨라도 1776년 이후에 제작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읍치를 중심으로 邑內面, 東面, 上西面과 下西面 4개면이 나타나 있다. 웅읍면은 현재 웅천동 일대 읍성이 있었던 일대이며, 동..
2017. 7. 31.
고지도로 보는 창원 17. - 창원부 地乘地圖
▮ 고지도로 보는 창원17. - 창원부 地乘地圖 ● 昌原府 지승지도(奎15423)/ 필사본(방안식) - 지도 개요 : 지승은 군사요지인 일부의 관방처와 전국의 군현을 총 6책으로 나누어 그린 그림식 지도책으로 각 책의 크기는 세로*가로가 27.0*19.0cm이다. 1책에는 경기도, 2책에는 충청도, 3책에는 경상도, 4책에는 전라도, 5책에는 평안도와 황해도, 6책에는 함경도와 강원도가 수록되어 있다. 지도의 전반적인 구도와 내용은 해동지도, 광여도, 여지도와 거의 비슷하여 동일 필사본 계통으로 분류할 수 있다. 지도제작 시기는 빨라도 1776년 이후에 제작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읍치를 중심으로 부내면, 동면, 서면, 남면, 북면 5면이 나타나 있다. 중심이 되는 읍성을 지도 중심에 크게 배치하고, 주변..
2017. 7. 24.
고지도로 보는 창원6. - 웅천현 비변사지도
▮ 고지도로 보는 창원6. - 웅천현 비변사지도 ● 웅천현 비변사지도(奎12154)/ 필사본(방안식) - 지도개요 : (제작시기: 1745~60년 (영조 36), 비변사 보관 지도 읍성의 위치인 읍치를 중심으로 주요지점간 도로를 표시하였다. 도로의 경우 大路는 적색, 中路는 황색, 소로는 靑色을 사용하였다. 봉수의 호응관계는 주황색의 얇은 직선으로 표시하였다. 읍치를 중심으로 5개 면이 표기되어 있다. 읍내면, 동면, 중면, 상서면, 하서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건물로는 읍성 주위에 향교, 려단과 사단, 향교가 있으며, 아래로 보평역, 제포진, 성황단, 남산 고왜성, 읍선소, 제선소가 있으며, 동면 방향으로 청천진, 안골진, 신문진과 진두원과 왜고첩이 있다. 남측 가덕도에는 가덕진과 천성진이 있으며,..
2017. 5.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