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주민 열 분의 이야기
8) "여기가 제2의 고향이지요" ------------------------- 이○○
1937년생
마산회원구 회원동 670-3
날짜 : 2015년 1월 9일
장소 : 자택
- 반갑습니다. 옛날 동네 이야기를 들으러 왔습니다. 이 동네 사신 지도 오래되었지요?
= 나는 별 이야기거리가 없는데...
본 고향은 의령인데 거기서 면서기 하다가 막살하고 부산에 내려가 있다가 마산으로 왔어요. 내가 서른일곱 살 때 여기로 왔어요.
자유수출에 있는 일본 사람 회사인데 고모 아버지가 동업한다고 회사 차릴 때 왔거든요. 그러니까 사십년 전에 이리 왔지요.
- 예. 수출자유지역에 어느 회사였습니까?
= 마산강관이라고 파이프 만드는 회사였지요.
일본 회사인데 고모부가 사장을 잘 알아서 나를 넣어 줬어요. 거기서 근무하다가 거기서 정년퇴직 했어요. 육십두 살까지 있다가 퇴직했지요.
- 일본 회사에서 오래 근무하셨네요.
= 그런데 일본말 하는 거는 대강은 알아들어요. 하라고 하면 못해요. 왜 그렇노 하면 일학년 때 해방이 되어 나니까 일본말도 어중간코 조선말도 어중칸고 그렇구만요.
그래서 나이 많은 사람들이 잠깐잠깐 이야기 하면 무슨 소린지 알아 듣지만도 쭉 말을 하라고 하면 못합니다. 아메가 후로 데스네... 하면 비가 온다는 말이고... 하하.
- 지금도 그 회사가 있습니까?
= 매미 태풍 때 회사에 물이 들어서 철수를 하고 지금은 없습니다.
그 삼만삼백 볼트 전기가 지나가는 공장에 기계가 여러 수십 대 있는 거기가 소금물에 팍 담겨버렸으니까 하나도 못쓰는 거죠. 피해를 많이 입었을 겁니다.
거기다가 그동안 돈도 많이 벌었을 거고 하니까 철수한 거겠죠. 나는 그 일년 전에에 정년퇴직을 했어요.
그 뒤에 얘기 들으니까 남아 있던 직원들은 퇴직금으로 보상을 많이 받았던 갑더라고요. 그래 퇴직금 가지고 화물차 사가지고 운전하는 애도 있고 그렇더라고요.
- 그 당시에 직원은 어느 정도 됐습니까?
= 한 오십 명 정도 됐습니다. 나는 거기서 천장 크레인 타고 댕기면서 크레인을 몰았거든요.
그 일은 상당히 위험합니다. 물건에 기름칠을 해 놓으니까 미끄럽고 떨어뜨리면 밑에 있는 사람은 바로 즉사하니까요.
그동안에 내가 여남번 떨어뜨렸는데 사람이 없는 데라서 다행이었습니다. 그 일을 하게 된 것이 처음에 사무실 보다 이게 낫겠다 싶었거든요.
그래 일주일을 밤에 남아서 배웠습니다. 파이프에 기름을 발라져 있으니까 크레인으로 이동시키다가 균형을 잘못 잡으면 눈깜짝할 사이에 밑으로 쏟아져 버립니다.
- 주로 어디에 사용되는 파이프입니까?
= 여러 군데입니다. 주로 배관용 파이프인데 욘부, 인치, 2인치, 전부 다 만들었어요. 또 스텐레스 파이프도 만들었어요.
- 그 크레인 운전이 상당히 뛰어난 감각이 필요한 일이 아닙니까?
= 그렇죠. 한참에 세 가지 네 가지를 움직여야 되거든요. 기차나 전동차 보다 더 어렵습니다.
그거는 가고 서고 이러지만, 이거는 서고 가고 올리고 옆으로 가고 옆으로 보내면서 올리고... 여러가지를 한참에 다 해야 돼요. 내가 한 이십오 년 동안 사고를 안냈거든요.
그러니까 회사에서 나를 더 필요로 해서 더 있었던 겁니다. 오십오세가 정년인데 나는 칠년이나 더 연장해서 근무를 했어요.
- 완전히 배테랑 기술자였네요.
= 그래 내가 나올 때는 애들한테 많이 가르쳐주었습니다. 내한테 배워가지고 삼화나 이런 큰 공장에 취직해 갔어요.
- 제자들을 많이 길렀네요? 하하. 그러면 임금도 좀 괜찮았겠습니다.
= 그때 연말 되면 오백만 원씩 가져 왔거든요. 한 이십 년 전에 연말 되면 연차 월차 보나스 합해서 한 오백만 원 넘게 가져왔으니까 요새 돈으로 치면 상당할 겁니다.
연말 말고 평소에는 한 이백만 원씩 가져왔어요. 그때 돈으로 이백만 원씩 가져왔으면 많이 가져왔지요.
우리 집 사람도 우리 회사 식당에서 밥을 해주고 이래가지고 전세로 있다가 돈을 모아서 이 집을 샀지요. 그때가 서른일곱 살 땐가 마흔 살 땐가 확실히 모르겠어요. 서류를 봐야 알지요.
원래 전세 얻을 때 이 밑에 교원동에다가 얻었어요. 집안 사람들이 있고 해서 여기로 왔어요. 여기 의령댁이라는 사람들 많아요.
- 처음 이 동네 오셨을 때 동네 풍경이 어땠습니까 주변에 집들이 다 들어차 있었습니까?
= 그때도 동네가 다 형성이 돼 있었는데 전부 기와집이었어요. 그런데 지금은 빈집이 많아요. 개발 된다니까 사서 비워놓은 집이 많습니다.
이 안에 들어가면 쓰러져가는 기와집이 많습니다. 처음에는 여기가 일차로 개발이 될 줄 알았는데 벌써 몇년인지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 그때 여기 오셨을 때 이 동네는 뭐라고 불렀습니까?
= 여기는 그냥 회원2동 둥구나무 있는 데라 했지요. 둥구나무 동네라 그랬어요. 누가 물으면 둥구나무 있는 데 산다 하고 그랬지요.
저 둥구나무도 나무가 썩어가지고 가운데에 시멘트를 발라서 메워놓은 겁니다.
- 이 동네 이사 와서 지금까지 사시면서 동네에 큰일은 없었네요?
= 큰불도 안나고 별 그것도 없었어요. 그런데 여기가 밤으로 도둑놈이... 절도가 심했어요. 우리 농 하나 성한 게 없어요.
회사 나가고 사람 없으면 들어와서 저거 마음대로 뒤져가고... 텔레비는 안가져가도 사진기니 뭐 돈 될만한 거는 싹 다가져갔어요. 몇번이나 도둑들었어요. 도둑놈들이 우굴우굴하이 그랬어요.
- 그런데 이제는 근 사십 년을 사셨으니 제이의 고향 아닙니까?
= 이제는 여기가 제2의 고향이지요. 그때는 객지라서 정이 안들었어요.
매일 하는 게 밥 먹고 회사 가고... 육십두살까지 그 짓을 했으니 동네 사람들 하고도 안어울리고 이 동네 이야기도 못들어보고...
- 그럼 요즘은 어떻게 소일 하십니까?
= 저 앤지밭골 쪽에 경남대학 땅이 있거든요. 거기 한 천 평 되는 걸 개간 해가지고 여름이고 가을이고 거기서 세월을 보내고 있지요.
겨울에만 여기 있지 아니면 계속 밭에 살고 있습니다. 거기가 산인데 그 땅을 빌려서 농사를 짓고 있는 겁니다. 내놔라 하면 언제든지 내주겠다고 하는 서약서를 경남대학에 써넣고...
- 그럼 주로 뭐를 재배하십니까?
= 뭐 필요한 거는 다하지요. 콩, 배추, 깨, 고추, 무시... 뭐 여러가지 심어요.
며느리 하고 딸이 이웃에 살거든요. 그래 갈라먹고 그러지 뭐. 내 나이가 있으니까 농사 짓는게 이제는 힘들지요. 전에 한 칠십대까지는 펄펄 했는데... 지금도 내가 일은 잘해요.
- 연배에 비해서 아주 건강해 보이십니다.
= 목욕탕 가면 젊은 사람들이 내보고 놀래는데요?
팔도 만져 보고 다리도 만져 보고 놀래는구만요. 젊은 사람들 다리나 같아요. 쭈글쭈글 안하고... 밭에서 일을 하니까 그런가 봅니다.
- 지금 재개발을 앞두고 있는데 감회가 어떠십니까? 이 집이 다 헐릴 거 아닙니까?
= 내가 칠십아홉이거든요. 정축생이거든요. 이거 개발해도 내가 볼 때는 오년은 걸리는 거거든요. 그러면 그때 내가 팔십대엇살 되는데... 요새 백세라 하지만도 팔십댓 되면 맥 못춥니다.
나는 이것 해도 그렇고 안해도 그래요. 딴 사람이 하니까 할 수 없이 하는 거지요. 내 하고는 별 관계 없는 겁니다. 사람이 늙어면 죽는 거지 뭐 그걸 갖다가 애착을 가지면 안된다 그렇게 생각합니다.
도시 살면 오래 못살아요. 공기도 나쁘고 스트레스 받고 말이지요. 촌에서 짐승같이 사는 거 같으면 오래 살런가 모르지요.
나도 칠십아홉에 살만치 살았는데 뭐 애착을 가지겠나... 하면 하고 말면 말고 그렇지 뭐 이렇게 편하게 생각하고 있어요.
- 옛날에 이 집을 사실 때 얼마에 주고 사셨습니까? 집이 몇평입니까?
= 이게 사십 평인데 한 이천만 원 줬지요. 그런데 안집을 샀어요. 안집이 차도 못 대고 가치없는 집이라고 그래요.
이 안에 있는 집들은 다 등급이 낮아요. 낮아도 보통 낮은 게 아니죠. 바깥에 칠팔백 할 거 같으면 여기는 이백도 안해요. 여기는 그만치 낮아요.
그때는 그런 것도 모르고 헐타고 덤벙 산 거죠. 하하. 차가 갈 수 있는 큰길 가에 있는 걸 사야 값이 있는데... 차소리도 안들리고 조용해서 옛날에는 안에 이런 데가 좋다고 했거든요.
- 그때는 이사할 때도 리어카에 담아 싣고 옮기고 그랬으니까요.
= 그렇죠. 그러니까 골목에 살 수 있었지요.
- 예. 오늘 말씀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글은 창원 소재 '도시문화콘텐츠연구소'에서 펴낸 창원시 마산 회원1지구 재개발사업 ‘마을흔적보존사업 실행계획서(2017)’ 중 발췌한 것이다. 지금은 이미 고층 아파트 단지가 되어버린 이 재개발 지역의 변천과정과 그곳 사람들의 생활에 대한 글이다.
'감춰진 도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원시 마산 회원1지구 재개발지역 이야기 - 26 (0) | 2021.03.08 |
---|---|
창원시 마산 회원1지구 재개발지역 이야기 - 25 (0) | 2021.02.01 |
창원시 마산 회원1지구 재개발지역 이야기 - 24 (0) | 2021.01.25 |
창원시 마산 회원1지구 재개발지역 이야기 - 23 (3) | 2021.01.18 |
창원시 마산 회원1지구 재개발지역 이야기 - 22 (0) | 2021.01.11 |
창원시 마산 회원1지구 재개발지역 이야기 - 21 (0) | 2021.01.04 |
3. 주민 열 분의 이야기 9) "서민들 살기 좋은 동네" ------------------------- 심○○ 1943년생 마산합포구 교원동 8-6 날짜 : 2015년 1월 10일 장소 : 자택 - 이 동네 사정을 제일 잘 ..
이 글은 경남도민일보 김민지 기자 (kmj@idomin.com) 2021년 02월 22일 (월) 기사입니다. 허정도 건축가 동명 도서 원작…관객, 연기·무대·의상 호평 일제강점기부터 부마항..
이 글은 위드인뉴스 김영식 기자의 2021년 2월 19일가 기사입니다. 창원시의 역사적 배경을 담은 창작연극 <도시의 얼굴들>이 지난 2월 18일 성산아트홀 소극장에서 드디어 첫 막을 올렸다. 2019 한국지역출판대상 천인독자..
배우 박정철이 연극 무대에 오른다. 이 글은 톱데일리(http://www.topdaily.kr) 최지은 기자의 2021년 2월 15일 기사입니다. 14일 토리엔터테인먼트 측은 공식 보도자료를 통해 “배우 박정철이 연..
<이 글의 원문은 경남도민일보 김민지 기자가 쓴 2021년 1월 27일 기사입니다.> 허정도 건축가 원작 동명 도서 옴니버스 형식으로 각색·극화 이달 18∼28일 성산아트홀서 창원문화재단이 주최·..
3. 주민 열 분의 이야기 8) "여기가 제2의 고향이지요" ------------------------- 이○○ 1937년생 마산회원구 회원동 670-3 날짜 : 2015년 1월 9일 장소 : 자택 - 반갑습니다. 옛날 동네..
3. 주민 열 분의 이야기 7) "허허벌판에 이룬 삶의 터전" ------------------------- 박○○ 1947년생 마산회원구 회원동 672-22 날짜 : 2015년 1월 8일 장소 : 관룡사 - 반갑습니다. 예전..
3. 주민 열 분의 이야기 6) "사십 년을 살아온 제2의 고향" ------------------------- 조○○ 1940년생 마산합포구 교원동 2-2 날짜 : 2015년 1월 7일 장소 : 자택 - 선생님께서도 우체국에..
3. 주민 열 분의 이야기 5) "서민들 사는 보통 동네에서의 조용한 기쁨" ------------------------- 최○○ 1936년생 마산합포구 교원동 1-5 날짜 : 2015년 1월 7일 장소 : 자택 - 반갑습니다..
3. 주민 열 분의 이야기 4) "한 집에서 46년을 살아오면서" ------------------------- 김○○ 1940년생 마산회원구 회원동 598-16 날짜 : 2015년 1월 6일 장소 : 조합사무실, 자택 - 반..
3. 주민 열 분의 이야기 3) "삼십 년 넘게 한 자리에서 콩나물을 길렀다" ------------------------- 권○○ 1949년생 마산합포구 교원동 무학상가 지하 수정식품 날짜 : 2015년 1월 6일 장소 : ..
3. 주민 열 분의 이야기 2) "동네 지킴이, 칠원쌀상회" ------------------------- 이○○ 1948년생 마산합포구 교원동 무학상가 1층 날짜 : 2015년 1월 6일 장소 : 자택 - 반갑습니다. 지금 ..
3. 주민 열 분의 이야기 <일러두기> 1) 주민 면담은 2015년 1월 중에 이뤄졌습니다. 2) 인터뷰이(interviewee)는 가급적 오래 거주하신 분들을 모시고자 하였습니다. 3) 게재 순서는 편의상 인터뷰가 이뤄진 시..
2. 회원동, 교방동, 교원동의 생활공간의 역사와 흔적 4) 인근 지역의 역사 유적 - 2 3) 봉화산봉수대(烽火山烽燧臺) 회원동 봉화산에 있는 고려 말~조선 시대의 봉수대(아래 사진)로 경상남도 기념물 제157호로 지정되어 ..
2. 회원동, 교방동, 교원동의 생활공간의 역사와 흔적 4) 인근 지역의 역사 유적 - 1 1) 교방동 관해정(校坊洞觀海亭)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였던 한강(寒岡) 정구(鄭逑, 1543년~1620년)가 그의 제자들과 함..